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정원일기 2799책 (탈초본 130책) 고종 11년 3월 10일 임자 23/24 기사 1874년 同治(淸/穆宗) 13년
○ 京畿儒生, 幼學吳奎善·申㰔·李祖庚·尹憲·申處求·申桂·金泰植·尹建五·金鼎植·吳翊善·韓聲履·李學來·吳致聲·韓赫履·李完在·朴命淳·黃策·許𨥆·柳基昇·金斗植·宋敦榮·趙時夏·徐相照·趙載性·金洽·洪在九·權膺洙·愼炳性·權五圭·洪鍾憲·柳謖·李根容·申謙休·朴文陽·李貞源·吳左泳·魚允洙·許翰洙, 進士趙性卨·元錫薰·吳漢善·申用均·金亨植·梁柱元·洪在升·尹錫鳳·洪益憲·金樂膺·尹鳳秀·柳瑢·張濟均·南宮灝·安聖烈·李元植·趙民夏·韓憲敎·申KC01890·柳瓚·南宮溵·黃馥·韓禹錫·黃浩植·李參永·宋柱允·鄭敬義·吳能善·李在訓·朴養善·李秉和·吳禹常·李漢駿·姜永周·康基春·黃元東·趙漢杰·韓用翼·趙昌逵·金得洙·李偉·申在元·徐同淳·南孝發·趙弼夏·林學根·閔箕鎬·尹泰元·南啓復·申習朝·元鼎常·尹泰一·梁鍾星·成孝選·沈能默·洪秉兟·任秉模·徐赫輔·南秉元·李桭宇·尹孝永·宋泰鉉·李象一·姜致龍·黃取淵·安芝秀·愼衡九·閔龍鎬·朴瀅鎭·柳大養·金熙麟·趙昇鎬·李寅楫·元時義·韓善敎·李敏夏·洪鍾益·黃仁顯·申錫鳳·李命世·任泰善·柳尙根·林相羽·李源大·鄭賢基·尹琬·吳夔善·李鍾五·李建昇·安光鼎·金哲濬·權秉圭·李源祖·趙性善·宋奎洙·李東五·柳興禹·尹善學·黃躍淵·申在應·洪羲賓·李承龜·金永植·柳範養·鄭海昌·許商鉉·尹善玉·安謙壽·鄭耆永·金箕五·李勗杓·李愚明·鄭宅基·申錫龜·安膺善·黃錫仁·尹羲榮·黃浩漢·李鉉輔·黃壽顯·李敏好·黃昌顯·李根國·鄭海觀·柳獜養·愼弼永·李根興·宋秉游·鄭羲瑞·沈宜夏·李章鎬·黃禮好·具燦祖·李基永·南宮浹, 進士金應鉉·宋鳳鎭·金思元·崔在鶴·李秀慶·朴昌來·徐禎淳·柳璘·李在龍·洪鍾薰·安亨壽·沈能復·金基俊·宋澤鉉·金蘭秀·柳KC10898·黃鍾弼·李承祖·宋泌·申直顯·鄭敬智·金馨善·朴羲壽·金斗民·李舜欽·南宮渷·吳止善·韓性敎·安日善·姜禹會·兪致仁·許敏永·鄭遠鍾·閔元泳·黃鍾濩·沈能敏·宋達憲·鄭敬泰·申璇均·金驥秀, 進士尹有榮·鄭海觀·具弘祖·朴弘鎭·尹弘善·金鶴均·閔有鎬·洪在龜·鄭熙益·朴載哲·徐永龜·申梅·尹致鎰·黃炫·李肯祖·姜最重·徐光德·申泰夏·鄭芝英·南宮KC04308·尹熙燮·李圭復·黃和·金鼎善·閔羲國·郭世鍾·朴象東·辛爀東·洪鍾學·李道敏·申在漢·金元鍾·朴定鉉·李常魯·韓日錫·尹哲榮·黃斗熙·鄭鳳榦·李海翼·姜雲會·鄭盈朝·朴喜和·金斗鉉·李台鉉·安敬壽·黃廷淵·尹商培·李復鉉·韓尙履·尹永源·朴秉薰·李奎豐·金思翊·韓用極·姜致庠·李奎泰·洪在濬·申學求·張濟來·李晉煥·柳景開·宋觀鉉·鄭海德·李舜善·安興烈·宋來鎭·韓鴻敎·洪淳泌·申益休·李KC00159·鄭敬煥·韓福履·李秉轍·洪泰燮·朴敏錫·申性模·韓道履·李達容·柳鼎根·安禹善·洪益燮·李龍緖·鄭敬德·李象奎·安廷喆·金龍濟·宋文鉉·朴永相·尹致錫·柳丁根·宋奎鉉·李命植·金度商·任泰魯·柳雨根·李祖咸·曺孝承·趙基華·金鼎燮·姜俊亨·安毅壽·宋商鉉·李在龜·尹進源·李勉儉·具榮祖·黃植·申命鴻·李承德·趙秉承·李炳虎·鄭遂寅·尹泰燮·尹KC01839·兪致五·白樂弼·尹成求·安光卨·辛浩·趙慶植·沈性澤·黃商顯·愼宗恒·趙性恒·辛性默·白樂熙·尹栩·徐宅中·趙成采·黃稙·趙漢龜·沈毅之·具命書·安相烈·徐直淳·宋注浩·尹秉求·趙岐采·尹致益·徐相俊·任奭俊·南宮泳·安光說·李源相·李垞·李義敦·李炳鶴·梁鍾泰·李濡·沈晦之·洪秉三·李箕燦·洪秉元·鄭志泰·梁泰煥·金相弼·李冕會·洪在新·尹聖求·沈宜肯·具哲祚·兪鎭求·金定皓·尹櫶·金益命·白恒洙·李秉斗·洪秉夏·尹羲肇·朴大壽·白箕鎭·趙冕奎·尹泰鳳·李奭鎬·兪相奭·黃馝·趙性浩·沈能喬·具敦書·柳潤根·李載熙·朴秉熙·李建植·朴魯淳·李建祐·李圭益·南斗熙·沈遇澤·柳冀厚·李榕·柳頊·李昌秀·成哲求·李容夔·朴準楷·黃獜秀·李華英·徐相薰·李在璿·權復圭·李根東·愼宗崙·具秉喜·李昌求·申在武·尹宅慶·安光暹·白樂浩·李奎益·洪祐憲·韓友模·李經會·李載鼎·南啓獜·徐基邦·李啓善·崔立中·朴在卿·李在衡·成翼運·李鍾瀅·金相五·崔龍煥·洪鍾萬·李秉純·洪鍾奭·金箕泰·李源一·崔祐命·尹檍·洪在鳳·李濬會·宋柱學·元世夏·李宅信·金相殷·閔泳禹·沈能恒·成涑·李鍾崙·洪禹錫·申聖朝·李鍾岱·洪在元·韓弘履·李晉錫·崔鴻錫·韓承敎·李秉承·洪在宣·任道準·權思淳·南孝哲·崔理燮·閔奎爀·李會元·鄭和敬·李復奎·崔瑗·韓升烈·李櫓·尹錫男·崔勳中·洪在榮·李周栢·任晟準·崔炳烈·韓國履·李秉周·南大榮·崔相烈·李秀仁·趙羲說·權榦·南吉秀·韓東洙·趙益煥·李鎭會·朴來遠·韓用元·趙大夏·李秉善·元厚成·韓奉履·李郁來·權聖圭·崔洛鉉·元厚晩·金潤·朴來學·趙洙謙·李萬會·韓用禮·洪益壽·趙泰夏·申正雨·李佑憲·徐蓂輔·洪秉奎·任兢準·李舜翼·沈柄澤·吳文善·洪益三·李政在·尹升大·李樂遠·朴秉直·李寅求·尹會榮·安光皓·李祖勳·張寅汲·朴吉淳·李昌峻·金樂九·宋柱夏·李祖華·具昌祖·韓永敎·柳永根·李儁·金用淵·趙洙靈·韓用爀·徐載厚·黃萬周·李祖元·趙洙東·韓定裕·任百淳·柳遠謨·金箕壽·李澤來·韓英敎·趙箕煥·尹鴻一·吳光善·李象玉·金鳳喜·申命休·李鎬燮·吳道泳·金思旭·李鍾榮·申泰述·尹鶴柱·李錫重·金在璇·鄭賢錫·李承健, 