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7일의 제79회 세미나는 올해 100년을 맞는 한국영화의 기점인 <의리적 구토> 발제부터 시작했다. 왜 한국영화 100년인지 자세히 아는 분들은 적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공연된 이 영화는 연극 도중에 실사장면으로 한강철교, 청량리 등이 소개되며 한국 최초의 영화가 되었다. 1960년대 문공부의 질의에 영화인협회가 이 영화를 한국영화의 기점으로 결정하여 매년 10월 27일을 영화의 날로 정하였고 올해 100년을 맞게 된 것이다.
2부의 주인공은 문종금 배우 겸 감독, 제작자이다. 그는 경북 울진 생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태권도를 연마하였고 1975년부터 대구의 최용술 합기도 도주에게 사사받았다. 당시 지한재나 김무웅, 홍성길은 각기자신들의 도장을 운영 중일 때이다.
그는 배우 데뷔 후에도 영동백화점 옆에서 합기도장을 운영했고 김동건이 진행하던 <비밀의 커튼>에 최용술 도주를 출연시켰다.
그는 대구의 흥행업자이며 배급사를 운영하던 구동수 회장의 추천으로 유병완 배우와 함께 귀경하여 1977년 김선경 감독의 <무협문>으로 데뷔한다. 그리고 김선경 감독이 동시기에 촬영한 동아수출공사의 <비룡문>, 그리고 김정용 감독의 <무림18여걸>에 출연한다 그후 왕사상, 장보영 통역의 주선으로 1979년 해외개발공사에서 교육을 받고 곽무성, 김동호와 함께 대만으로 갔다. 그는 홍콩과 대만에 진출해 <손오공홍해야대전>, <월야성야>, <인터폴>에 출연했다. 2년여 한국을 오가며 활동했지만 만만디 촬영에 출연작은 많지 않았다. 당시 활동하던 한국배우들은 모사성, 김사옥, 황인식, 황정리, 권영문, 왕호 등이다.
이때 많은 홍콩배우들과 교류하였는데 특히 성룡과는 무명시절때 라이온스호텔에서 한달 간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귀국 후 임정수 감독의 <어린이 무술왕>을 기획했고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에 입학했다. 그리고 나한일, 유혜영 주연의 필리핀, 일본 로케이션 영화 <무>로 감독 데뷔를 한다. <무>는 김두호 평론가의 추천으로 임권택 감독에게 의뢰하였으나 통일 주제의 영화를 준비 중이라 직접 메가폰을 잡게 되었다.
그는 배우활동을 하면서도 감독 수업을 병행한 준비된 감독이었다. 많은 감독들의 촬영 현장을 도우며 장단점을 눈여겨보고 하나씩 배워나갔다. 편집실에도 가서 편집을 익혔는데 이런 일들은 일반 배우들이 하는 일들은 아니었다. 그가 꼽는 명감독은 조명화 감독이다.
이후 그는 선프로덕션(후에 동해영화제작소와 모닝캄 필름으로 바뀜) 창립 후 권일수 감독의 <전국구>를 제작했고 <싸울아비>를 감독했다. 이우석 동아수출공사 사장은 자신이 운영하던 영성비디오 프로덕션을 통해 이들 영화를 배급해주어 도움을 주었다.
2001년작인 <싸울아비>는 <야인시대>의 이환경 작가에게 1억원의 고료를 지급한 대작이다. 당시 사극드라마 붐으로 백제 무사의 이야기를 7억 원을 들여 제작에 착수했다. 하지만 그가 직접 메가폰을 잡아 50억 원의 초대작으로 완성했다. 최재성, 이상훈, 양택조, 이해룡, 장정국, 박동룡 등 한국배우와 일본의 톱스타인 에노키 다카아키와 우메미야 마사코, 카츠노 히로시
가 출연했다. 비록 흥행에서는 실패했지만 지금도 회자되는 명편이다. 이 영화는 6세기 전사들의 이야기로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국내 촬영 후 일본 큐우슈우에서 올로케 제작하였다. 이런 대작을 기획할 수 잇는 것은 그를 신뢰하는 투자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가 11월 8일에 청주에서 개최한 삼보대회도 20억 원의 예산이 들어갔지만 이러한 투자자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그의 출연작으로는 <사약>, <돌아이2>, <은하에서 온 별똥동자>, <안개속의 여자>, <전국구>, <충무로 돈키호테>, <비천권>, <괴적귀무>, <사대통의문>, <맹룡아호> 가 있다. 제작한 영화는 흥행작 <전국구>외에 최용호, 김정용 감독의 임화수 일대기인 <충무로 동키호테>, 권일수 감독의 <암흑가의 무소속>, 원성진 감독의 <무인도의 남과 여>, 조명화 감독의 <소림사의 왕서방>을 제작 및 공동주연하고 <아이 엠 샘>을 수입해 동아수출공사의 이우석 회장으로부터 "하늘 보고 별을 땄다."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그렇게 성공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지론은 상업적인 감독이 되겠다는 것이다. 관객들이 외면하는 영화는 만들지 않겠다는 각오이다. 결국 제작자나 수입업자로서 성공한 그이다.
영화배우로 출발해 감독, 제작자, 수입사 사장을 거쳐 현재 감독협회 이사 및 대한삼보연맹 회장을 맡아 동분서주하고 있는 그이다. 삼보는 러시아의 국기로 합기도와 유도의 기술이 들어간 남자다운 스포츠이다. 따라서 그는 삼보에 관심을 갖고 오늘날 한국 삼보연맹의 회장을 맡아 각종 대회를 유치하고 주최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말은 "누구와 아느냐?"는 것이다. 남들이 하지못한 불가능한 일을 만들어낸 그의 성공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