devcomai(1209, 데코마이)
받다, 받아들이다. 영접하다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동사 데코마이(Homer. 이래)는 기본동사이며,
(a) 본래 의미는 '받아 들이다, 받다'이다. 예를 들면 편지, 선물, 보상, 심지어 영혼이 몸을 받아 들이는 것을 나타낸다. 이방 종교에서 예언은 예를 들어, 새가 나는 것을 통해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제물은 신들에 의해 열납되었다고 한다.
(b) '환영하다, 환대하다'라는 의미의 '받아 들이다'(Xen.), 사람을 맞이하는 것, 즉 사람에게 환대를 베푸는 것을 나타낸다.
(c) 어떤 사람이 말하는 것을 '받아 들이다', '듣다', 혹은 '이해하다'를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동사 데코마이는 70인역본에서 약 70회 나오며, 주로 라카흐(취하다)와 라차(기뻐하다)의 역어로사용되었다.
(a) 데코마이는 창 33:10등에서 처럼 '선물을 받다'라는 일상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런 경우를 제외하면 주로 하나님의 말씀(신 33:3; 렘 9:20)과 행위(즉 교정, 징계 따위의 행위)를 받아들이려고 하는 태세를 의미한다.
예레미야와 스바냐에서 데코마이는 이스라엘의 행위를 법적으로 고소하는 부정적 문맥에 나타난다. 즉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징계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므로(렘 2:30; 렘 5:3; 렘 7:28; 습 3:2)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렘 25:28, 여기에서 심판은 저주의 잔으로 표현되고 있다, 호 4:11). 이리하여 데코마이는 재난에 대한 내키지 않는, 어쩔 수 없는 복종을 의미하게 되었다.
(b) 지혜 문학에서 데코마이는 지적으로, 실존적으로 개방되고 수용적인 경건한 사람의 생활 태도를 표현하고 있다. 즉 지혜로운 사람의 생활 태도를 표현하고 있다. 즉 지혜로운 사람은 지혜의 말씀을 받아 들이며(잠 4:10), 계명에 유의하며(잠 10:8), 징계를 달게 받으며(잠 16:17), 지식을 받아 들인다(잠 21:11). 예언자들의 희생제물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으로 인하여(참조: 렘 6:20) 지혜 문학에서는 비제의적이며 윤리적인 의미를 얻게 되었다. "선을 행함이 의로운 길의 시작이니 이는 제물을 드리는 것보다 하나님께서 더 기쁘게 받으심이라"(잠 16:7; 참조: 잠 15:8, 잠 15:28).
3. 신약성경의 용법.
동사 데코마이는 신약성경에서 55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데코마이는 손으로 '취하다'를 의미한다.
① "증서를 가지고", 눅 16:6,
② "잔을 받으사", 눅 22:17,
③ "투구, 검을 가지라", 엡 6:17,
④"아기를 안고", 눅 2:28.
(b) 데코마이는 '잡다, 받다'를 의미한다.
① 사람을 받는 장소에 대해 사용되었다: "하늘이 마땅히 그를 받아두리라",행 3:21
② 인격대격과 함께: '방문자를 영접하다', '방문자의 출입을 허가하다'; '교제를 거부하지 않다';눅 9:11; 요 4:45; 고후 7:15; 갈 4:14; 골 4:10
'영접하다', 마 10:14; 마 10:40 이하; 막 6:11; 눅 9:5; 눅 9:53; 눅 10:8; 눅 10:10; 히 11:31.
"어린 아이를" 기르고 교육시키기 위해 어떤 사람의 가정에 '받아들이다',마 18:5 ;막 9:37 ;눅 9:48.
마 10:40 이하에서는 제자들을 받아들이는 것에 특별한 중요성이 부여된다. 왜냐하면, 그들은 예수님의 사절이므로, 그들을 받아들이는 것은 예수님을 받아들이는 것이요 따라서 하나님을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자들을 통해서 예수님 자신이 마음 문을 두드리신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담지자(bearer)이다.
그리스도는 그들 안에서 임재하여 있으며, 따라서 그들은 그리스도의 선교를 지속시키고 확장해 나간다. 단순한 환대 이상의 것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에게 베풀어진 사랑은 특별한보상을 가져올 것이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어린 아이를 영접하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마 18:5-6). 왜냐하면, 그리스도 자신이어린 아이의 인격으로 오셨으며 따라서 어린 아이를 위해 행하는 것은 곧 그를 위해 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심지어 이러한 겸손한 행동에 조차 독특한 의미를 부여해준다.
"집으로" '영접하다', "처소로" '영접하다', 눅 16:4,눅 16:9; "내 영혼을 받으시옵소서",행 7:59.
③ 말하고 가르치고 지시하는데서 표현되는 비인격 대격과 함께;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다', '~에 귀를 기울이다', '채택하다', '자신의 것으로 만들다', '찬성하다', '거부하지 않다':말씀을 받는 것에 대하여, 눅 8:13; 행 8:14;행 11:1;행 17:11;살전 1:6;살전 2:13;약 1:21; "성령의 일을 받지", 고전 2:14; "권함을 받고", 고후 8:17; "진리의 사랑을 (즉 그들에게 명한 진리의 사랑을) 받지", 살후 2:10; 허락된 은혜를 받다, 거부하지 않다, 고후 8:4 Rec.
④ '받아내다', '이해하다', 즉 '(책임 따위를)지다, 떠맡다', '떠받치다', '견디다', 그의 태도와 행실, 고후 11:16.
(c) 데코마이는 '받다', '가지다'를 의미한다.
① "공문을 받아가지고", 행 22:5,
② "편지를 받다", 행 28:21,
③ "하나님의나라를 받들다", 하나님의 나라의 은혜의 참예자가 되다, 막 10:15; 눅 18:17,
④ "생명의 도를 받아", 행 7:38,
⑤ "너희의 받지 아니하는 다른 복음", 고후 11:4,
⑥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 고후 6:1,
⑦ '배우다': 빌 4:18.
(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H. -G. Link;W. Grandmann)
- 바이블렉스 10.0에서 내용 발췌 -
프로스원어성경연구
http://cafe.daum.net/pros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