進士趙性敏, 幼學李鼎敏·韓亨敎·金禹植·趙耆淳·吳胤祖·朴斗壽·金相愼·李承儒·趙載厚·韓元敎·金相九·李正在·鄭舜鎔·吳建泳·李錫冀·金敎翰·鄭濟遠·具源祖·李世在·鄭萬源·徐亨輔·李秉珏·金晩洙·兪致友·黃愚淵·金持豐·柳榮寅·吳致胄·鄭慶雲·申若雨·尹顯佑·李瑗在·洪龍周·兪直柱·吳章善·愼鴻九·沈正澤·洪在賢·黃鍾文·金東秀·尹圾·吳壽泳·兪奎煥·朴圓陽·韓明履·沈遠弼·尹鶴一·洪在範·吳成善·兪鎭周·李應明·李承紳·韓善履·吳一泳·金炳魯·朴挺林·兪致遇·許䨞·徐相天, 進士黃宗浩, 幼學沈KC10899澤·鄭羽采·愼永書·李學敏·金晩秀·吳致彦·兪奭柱·朴宗恂·申觀休·趙景序·沈周鉉·李承殷·金聞遠·吳致星·朴齊七·洪暘燮·崔敬根·元慤·趙東龜·韓台會·兪鎭民·朴濟東·尹羲泰·崔圭錫·李鎬建·吳恒善·兪哲濬·李舜用·沈宜國·李侃·鄭學林·李承周·朴度陽·申綮·李在淵·朴羲大·梁益洙·李在鳳·吳璜默·徐相一·金稷淵·李昌宰·吳逈善·尹命求·金在衡·李建國·兪昌煥·朴秉常·李弘宰·鄭世永·沈宜赫·金光鉉·李炳在·吳致奭·鄭洛基·尹仁求·權鍾璇·沈亮澤·元厚鄧·趙景虞·金相俊·李象薰·朴義文·李根遠·鄭敬仁·黃益周·李建徹·韓用稷·姜世熙·吳致弼·申匡熙·李冕宰·兪益遠·吳鎰泳·李象珏·金汲·吳基善·李羲輔·金思舜, 進士李秉蓍, 幼學吳泰泳·尹禧成·李墫·元永俊·洪益運·李鎬瀅·權鍾赫·任秉準·李賢敏·金耒商·鄭煥有·吳直善·黃謹秀·申用雨·沈能斌·兪章燮·趙景鎬·朴宗悅·元剛義·具源祖·徐載應·洪鍾采·尹顯光, 進士吳得善, 幼學崔弼淳·申龍熙·閔泳益·任尙準·柳啓用·韓旭會·許俊永·權鶴圭·愼炳吉·宋禹鉉·申性模·具然愚·安奭求·陳秉翼·姜鳳熙·李雲容·金祖鉉·吳德善·鄭濟寅·尹泰來·愼永書·韓翼履·李敏轍·金敎植·吳致熙·朴元輔·趙性珏·鄭德修·安元求·申榥·具啓祖·黃義慶·姜義秀·兪鳳煥·宋在敎·李象純·朴秉希·辛正集·康基彦·韓用卨·朴敏龜·閔泳愚·柳詵·趙誠煥·金普鉉·李KC00691·辛公集·金泌·李坰·金疇鉉·鄭世鎔·金箕祐·吳基泳·韓庠敎·沈相翰·尹泰來·申泰休·洪規燮·李英來·金命植·宋祐淳·兪鎭萬, 進士洪在戊, 幼學沈憲澤·朴近陽·元厚一·愼鶴九·趙圭夏·安承烈·申樺·韓聖裕·具萬喜·朴謙浩·辛容默·李鎔·金用集·吳斅善·黃夔東·崔華琦·韓晉敎·兪鎭祐·李載根·申泰亨·金永勛·金思容·李成來, 進士李泰夏, 幼學鄭海應·申泰榮·徐太淳·宋奎鎭·朴尙愚·成定鎬·白樂淵·柳興周·趙太淳·黃台淵, 進士尹塤, 幼學奇東應, 生員南宮鏞·李祖文·愼夏範·安秉善·閔俊鎬·姜民會·申勉熙·韓奎榮, 進士具得善, 幼學金箕夏·洪秉國·任奭鎬·沈宜岳·權思中·朴秉軾·趙璋夏·李敬會·元厚臣·朴來禹·金羲植·李秉稷·申星休·閔有鎬·元炡·趙翼煥·申錫敎·李敏軾·吳達泳·李羲丙·金胤澤·李周鎬·兪永濬·權思國·李鎬達·吳有善·朴奎鎭·韓鍾履·申泰熙·朴明壽·李周恒·金昌植·吳國善·鄭興基·朴齊兢·李德在·吳大善·李根長·沈啓淵·李基東·沈宜陽·李敏洪·趙性夏·李敏五·李福永·沈宜英·李敏貞·安麟壽·金炳堯·白昌洙·李學永·崔中權·李載達·任亨準·李斗南·崔賢燮·愼宗鶴·李象愚·安英錫·李象元·黃興周·金景浩·李會一·安光漢·愼禹晟·黃崙源·洪完周·李用斗·辛容默·朴泳鉉·李承道·趙德采·白念洙·韓商敎·李中和·李承孝·宋台萬·李象萬·宋敎植·閔膺植·申取善·李義祚·沈興澤·李學淵·閔弘植·趙東燮·申孝善·洪鍾厚·沈宜彬·朴齊萬·閔泳復·李秀榮·金永復·李鍾謹·朴善陽·沈宜建·魚允翼·朴齊道·李憲永·申奎永·閔元植·南致榮·崔圭學·趙鴻錫·李周松·洪秉心·宋啓榮, 進士李秀賢, 幼學韓德履·李在喬·洪在平·宋柱彦·趙羲龍·李秉淵·南孝健·韓敬履·李鏞器·洪大燮·李昌穆·崔遇洛·李斗七·李興奎·任景鎬·李貞淳·李斗英·金鎭逵·申承祜·崔尙友·李載昇·元亨常·金龜浩·李聖儀·吳炳善·金學淵等疏曰,
伏以惟我殿下, 以天縱之聖, 當有爲之會, 親摠萬機, 勅勵群工, 修擧闕典, 率由舊章, 政令之或有不便者, 悉從釐革, 義理之事係莫嚴者, 益加闡發, 肆於去月十三日, 特降萬東廟復設之敎, 於乎盛哉, 於乎休哉。 粵自皇朝屋社之後, 殆三百年于玆矣, 北望神州, 擧目腥穢, 春秋大義, 莫講尊周之編, 函夏遺民, 寢忘思漢之謳, 而惟我東列聖相承, 扶植此義, 世守家法, 式克至于今日休。 德音渙發, 八域雷歡, 廟貌復新, 多士雲聳, 遂使大明日月, 旣晦而復曜, 九廟香火, 已絶而更續, 天經地義, 自此益彰, 而三綱九法, 賴而不斁, 丹桷重檐之制, 雖暫撤於曩時, 朱絃一唱之頌, 幸復聆於今日, 則臣等欣踊慶忭之外, 復何敢贅說, 以犯瀆擾之誅哉? 第區區微衷, 有不容不一暴於聖明之下, 伏願垂察焉。 竊惟萬東廟下, 嘗有華陽書院, 卽先正臣文正公宋時烈妥享之所也, 間因廟撤, 而院亦隨廢, 今旣復建皇廟, 則義不可不竝復此院, 請以其故, 槪陳之。 宋時烈以間世眞儒, 天挺豪英, 遭際我孝宗大王, 秉執綱常, 爲皇廟臥薪嘗膽之日, 契合魚水, 義闡麟經, 皮幣珠玉之中, 不忘懷氷握火之誓, 囊封幄對之際, 每贊鐵杖木馬之志, 不幸弓劍遽遺, 志業未就, 則乃倣靜江祠舜之禮, 欲設廟宇, 以祀神宗顯皇帝·毅宗烈皇帝, 而時議不一, 事竟不果, 楚山遺托, 爰及門弟, 卒於涒灘周甲之歲, 克擧春秋禋享之禮。 蓋其崇祀二皇, 一以報壬辰造藩之恩, 一以寓甲申殉社之痛, 欲以聲大義於天下萬世, 使我含生之類, 知有君君臣臣之大倫者, 實時烈倡之也, 故華陽書院, 初建於山僻稍遠之地, 而乃於皇廟旣成之後, 嫌其稍遠, 移就廟前, 此蓋取杜甫詩所謂武候祠屋長隣近, 一體君臣祭祀, 同之義也。 是以, 每當廟享, 先以兩籩兩豆, 薦皇靈者, 所以揭尊王之義也, 次以一籩一豆, 竝行院享者, 所以表陪臣之忠也, 其名正義順, 神理相依, 決不可擧一而廢一也, 明矣。 肆昔我肅廟丙申, 親書華陽書院四大字, 俾揭院額, 聖敎若曰, 今雖有疊設之禁, 奉朝賀, 平日禮遇殊異, 與他儒賢不同, 華陽又非他處之比, 創設書院, 在所不已, 病裏筆畫尤拙, 而予必親書者, 所以寓予尊敬之心也。 又賜祭文, 若曰, 山川之美, 杖屢[杖屨]攸停, 矧伊帝翰, 于厓有銘, 匪風遺意, 寓此巖扃, 宜尸而祝, 彷像典刑, 又曰, 日月高臨, 有明天地, 玆焉特感, 思所表示。 粵在英廟朝, 特又撰文致祭, 若曰, 一府洞天, 大明日月, 極天彝倫, 賴以不墜, 一片乾淨, 祠屋相隣, 亦粵我正廟朝親製祭文, 若曰, 桂林享舜, 楚鄕祭昭, 陪臣院享, 隣近其祠, 又曰, 一體俎豆, 數仞儒宮。 伏惟, 列聖朝表章大義, 尊敬先正之意, 若是懇摯, 而必皆以廟院相隣之義, 眷眷致意者, 豈非以上建皇廟, 下設書院, 一體君臣, 咸秩享儀, 則益有光於大義者歟? 亦豈非自古忠賢, 大有勳勞, 則陟配廟庭, 百世竝享之義歟? 是以, 曾以廟院之相距稍遠, 猶且移院就近, 則豈可以有廟無院, 一復而一廢乎? 且伏念, 廟院創設之初, 聖主賢臣, 相與講明乎上, 碩德名儒, 相與商確乎下, 考據禮典, 參究義理, 爰就皇靈陟降之傍, 有此陪臣隨享之禮, 則今於復廟之日, 但當一遵舊制, 竝設書院, 豈非監于先王成憲, 其永無愆之義也歟? 臣等近伏見幼學臣黃學周疏批下者, 有曰, 宋先正, 秉執大義, 在於尊奉皇廟矣, 廟宇今旣復設, 則義理從此益明矣。 宋先正不昧之靈, 亦當感幸於冥冥之中矣。 書院之復設與否, 何關於義理耶? 不必煩聒, 聖敎如天, 何敢復瀆? 然而皇廟旣復, 則宋先正不昧之靈, 固當感幸於冥冥之中矣。 斯院兼復, 陪臣密邇, 則兩皇帝於昭之靈, 亦豈無慰安於冥冥之中乎? 義理到此, 雖曰盡美, 竊以爲未盡善也。 臣等當此諸祠院竝撤之後, 不敢紛紜請復, 而惟此華陽之院, 事係大義, 所重自別, 禮當與萬東廟, 百世竝建, 一體同祀, 故玆敢齊聲仰籲於黈纊之下。 伏乞聖上, 俯賜鑑諒, 特降華陽書院復設之命, 以光大義, 以幸斯文。 臣等不勝云云。 省疏具悉。 不見前後之批, 而如是乎? 爾等退修學業。
고종 11년 갑술(1874) 3월 10일(임자) 맑음
11-03-10[24] 화양서원을 다시 설립해 줄 것을 청하는 경기 유생 유학 오규선 등의 상소
○ 경기 유생 유학 오규선(吳奎善)ㆍ신섭(申㰔)ㆍ이조경(李祖庚)ㆍ윤헌(尹憲)ㆍ신처구(申處求)ㆍ신계(申桂)ㆍ김태식(金泰植)ㆍ윤건오(尹建五)ㆍ김정식(金鼎植)ㆍ오익선(吳翊善)ㆍ한성리(韓聲履)ㆍ이학래(李學來)ㆍ오치성(吳致聲)ㆍ한혁리(韓赫履)ㆍ이완재(李完在)ㆍ박명순(朴命淳)ㆍ황책(黃策)ㆍ허구(許𨥆)ㆍ유기승(柳基昇)ㆍ김두식(金斗植)ㆍ송돈영(宋敦榮)ㆍ조시하(趙時夏)ㆍ서상조(徐相照)ㆍ조재성(趙載性)ㆍ김흡(金洽)ㆍ홍재구(洪在九)ㆍ권응수(權膺洙)ㆍ신병성(愼炳性)ㆍ권오규(權五圭)ㆍ홍종헌(洪鍾憲)ㆍ유직(柳謖)ㆍ이근용(李根容)ㆍ신겸휴(申謙休)ㆍ박문양(朴文陽)ㆍ이정원(李貞源)ㆍ오좌영(吳左泳)ㆍ어윤수(魚允洙)ㆍ허한수(許翰洙), 진사 조성설(趙性卨)ㆍ원석훈(元錫薰)ㆍ오한선(吳漢善)ㆍ신용균(申用均)ㆍ김형식(金亨植)ㆍ양주원(梁柱元)ㆍ홍재승(洪在升)ㆍ윤석봉(尹錫鳳)ㆍ홍익헌(洪益憲)ㆍ김낙응(金樂膺)ㆍ윤봉수(尹鳳秀)ㆍ유용(柳瑢)ㆍ장제균(張濟均)ㆍ남궁호(南宮灝)ㆍ안성렬(安聖烈)ㆍ이원식(李元植)ㆍ조민하(趙民夏)ㆍ한헌교(韓憲敎)ㆍ신석(申)ㆍ유찬(柳瓚)ㆍ남궁격(南宮激)ㆍ황복(黃馥)ㆍ한우석(韓禹錫)ㆍ황호식(黃浩植)ㆍ이삼영(李參永)ㆍ송주윤(宋柱允)ㆍ정경의(鄭敬義)ㆍ오능선(吳能善)ㆍ이재훈(李在訓)ㆍ박양선(朴養善)ㆍ이병화(李秉和)ㆍ오우상(吳禹常)ㆍ이한준(李漢駿)ㆍ강영주(姜永周)ㆍ강기춘(康基春)ㆍ황원동(黃元東)ㆍ조한걸(趙漢杰)ㆍ한용익(韓用翼)ㆍ조창규(趙昌逵)ㆍ김득수(金得洙)ㆍ이위(李偉)ㆍ신재원(申在元)ㆍ서동순(徐同淳)ㆍ남효발(南孝發)ㆍ조필하(趙弼夏)ㆍ임학근(林學根)ㆍ민기호(閔箕鎬)ㆍ윤태원(尹泰元)ㆍ남계복(南啓復)ㆍ신습조(申習朝)ㆍ원정상(元鼎常)ㆍ윤태일(尹泰一)ㆍ양종성(梁鍾星)ㆍ성효선(成孝選)ㆍ심능묵(沈能默)ㆍ홍병신(洪秉兟)ㆍ임병모(任秉模)ㆍ서혁보(徐赫輔)ㆍ남병원(南秉元)ㆍ이진우(李桭宇)ㆍ윤효영(尹孝永)ㆍ송태현(宋泰鉉)ㆍ이상일(李象一)ㆍ강치룡(姜致龍)ㆍ황취연(黃取淵)ㆍ안지수(安芝秀)ㆍ신형구(愼衡九)ㆍ민용호(閔龍鎬)ㆍ박형진(朴瀅鎭)ㆍ유대양(柳大養)ㆍ김희린(金熙麟)ㆍ조승호(趙昇鎬)ㆍ이인즙(李寅楫)ㆍ원시의(元時義)ㆍ한선교(韓善敎)ㆍ이민하(李敏夏)ㆍ홍종익(洪鍾益)ㆍ황인현(黃仁顯)ㆍ신석봉(申錫鳳)ㆍ이명세(李命世)ㆍ임태선(任泰善)ㆍ유상근(柳尙根)ㆍ임상우(林相羽)ㆍ이원대(李源大)ㆍ정현기(鄭賢基)ㆍ윤완(尹琬)ㆍ오기선(吳夔善)ㆍ이종오(李鍾五)ㆍ이달승(李達昇)ㆍ안광정(安光鼎)ㆍ김철준(金哲濬)ㆍ권병규(權秉圭)ㆍ이원조(李源祖)ㆍ조성선(趙性善)ㆍ송규수(宋奎洙)ㆍ이동오(李東五)ㆍ유흥우(柳興禹)ㆍ윤선학(尹善學)ㆍ황약연(黃躍淵)ㆍ신재응(申在應)ㆍ홍희빈(洪羲賓)ㆍ이승귀(李承龜)ㆍ김영식(金永植)ㆍ유범양(柳範養)ㆍ정해창(鄭海昌)ㆍ허상현(許商鉉)ㆍ윤선옥(尹善玉)ㆍ안겸수(安謙壽)ㆍ정기영(鄭耆永)ㆍ김기오(金箕五)ㆍ이욱표(李勗杓)ㆍ이우명(李愚明)ㆍ정택기(鄭宅基)ㆍ신석귀(申錫龜)ㆍ안응선(安膺善)ㆍ황석인(黃錫仁)ㆍ윤희영(尹羲榮)ㆍ황호한(黃浩漢)ㆍ이현보(李鉉輔)ㆍ황수현(黃壽顯)ㆍ이민호(李敏好)ㆍ황창현(黃昌顯)ㆍ이근국(李根國)ㆍ정해관(鄭海觀)ㆍ유인양(柳獜養)ㆍ신필영(愼弼永)ㆍ이근흥(李根興)ㆍ송병유(宋秉游)ㆍ정희서(鄭羲瑞)ㆍ심의하(沈宜夏)ㆍ이장호(李章鎬)ㆍ황예호(黃禮好)ㆍ구찬조(具燦租)ㆍ이기영(李基永)ㆍ남궁협(南宮浹), 진사 김응현(金應鉉)ㆍ송봉진(宋鳳鎭)ㆍ김사원(金思元)ㆍ최재학(崔在鶴)ㆍ이수경(李秀慶)ㆍ박창래(朴昌來)ㆍ서정순(徐禎淳)ㆍ유린(柳璘)ㆍ이재룡(李在龍)ㆍ홍종훈(洪鍾薰)ㆍ안형수(安亨壽)ㆍ심능복(沈能復)ㆍ김기준(金基俊)ㆍ송택현(宋澤鉉)ㆍ김난수(金蘭秀)ㆍ유열(柳說)ㆍ황종필(黃鍾弼)ㆍ이승조(李承祖)ㆍ송필(宋泌)ㆍ신직현(申直顯)ㆍ정경지(鄭敬知)ㆍ김형선(金馨善)ㆍ박희수(朴羲壽)ㆍ김두민(金斗民)ㆍ이순흠(李舜欽)ㆍ남궁연(南宮渷)ㆍ오지선(吳止善)ㆍ한성교(韓性敎)ㆍ안일선(安日善)ㆍ강우회(姜禹會)ㆍ유치인(兪致仁)ㆍ허민영(許敏永)ㆍ정원종(鄭遠鍾)ㆍ민원영(閔元泳)ㆍ황종호(黃鍾濩)ㆍ심능민(沈能敏)ㆍ송달헌(宋達憲)ㆍ정경태(鄭敬泰)ㆍ신선균(申璇均)ㆍ김기수(金驥秀), 진사 윤유영(尹有榮)ㆍ정해관(鄭海觀)ㆍ구홍조(具弘祖)ㆍ박홍진(朴弘鎭)ㆍ윤홍선(尹弘善)ㆍ김학균(金鶴均)ㆍ민유호(閔有鎬)ㆍ홍재귀(洪在龜)ㆍ정희익(鄭熙益)ㆍ박재철(朴載哲)ㆍ서영귀(徐永龜)ㆍ신매(申梅)ㆍ윤치일(尹致鎰)ㆍ황현(黃炫)ㆍ이긍조(李肯祖)ㆍ강최중(姜最重)ㆍ서광덕(徐光德)ㆍ신태하(申泰夏)ㆍ정지영(鄭芝英)ㆍ남궁혁(南宮)ㆍ윤희섭(尹熙燮)ㆍ이규복(李圭復)ㆍ황화(黃和)ㆍ김정선(金鼎善)ㆍ민희국(閔羲國)ㆍ곽세종(郭世鍾)ㆍ박상동(朴象東)ㆍ신혁동(辛爀東)ㆍ홍종학(洪鍾學)ㆍ이도민(李道敏)ㆍ신재한(申在漢)ㆍ김원종(金元鍾)ㆍ박정현(朴定鉉)ㆍ이상로(李常魯)ㆍ한일석(韓日錫)ㆍ윤철영(尹哲榮)ㆍ황두희(黃斗熙)ㆍ정봉간(鄭鳳幹)ㆍ이해익(李海翼)ㆍ강운회(姜雲會)ㆍ정영조(鄭盈朝)ㆍ박희화(朴喜和)ㆍ김두현(金斗鉉)ㆍ이태현(李台鉉)ㆍ안경수(安敬壽)ㆍ황정연(黃廷淵)ㆍ윤상배(尹商培)ㆍ이복현(李復鉉)ㆍ한상리(韓尙履)ㆍ윤영원(尹永源)ㆍ박병훈(朴秉薰)ㆍ이규풍(李奎豐)ㆍ김사익(金思翊)ㆍ한용극(韓用極)ㆍ강치상(姜致庠)ㆍ이규태(李奎泰)ㆍ홍재준(洪在濬)ㆍ신학구(申學求)ㆍ장제래(張濟來)ㆍ이진환(李晉煥)ㆍ유경개(柳景開)ㆍ송관현(宋觀鉉)ㆍ정해덕(鄭海德)ㆍ이순선(李舜善)ㆍ안흥렬(安興烈)ㆍ송내진(宋來鎭)ㆍ한홍교(韓鴻敎)ㆍ홍순필(洪淳泌)ㆍ신익휴(申益休)ㆍ이정(李)ㆍ정경환(鄭敬煥)ㆍ한복리(韓福履)ㆍ이병철(李秉轍)ㆍ홍태섭(洪泰燮)ㆍ박민석(朴敏錫)ㆍ신성모(申性模)ㆍ한도리(韓道履)ㆍ이달용(李達容)ㆍ유정근(柳鼎根)ㆍ안우선(安禹善)ㆍ홍익섭(洪益燮)ㆍ이용서(李龍緖)ㆍ정경덕(鄭敬德)ㆍ이상규(李象奎)ㆍ안정철(安廷喆)ㆍ김용제(金龍濟)ㆍ송문현(宋文鉉)ㆍ박영상(朴永相)ㆍ윤치석(尹致錫)ㆍ유정근(柳丁根)ㆍ송규현(宋奎鉉)ㆍ이명식(李命植)ㆍ김도상(金度商)ㆍ임태로(任泰魯)ㆍ유우근(柳雨根)ㆍ이조함(李祖咸)ㆍ조효승(曺孝承)ㆍ조기화(趙基華)ㆍ김정섭(金鼎燮)ㆍ강준형(姜俊亨)ㆍ안의수(安毅壽)ㆍ송상현(宋商鉉)ㆍ이재귀(李在龜)ㆍ윤진원(尹進源)ㆍ이면검(李勉儉)ㆍ구영조(具榮祖)ㆍ황식(黃植)ㆍ신명홍(申命鴻)ㆍ이승덕(李承德)ㆍ조병승(趙秉承)ㆍ이병호(李炳虎)ㆍ정수인(鄭遂寅)ㆍ윤태섭(尹泰燮)ㆍ윤익(尹)ㆍ유치오(兪致五)ㆍ백낙필(白樂弼)ㆍ윤성구(尹成求)ㆍ안광설(安光卨)ㆍ신호(辛浩)ㆍ조경식(趙慶植)ㆍ심성택(沈性澤)ㆍ황상현(黃商顯)ㆍ신종항(愼宗恒)ㆍ조성항(趙性恒)ㆍ신성묵(辛性默)ㆍ백낙희(白樂熙)ㆍ윤허(尹栩)ㆍ서택중(徐宅中)ㆍ조성채(趙成采)ㆍ황직(黃稙)ㆍ조한귀(趙漢龜)ㆍ심의지(沈毅之)ㆍ구명서(具命書)ㆍ안상렬(安相烈)ㆍ서직순(徐直淳)ㆍ송왕호(宋汪浩)ㆍ윤병구(尹秉求)ㆍ조기채(趙岐采)ㆍ윤치익(尹致益)ㆍ서상준(徐相俊)ㆍ임석준(任奭俊)ㆍ남궁영(南宮泳)ㆍ안광열(安光說)ㆍ이원상(李源相)ㆍ이택(李垞)ㆍ이의돈(李義敦)ㆍ이병학(李炳鶴)ㆍ양종태(梁鍾泰)ㆍ이유(李濡)ㆍ심회지(沈晦之)ㆍ홍병삼(洪秉三)ㆍ이기찬(李箕燦)ㆍ홍병원(洪秉元)ㆍ정지태(鄭志泰)ㆍ양태환(梁泰煥)ㆍ김상필(金相弼)ㆍ이면회(李冕會)ㆍ홍재신(洪在新)ㆍ윤성구(尹聖求)ㆍ심의긍(沈宜肯)ㆍ구철조(具哲祚)ㆍ유진구(兪鎭求)ㆍ김정호(金定皓)ㆍ윤헌(尹櫶)ㆍ김익명(金益命)ㆍ백항수(白恒洙)ㆍ이병두(李秉斗)ㆍ홍병하(洪秉夏)ㆍ윤희조(尹羲肇)ㆍ박대수(朴大壽)ㆍ백기진(白箕鎭)ㆍ조면규(趙冕奎)ㆍ윤태봉(尹泰鳳)ㆍ이석호(李奭鎬)ㆍ유상석(兪相奭)ㆍ황필(黃馝)ㆍ조성호(趙性浩)ㆍ심능교(沈能喬)ㆍ구돈서(具敦書)ㆍ유윤근(柳潤根)ㆍ이재희(李載熙)ㆍ박병희(朴秉熙)ㆍ이건식(李建植)ㆍ박노순(朴魯淳)ㆍ이건우(李建祐)ㆍ이규익(李圭益)ㆍ남두희(南斗熙)ㆍ심우택(沈遇澤)ㆍ유기후(柳冀厚)ㆍ이용(李榕)ㆍ유욱(柳頊)ㆍ이창수(李昌秀)ㆍ성철구(成哲求)ㆍ이용기(李容夔)ㆍ박준해(朴準楷)ㆍ황인수(黃獜秀)ㆍ이화영(李華英)ㆍ서상훈(徐相薰)ㆍ이재선(李在璿)ㆍ권복규(權復圭)ㆍ이근동(李根東)ㆍ신종륜(愼宗崙)ㆍ구병희(具秉喜)ㆍ이창구(李昌求)ㆍ신재무(申在武)ㆍ윤택경(尹宅慶)ㆍ안광섬(安光暹)ㆍ백낙호(白樂浩)ㆍ이규익(李奎益)ㆍ홍우헌(洪祐憲)ㆍ한우모(韓友模)ㆍ이경회(李經會)ㆍ이재정(李載鼎)ㆍ남계린(南啓獜)ㆍ서기방(徐基邦)ㆍ이계선(李啓善)ㆍ최입중(崔立中)ㆍ박재경(朴在卿)ㆍ이재형(李在衡)ㆍ성익운(成翼運)ㆍ이종형(李鍾瀅)ㆍ김상오(金相五)ㆍ최용환(崔龍煥)ㆍ홍종만(洪鍾萬)ㆍ이병순(李秉純)ㆍ홍종석(洪鍾奭)ㆍ김기태(金箕泰)ㆍ이원일(李源一)ㆍ최우명(崔祐命)ㆍ윤억(尹檍)ㆍ홍재봉(洪在鳳)ㆍ이준회(李濬會)ㆍ송주학(宋柱學)ㆍ원세하(元世夏)ㆍ이택신(李宅信)ㆍ김상은(金相殷)ㆍ민영우(閔泳禹)ㆍ심능항(沈能恒)ㆍ성속(成涑)ㆍ이종륜(李鍾崙)ㆍ홍우석(洪禹錫)ㆍ신성조(申聖朝)ㆍ이종대(李鍾岱)ㆍ홍재원(洪在元)ㆍ한홍리(韓弘履)ㆍ이진석(李晉錫)ㆍ최홍석(崔鴻錫)ㆍ한승교(韓承敎)ㆍ이병승(李秉承)ㆍ홍재선(洪在宣)ㆍ임도준(任道準)ㆍ권사순(權思淳)ㆍ남효철(南孝哲)ㆍ최이섭(崔理燮)ㆍ민규혁(閔奎爀)ㆍ이회원(李會元)ㆍ정화경(鄭和敬)ㆍ이복규(李復奎)ㆍ최원(崔瑗)ㆍ한승렬(韓升烈)ㆍ이노(李櫓)ㆍ윤석남(尹錫男)ㆍ최웅중(崔熊中)ㆍ홍재영(洪在榮)ㆍ이주백(李周栢)ㆍ임성준(任晟準)ㆍ최병렬(崔炳烈)ㆍ한국리(韓國履)ㆍ이병주(李秉周)ㆍ남대영(南大榮)ㆍ최상렬(崔相烈)ㆍ이수인(李秀仁)ㆍ조희열(趙羲說)ㆍ권간(權幹)ㆍ남길수(南吉秀)ㆍ한동수(韓東洙)ㆍ조익환(趙益煥)ㆍ이진회(李鎭會)ㆍ박내원(朴來遠)ㆍ한용원(韓用元)ㆍ조대하(趙大夏)ㆍ이병선(李秉善)ㆍ원후성(元厚成)ㆍ한봉리(韓奉履)ㆍ이욱래(李郁來)ㆍ권성규(權聖圭)ㆍ최낙현(崔洛鉉)ㆍ원후만(元厚晩)ㆍ김윤(金潤)ㆍ박내학(朴來學)ㆍ조수겸(趙洙謙)ㆍ이만회(李萬會)ㆍ한용례(韓用禮)ㆍ홍익수(洪益壽)ㆍ조태하(趙泰夏)ㆍ신정우(申正雨)ㆍ이우헌(李佑憲)ㆍ서명보(徐蓂輔)ㆍ홍병규(洪秉奎)ㆍ임긍준(任兢準)ㆍ이순익(李舜翼)ㆍ심병택(沈柄澤)ㆍ오문선(吳文善)ㆍ홍익삼(洪益三)ㆍ이정재(李政在)ㆍ윤승대(尹升大)ㆍ이낙원(李樂遠)ㆍ박병직(朴秉直)ㆍ이인구(李寅求)ㆍ윤회영(尹會榮)ㆍ안광호(安光皓)ㆍ이조훈(李祖勳)ㆍ장인급(張寅汲)ㆍ박길순(朴吉淳)ㆍ이창준(李昌峻)ㆍ김낙구(金樂九)ㆍ송주하(宋柱夏)ㆍ이조화(李祖華)ㆍ구창조(具昌祖)ㆍ한영교(韓永敎)ㆍ유영근(柳永根)ㆍ이준(李儁)ㆍ김용연(金用淵)ㆍ조수령(趙洙靈)ㆍ한용혁(韓用爀)ㆍ서재후(徐載厚)ㆍ황만주(黃萬周)ㆍ이조원(李祖元)ㆍ조수동(趙洙東)ㆍ한정유(韓定裕)ㆍ임백순(任百淳)ㆍ유원모(柳遠謨)ㆍ김기수(金箕壽)ㆍ이택래(李澤來)ㆍ한영교(韓英敎)ㆍ조기환(趙箕煥)ㆍ윤홍일(尹鴻一)ㆍ오광선(吳光善)ㆍ이상옥(李象玉)ㆍ김봉희(金鳳喜)ㆍ신명휴(申命休)ㆍ이호섭(李鎬燮)ㆍ오도영(吳道泳)ㆍ김사욱(金思旭)ㆍ이종영(李鍾榮)ㆍ신태술(申泰述)ㆍ윤학주(尹鶴柱)ㆍ이석중(李錫重)ㆍ김재선(金在璇)ㆍ정현석(鄭賢錫)ㆍ이승건(李承健), 진사 조성민(趙性敏), 유학 이정민(李鼎敏)ㆍ한형교(韓亨敎)ㆍ김우식(金禹植)ㆍ조기순(趙耆淳)ㆍ오윤조(吳胤祖)ㆍ박두수(朴斗壽)ㆍ김상신(金相愼)ㆍ이승유(李承儒)ㆍ조재후(趙載厚)ㆍ한원교(韓元敎)ㆍ김상구(金相九)ㆍ이정재(李正在)ㆍ정순용(鄭舜鎔)ㆍ오건영(吳建泳)ㆍ이석기(李錫冀)ㆍ김교한(金敎翰)ㆍ정제원(鄭濟遠)ㆍ구원조(具源祖)ㆍ이세재(李世在)ㆍ정만원(鄭萬源)ㆍ서형보(徐亨輔)ㆍ이병각(李秉珏)ㆍ김만수(金晩洙)ㆍ유치우(兪致友)ㆍ황우연(黃愚淵)ㆍ김지풍(金持豐)ㆍ유영인(柳榮寅)ㆍ오치주(吳致冑)ㆍ정경운(鄭慶雲)ㆍ신약우(申若雨)ㆍ윤현우(尹顯佑)ㆍ이원재(李瑗在)ㆍ홍용주(洪龍周)ㆍ유직주(柳直柱)ㆍ오장선(吳章善)ㆍ신홍구(愼鴻九)ㆍ심정택(沈正澤)ㆍ홍재현(洪在賢)ㆍ황종문(黃鍾文)ㆍ김동수(金東秀)ㆍ윤급(尹圾)ㆍ오수영(吳壽泳)ㆍ유규환(兪奎兪)ㆍ박원양(朴圓陽)ㆍ한명리(韓明履)ㆍ심원필(沈遠弼)ㆍ윤학일(尹鶴一)ㆍ홍재범(洪在範)ㆍ오성선(吳成善)ㆍ유진주(兪鎭周)ㆍ이응명(李應明)ㆍ이승신(李承紳)ㆍ한선리(韓善履)ㆍ오일영(吳一泳)ㆍ김병로(金炳魯)ㆍ박정림(朴挺林)ㆍ유치우(兪致遇)ㆍ허우(許䨞)ㆍ서상천(徐相天), 진사 황종호(黃宗浩), 유학 심형택(沈澤)ㆍ정우채(鄭羽采)ㆍ신영서(愼永書)ㆍ이학민(李學敏)ㆍ김만수(金晩秀)ㆍ오치언(吳致彦)ㆍ유석주(兪奭柱)ㆍ박종순(朴宗恂)ㆍ신관휴(申觀休)ㆍ조경서(趙景序)ㆍ심주현(沈周鉉)ㆍ이승은(李承殷)ㆍ김문원(金聞遠)ㆍ오치성(吳致星)ㆍ박제칠(朴齊七)ㆍ홍양섭(洪暘燮)ㆍ최경근(崔敬根)ㆍ원각(元慤)ㆍ조동귀(趙東龜)ㆍ한태회(韓台會)ㆍ유진민(兪鎭民)ㆍ박제동(朴濟東)ㆍ윤희태(尹羲泰)ㆍ최규석(崔圭錫)ㆍ이호건(李鎬建)ㆍ오항선(吳恒善)ㆍ유철준(兪哲濬)ㆍ이순용(李舜用)ㆍ심의국(沈宜國)ㆍ이간(李侃)ㆍ정학림(鄭學林)ㆍ이승주(李承周)ㆍ박도양(朴度陽)ㆍ신긍(申綮)ㆍ이재연(李在淵)ㆍ박희대(朴羲大)ㆍ양익수(梁益洙)ㆍ이재봉(李在鳳)ㆍ오황묵(吳璜默)ㆍ서상일(徐相一)ㆍ김직연(金稷淵)ㆍ이창재(李昌宰)ㆍ오형선(吳逈善)ㆍ윤명구(尹命求)ㆍ김재형(金在衡)ㆍ이건국(李建國)ㆍ유창환(兪昌煥)ㆍ박병상(朴秉常)ㆍ이홍재(李弘宰)ㆍ정세영(鄭世永)ㆍ심의혁(沈宜赫)ㆍ김광현(金光鉉)ㆍ이병재(李炳在)ㆍ오치석(吳致奭)ㆍ정낙기(鄭洛基)ㆍ윤인구(尹仁求)ㆍ권종선(權鍾璇)ㆍ심양택(沈亮澤)ㆍ원후등(元厚鄧)ㆍ조경우(趙景虞)ㆍ김상준(金相俊)ㆍ이상훈(李象薰)ㆍ박의문(朴義文)ㆍ이근원(李根遠)ㆍ정경인(鄭敬仁)ㆍ황익주(黃益周)ㆍ이건철(李建徹)ㆍ한용직(韓用稷)ㆍ강세희(姜世熙)ㆍ오치필(吳致弼)ㆍ신광희(申匡熙)ㆍ이면재(李冕宰)ㆍ유익원(兪益遠)ㆍ오일영(吳鎰泳)ㆍ이상각(李象珏)ㆍ김급(金汲)ㆍ오기선(吳基善)ㆍ이희보(李羲輔)ㆍ김사순(金思舜), 진사 이병시(李秉蓍), 유학 오태영(吳泰泳)ㆍ윤희성(尹禧成)ㆍ이준(李壿)ㆍ원영준(元永俊)ㆍ홍익운(洪益運)ㆍ이호형(李鎬瀅)ㆍ권종혁(權鍾赫)ㆍ임병준(任秉準)ㆍ이현민(李賢敏)ㆍ김뇌상(金耒商)ㆍ정환유(鄭煥有)ㆍ오직선(吳直善)ㆍ황근수(黃謹秀)ㆍ신용우(申用雨)ㆍ심능빈(沈能斌)ㆍ유장섭(兪章燮)ㆍ조경호(趙景鎬)ㆍ박종열(朴宗悅)ㆍ원강의(元剛義)ㆍ구원조(具源祖)ㆍ서재응(徐載應)ㆍ홍종채(洪鍾采)ㆍ윤현광(尹顯光), 진사 오득선(吳得善), 유학 최필순(崔弼淳)ㆍ신용희(申龍熙)ㆍ민영익(閔泳益)ㆍ임상준(任尙準)ㆍ유계용(柳啓用)ㆍ한욱회(韓旭會)ㆍ허준영(許俊永)ㆍ권학규(權鶴圭)ㆍ신병길(愼炳吉)ㆍ송우현(宋禹鉉)ㆍ신성모(申性模)ㆍ구연우(具然愚)ㆍ안석구(安奭求)ㆍ진병익(陳秉翼)ㆍ강봉희(姜鳳熙)ㆍ이운용(李雲容)ㆍ김조현(金祖鉉)ㆍ오덕선(吳德善)ㆍ정제인(鄭濟寅)ㆍ윤태래(尹泰來)ㆍ신영서(愼永書)ㆍ한익리(韓翼履)ㆍ이민철(李敏轍)ㆍ김교식(金敎植)ㆍ오치희(吳致熙)ㆍ박원보(朴元輔)ㆍ조성각(趙性珏)ㆍ정덕수(鄭德修)ㆍ안원구(安元求)ㆍ신황(申榥)ㆍ구계조(具啓祖)ㆍ황의경(黃義慶)ㆍ강의수(姜義秀)ㆍ유봉환(兪鳳煥)ㆍ송재교(宋在敎)ㆍ이상순(李象純)ㆍ박병희(朴秉希)ㆍ신정집(辛正集)ㆍ강기언(康基彦)ㆍ한용설(韓用卨)ㆍ박민귀(朴敏龜)ㆍ민영우(閔泳愚)ㆍ유선(柳詵)ㆍ조성환(趙誠煥)ㆍ김보현(金普鉉)ㆍ이직(李)ㆍ신공집(辛公集)ㆍ김필(金泌)ㆍ이경(李坰)ㆍ김주현(金疇鉉)ㆍ정세용(鄭世鎔)ㆍ김기우(金箕祐)ㆍ오기영(吳基泳)ㆍ한상교(韓庠敎)ㆍ심상한(沈相翰)ㆍ윤태래(尹泰來)ㆍ신태휴(申泰休)ㆍ홍규섭(洪規燮)ㆍ이영래(李英來)ㆍ김명식(金命植)ㆍ송우순(宋祐淳)ㆍ유진만(兪鎭萬), 진사 홍재무(洪在戊), 유학 심헌택(沈憲澤)ㆍ박근양(朴近陽)ㆍ원후일(元厚一)ㆍ신학구(愼鶴九)ㆍ조규하(趙圭夏)ㆍ안승렬(安承烈)ㆍ신화(申樺)ㆍ한성유(韓聖裕)ㆍ구만희(具萬喜)ㆍ박겸호(朴謙浩)ㆍ신용묵(辛容默)ㆍ이용(李鎔)ㆍ김용집(金用集)ㆍ오효선(吳斅善)ㆍ황기동(黃夔東)ㆍ최화기(崔華琦)ㆍ한진교(韓晉敎)ㆍ유진우(兪鎭祐)ㆍ이재근(李載根)ㆍ신태형(申泰亨)ㆍ김영훈(金永勛)ㆍ김사용(金思容)ㆍ이성래(李成來), 진사 이태하(李泰夏), 유학 정해응(鄭海應)ㆍ신태영(申泰榮)ㆍ서태순(徐太淳)ㆍ송규진(宋奎鎭)ㆍ박상우(朴尙愚)ㆍ성정호(成定鎬)ㆍ백낙연(白樂淵)ㆍ유흥주(柳興周)ㆍ조태순(趙太淳)ㆍ황태연(黃台淵), 진사 윤훈(尹塤), 유학 기동응(奇東應), 생원 남궁용(南宮鏞)ㆍ이조문(李祖文)ㆍ신하범(愼夏範)ㆍ안병선(安秉善)ㆍ민준호(閔俊鎬)ㆍ강민회(姜民會)ㆍ신면희(申勉熙)ㆍ한규영(韓奎榮), 진사 구득선(具得善), 유학 김기하(金箕夏)ㆍ홍병국(洪秉國)ㆍ임석호(任奭鎬)ㆍ심의악(沈宜岳)ㆍ권사중(權思中)ㆍ박병식(朴秉軾)ㆍ조장하(趙璋夏)ㆍ이경회(李敬會)ㆍ원후신(元厚臣)ㆍ박내우(朴來禹)ㆍ김희식(金羲植)ㆍ이병직(李秉稷)ㆍ신성휴(申星休)ㆍ민유호(閔有鎬)ㆍ원정(元炡)ㆍ조익환(趙翼煥)ㆍ신석교(申錫敎)ㆍ이민식(李敏軾)ㆍ오달영(吳達泳)ㆍ이희병(李羲丙)ㆍ김윤택(金胤澤)ㆍ이주호(李周鎬)ㆍ유영준(兪永濬)ㆍ권사국(權思國)ㆍ이호달(李鎬達)ㆍ오유선(吳有善)ㆍ박규진(朴奎鎭)ㆍ한종리(韓鍾履)ㆍ신태희(申泰熙)ㆍ박명수(朴明壽)ㆍ이주항(李周恒)ㆍ김창식(金昌植)ㆍ오국선(吳國善)ㆍ정흥기(鄭興基)ㆍ박제긍(朴齊兢)ㆍ이덕재(李德在)ㆍ오대선(吳大善)ㆍ이근장(李根長)ㆍ심계연(沈啓淵)ㆍ이기동(李基東)ㆍ심의양(沈宜陽)ㆍ이민홍(李敏洪)ㆍ조성하(趙性夏)ㆍ이민오(李敏五)ㆍ이복영(李福永)ㆍ심의영(沈宜英)ㆍ이민정(李敏貞)ㆍ안인수(安麟壽)ㆍ김병요(金炳堯)ㆍ백창수(白昌洙)ㆍ이학영(李學永)ㆍ최중권(崔中權)ㆍ이재달(李載達)ㆍ임형준(任亨準)ㆍ이두남(李斗南)ㆍ최현섭(崔賢燮)ㆍ신종학(愼宗鶴)ㆍ이상우(李象愚)ㆍ안영석(安英錫)ㆍ이상원(李象元)ㆍ황흥주(黃興周)ㆍ김경호(金景浩)ㆍ이회일(李會一)ㆍ안광한(安光漢)ㆍ신우성(愼禹晟)ㆍ황윤원(黃崙源)ㆍ홍완주(洪完周)ㆍ이용두(李用斗)ㆍ신용묵(辛容默)ㆍ박영현(朴泳鉉)ㆍ이승도(李承道)ㆍ조덕채(趙德采)ㆍ백염수(白念洙)ㆍ한상교(韓商敎)ㆍ이중화(李中和)ㆍ이승효(李承孝)ㆍ송태만(宋台萬)ㆍ이상만(李象萬)ㆍ송교식(宋敎植)ㆍ민응식(閔膺植)ㆍ신취선(申取善)ㆍ이의조(李義祚)ㆍ심흥택(沈興澤)ㆍ이학연(李學淵)ㆍ민홍식(閔弘植)ㆍ조동섭(趙東燮)ㆍ신효선(申孝善)ㆍ홍종후(洪鍾厚)ㆍ심의빈(沈宜彬)ㆍ박제만(朴齊萬)ㆍ민영복(閔泳復)ㆍ이수영(李秀榮)ㆍ김영복(金永復)ㆍ이종근(李鍾謹)ㆍ박선양(朴善陽)ㆍ심의건(沈宜建)ㆍ어윤익(魚允翼)ㆍ박제도(朴齊道)ㆍ이헌영(李憲永)ㆍ신규영(申奎永)ㆍ민원식(閔元植)ㆍ남치영(南致榮)ㆍ최규학(崔圭學)ㆍ조홍석(趙鴻錫)ㆍ이주송(李周松)ㆍ홍병심(洪秉心)ㆍ송계영(宋啓榮), 진사 이수현(李秀賢), 유학 한덕리(韓德履)ㆍ이재교(李在喬)ㆍ홍재평(洪在平)ㆍ홍주언(洪柱彦)ㆍ조희룡(趙羲龍)ㆍ이병연(李秉淵)ㆍ남효건(南孝健)ㆍ한경리(韓敬履)ㆍ이용기(李鏞器)ㆍ홍대섭(洪大燮)ㆍ이창목(李昌穆)ㆍ최우락(崔遇洛)ㆍ이두칠(李斗七)ㆍ이흥규(李興奎)ㆍ임경호(任景鎬)ㆍ이정순(李貞淳)ㆍ이두영(李斗英)ㆍ김진규(金鎭逵)ㆍ신승우(申承祐)ㆍ최상우(崔尙友)ㆍ이재승(李載昇)ㆍ원형상(元亨常)ㆍ김귀호(金龜浩)ㆍ이성의(李聖儀)ㆍ오병선(吳炳善)ㆍ김학연(金學淵) 등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우리 전하께서는 하늘로부터 타고난 성인으로서 큰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나, 친히 만기(萬機)의 정사를 처리하고 뭇 관료를 격려하며, 올바른 전형(典刑)을 닦아 거행하고 옛 법을 따라 말미암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정령(政令) 가운데 혹 불편한 것이 있으면 모두 다스려 고치고 의리(義理) 가운데 혹 지엄한 데 관련되는 것이 있으면 더욱 천명하여 밝히셨는바, 드디어 지난달 13일에는 특별히 만동묘(萬東廟)를 다시 건립하라는 분부를 내리셨으니, 아, 성대하고도 아름다운 일이었습니다. 지난날 명(明) 나라 사직(社稷)이 멸망한 뒤 이제 거의 300년이 되는데, 북쪽으로 중국을 바라보고 눈을 들어 살펴봄에 비린내와 더러움만 넘쳐나고 있습니다. 《춘추(春秋)》의 대의와 관련하여 존주(尊周)의 책을 강명하는 사람은 없고 모든 중국 유민들은 한(漢) 나라를 생각하는 구가(謳歌)를 잊고 있는데, 오직 우리 동방만은 열성(列聖)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이 의리를 뿌리내리도록 하여 대대로 가법으로 준수해서 오늘날의 아름다움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덕음(德音)이 선포되자 팔도가 환희에 넘치고 묘의 모습이 다시 새로와짐에 수많은 선비들이 구름처럼 모여 고무되었는바, 드디어 대명(大明)의 일월(日月)로 하여금 어두워졌다가 다시 빛을 회복하고 구묘(九廟)의 향불로 하여금 끊어졌다가 다시 이어지게 하여, 천경지의(天經地義)가 이로부터 더욱 드러나게 되었고 삼강구법(三綱九法)이 의뢰하여 썩지 않게 되었습니다. 붉은 서까래 겹 처마의 건물이 비록 지난날 잠시 철거되었다 하더라도 붉은 현악기를 연주하며 한 번 노래하여 찬송하는 것을 다행히 오늘날 다시 들을 수 있게 되었으니, 신들이 기뻐 춤을 추며 경축하는 외에 다시 무슨 군말을 하여 시끄럽게 한다는 꾸짖음을 초래하겠습니까. 다만 구구한 작은 정성에 성명께 한 번 토로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있으니, 삼가 바라건대 살펴 주소서.
삼가 생각건대, 만동묘 아래에는 일찍이 화양서원(華陽書院)이 있었으니, 바로 선정신(先正臣)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을 제사하던 곳입니다. 그동안 황묘가 철거됨으로 인하여 서원도 또한 따라서 폐지되었지만 지금 이미 황묘를 다시 건립하였으니 의리상 이 서원도 아울러 복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원하건대 그 이유를 대략 진달드리겠습니다. 송시열은 세상에 드문 진유(眞儒)이자 하늘로부터 타고난 영호(英豪)함으로 우리 효종 대왕(孝宗大王)께서 강상을 부여잡고 명 나라를 위해 와신상담하고 있던 날에 서로 만났는데, 물고기와 물이 만난 것처럼 의기가 부합하여 《춘추》의 의리를 천명하였습니다. 청(淸) 나라에 비단과 주옥의 조공을 바치는 가운데에도 얼음을 품고 불을 쥐고 있는 듯한 분발의 자세로 복수하겠다는 맹세를 잊지 아니하여, 소장을 진달하고 경연에서 대답하는 즈음에 매번 효종의 철장(鐵杖)과 목마(木馬)의 뜻을 도왔습니다. 불행하게도 효종께서 갑자기 승하하시어 뜻을 둔 사업을 이루지 못하였는데, 이에 정강(靜江)에서 순(舜) 임금을 제사하는 예를 모방하여 묘우(廟宇)를 설치하여 신종 현황제(神宗顯皇帝)와 의종 열황제(義宗烈皇帝)를 제사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시의 의논이 일치하지 아니하여 일이 결국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초산(楚山)에서 유언을 남겨 제자에게 부탁하였는데, 마침내 명이 멸망한 지 60년이 되는 갑신년(1704, 숙종30)에 봄가을로 제사하는 예를 능히 거행하였던 것입니다. 이는 대체로 두 황제를 제사하여 한편으로는 임진년에 우리나라를 다시 조성해 준 은혜를 갚고 한편으로는 갑신년에 사직을 따라 죽은 슬픔을 깃들여, 천하 만세에 대의를 드날려 우리 생명을 지닌 인류로 하여금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한다는 큰 윤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자 하였으니, 참으로 송시열이 창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에 화양서원을 산 외진 곳의 조금 먼 땅에 건립하였다가, 황묘(皇廟)가 이미 완성된 뒤에는 거리가 조금 먼 것을 혐의하여 황묘 앞에 옮겨 건립하였으니, 이는 대체로 두보(杜甫)의 시에서 이른바, ‘무후의 사당이 길이 이웃해 있으니 일체인 임금과 신하이기에 제사를 한가지로 하였네.[武侯祠屋長隣近 一體君臣祭祀同]’라는 뜻을 취한 것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매번 황묘에 제사할 때를 당하면 먼저 2변(籩)과 2두(豆)로써 황제의 영령께 올려 존왕(尊王)의 의리를 표하고, 다음으로 1변과 1두로써 서원에 아울러 제사 지내서 배신(陪臣)의 충성을 표시하였던 것이니, 그 명분이 바르고 의리가 순조로우며 신(神)의 이치가 서로 의지하고 있는바 결코 한 곳은 거행하고 한 곳을 폐지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에 예전 우리 숙묘(肅廟)께서는 병신년(1716, 숙종42)에 직접 ‘화양서원’이라는 넉 자를 써서 서원의 현판으로 걸게 하고 분부하시기를, ‘지금은 비록 서원을 중복되게 설치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있으나, 봉조하에 대한 평일의 예우는 특수하여 다른 유현(儒賢)들과는 다르고 화양동은 또 다른 곳과는 비교할 곳이 아니니, 서원을 창설하는 것이 부득이하다. 내가 병을 앓고 있는 중이라 필획이 더욱 졸렬하지만 내가 굳이 직접 쓰는 것은 나의 존경하는 마음을 붙이려는 것이다.’ 하셨습니다. 또 제문(祭文)을 내려 말씀하시기를, ‘산천의 아름다움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데, 하물며 황제의 필적을 마애비(磨崖碑)에 새겨 놓았음에랴. 비풍(匪風)의 끼친 뜻 이곳 바위 문에 붙였으니, 마땅히 제사하여 받들기를 전형(典刑)과 같이 해야 하네.[山川之美 杖屢攸停 矧伊帝翰 于厓有銘 匪風遺意 寓此巖扃 宜尸而祝 彷像典刑]’ 하셨으며, 또 말씀하시기를, ‘일월이 높이 임해 있으니 대명의 천지로다. 이에 특별히 감회가 있어 드러낼 방도를 생각하게 되었다.[日月高臨 有明天地 玆焉特感 思所表示]’ 하셨습니다. 지난 영묘조(英廟朝)에는 특별히 또 글을 지어 제사를 지내시기를, ‘한 고을 동천(洞天)에는 대명의 일월이 떠있네. 하늘에 닿는 떳떳한 윤리 힘입어 실추되지 않았네. 한 조각 하늘 깨끗한 곳 아래 묘우의 지붕 서로 이웃하고 있네.[一府洞天 大明日月 極天彝倫 賴以不墜 一片乾淨 祠屋相隣]’ 하셨습니다. 또 지난날 우리 정묘조(正廟朝)께서는 친히 제문을 짓기를, ‘계림에선 순 임금을 제사하고, 초 나라 시골에선 소왕을 제사한다네. 배신을 서원에 모심에 그 사우를 이웃하게 하였네.[桂林享舜 楚鄕祭昭 陪臣院享 隣近其祠]’ 하셨고, 또 ‘일체로 조두를 올리는데, 서너 길 높이 유신의 묘우로다.[一體俎豆 數仞儒宮]’ 하셨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열성조들께서 대의를 표장하고 선정을 존경한 뜻이 이와 같이 간절하였는데, 반드시 모두 황묘와 서원이 서로 이웃하고 있는 의리를 가지고 권권하게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이 어찌 위에 황묘를 건립하고 아래에 서원을 설치하여 일체인 군신으로서 제사하는 의식을 차례로 거행하면 더욱 대의에 빛나게 되어서가 아니겠으며, 또한 어찌 예로부터 충현으로서 크게 훈로가 있으면 묘정(廟庭)에 올려 배향하여 백세하도록 함께 제사하는 뜻이 아니겠습니까. 이 때문에 일찍이 황묘와 서원의 거리가 조금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도 오히려 또한 가까운 곳으로 서원을 옮겼던 것이니, 어찌 황묘는 있는데 서원은 없으며 하나는 복구하면서 하나는 폐지시킬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또 삼가 생각건대, 황묘와 서원을 창설하던 처음에 성스런 임금과 훌륭한 신하가 서로 더불어 위에서 강구하고, 큰 덕을 지닌 이름난 유자(儒者)들이 서로 더불어 아래에서 헤아리면서 예전(禮典)을 상고하고 의리를 참고하여, 이에 황제의 영령이 오르내리는 곁에 이 배신을 따라 제향하는 예를 두었던 것입니다. 지금 황묘를 복구하는 날을 당해서는 응당 옛 제도를 한결같이 따라 서원을 함께 설치해야 하는 것이니, 이 어찌 선왕의 이루어놓은 법을 거울삼아 영원히 허물이 없게 되는 의리가 아니겠습니까. 신들이 근자에 엎드려 유학 황학주(黃學周)가 올린 상소에 대해 비답을 내린 것을 보았는데, ‘송 선정의 평소 지녔던 대의는 황묘를 받들어 모셨던 데 있다. 그 황묘를 지금 이미 다시 설치하였으니 의리는 이로부터 더욱 밝아질 것이고, 송 선정의 잠들지 못한 영혼도 컴컴한 지하에서 느껴 다행스럽게 생각할 것이다. 서원을 다시 설치하느냐의 여부가 선정의 의리에 무슨 관계가 있겠는가. 번거롭게 할 필요가 없다.’라고 하셨는바, 하늘과 같은 성상의 분부에 대하여 어찌 감히 다시 시끄럽게 굴겠습니까. 그러나 황묘를 이미 다시 설치하였으니 송 선정의 잠들지 못한 영혼이 컴컴한 지하에서 느껴 다행스럽게 생각할 것인데, 이 서원을 아울러 복구하여 배신을 더욱 가까이 있게 하면 두 황제의 밝은 영령도 또한 어찌 컴컴한 지하에서 위안이 되지 않겠습니까. 의리가 이와 같은 것이니, 만동묘만의 복구는 비록 진미(眞美)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더라도 삼가 아직 진선(眞善)하지는 못하다고 여깁니다.
신들이 이번의 여러 서원을 함께 철거한 뒤를 당하여 감히 분분하게 복구를 청할 수는 없습니다만, 오직 이 화양서원만은 사안이 대의에 관계되고 중요성이 각별한바 예의에 있어 응당 만동묘와 더불어 백세하도록 함께 건립하여 일체 제사를 지내야 합니다. 그러므로 이에 감히 똑같은 소리로 성상의 귀에 우러러 호소하는 바이니, 삼가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굽어살피시어 특별히 화양서원을 다시 설립하라는 명을 내리시어 대의를 빛내고 사문(斯文)을 다행스럽게 해 주소서. 신들은 황공한 심정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하니, 답하기를,
“상소를 보고 잘 알았다. 전후의 비답을 보지 못하여 이와 같이 구는 것인가? 경들은 물러가 학업을 닦으라.”
하였다.
ⓒ 한국고전번역원 | 이의강 (역) | 1996
....................
武侯祠屋長隣近
杜甫 《咏怀古迹五首·其四》
蜀主窥吴幸三峡,崩年亦在永安宫。(窥 一作:征)
翠华想像空山里,玉殿虚无野寺中。
古庙杉松巢水鹤,岁时伏腊走村翁。
武侯祠屋常邻近,一体君臣祭祀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