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다랑어 : Euthynnus affinis (Cantor) (E. affinis Kishinouye)
► 방 언 : 점다랑어(경남), 마다래(포항), 배어기(제주 한림)
► 외국명 : (영) Kawakawa, Mackerel tuna, (일) Suma (スマ, 須萬、須万), Hiragatsuo, (호주) Bonito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00㎝, 체중 14kgRkwl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60㎝ 정도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통통한 편이며, 가다랑어와 비슷하나 몸 등쪽에 청흑색의 띠가 비스듬히 많이 그어져 있고, 가슴지느러미 밑에 1~7개의 흑점이 있다. 서골과 구개골에는 한 줄의 세로줄 이빨이 있다. 주둥이 길이는 머리의 눈 뒤 길이(眼後長)의 반보다 길고 몸길이는 머리 길이의 3.2~3.3배이다. 등지느러미의 시발부는 새개 주골 변두리와 꼬리자루 융기선의 뒤끝과의 중앙에 있다. 본 종은 살아있을 때 흥분 상태 또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사이에 흑색 원형 반점이 1~8개 선명하게 나타난다.
크기는 전장 100㎝ 정도이다. 몸은 방추형이며 미병부가 가늘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며 눈이 크다. 부레가 없다. 척추선의 융기부가 드러나 있지 아니하다. 등지느러미 가시부의 기저부가 길고 앞쪽 가시들이 뒤의 것들보다 현저히 높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에 7~8개의 토막 지느러미가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상엽과 하엽이 거의 수직으로 뻗어있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둥글게 패여있다. 등면의 흉갑부 뒤에서부터 미병부까지 은청색 바탕 위에 흑색의 끊어진 줄무늬들이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다. 두 배지느러미 사이 피편돌기(Interpelvic process)는 작고 끝이 둘로 갈라졌다. 비늘은 흉갑(胸甲; corselet)과 측선에만 있고 나머지 몸에는 비늘이 없다. 가슴지느러미 기부 아래에 동공 보다 작은 1~7개 검은 점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설 명 : 개방된 바다에 살지만 연안성이 비교적 강해서 항상 해안선 가깝게 있다. 유어는 만이나 항구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수심 50m 이내에서 발견된다. 다른 종들과 혼합되어 100 마리 이상 5000 마리 규모로 무리를 이루어 다닌다. 작은 물고기는 종류를 가리지 않고 잡아먹으며 특히 청어류와 색줄멸류를 많이 먹으며 오징어와 갑각류, 동물플랑크톤도 먹는다. 산란기는 5월(대만)~8월(일본)이고 먹성이 좋은 어류로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산란기는 서식 해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필리핀 근해에서는 3~5월, 쉐이셀 근해에서는 10~11월과 3~5월, 동부아프리카에서는 1~7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 미성숙어의 암수 성비는 1:1이지만 성숙한 개체에서는 수컷이 많다. 어획량은 그다지 많지 않다. 최대 수명은 6년 정도이다. 맛이 좋은 다랑어류이지만 빨리 부패함으로 처리를 잘 해야 한다. 가을이 제철이고 생선회나 구이, 건제품, 염장어, 훈제, 통조림 등으로 이용된다.
제철은 가을~겨울이지만 여름 산란 후 이외에는 별로 맛이 떨어지지 않는다. 대형 개체가 맛이 더 좋다. 비늘은 앞쪽 부분만 있으며, 껍질은 얇다.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혈합육이 많으며, 기름기가 오르면 살의 붉은 빛이 탁해진다. 가열을 해도 살이 많이 줄어들지 않는다. 내장 등에서 좋은 국물이 나온다. 제철의 생선회는 살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입에 머금으면 기름기가 녹아 달콤하다. 신맛은 적고 생선다운 감칠맛이 매우 풍부해서 일품이다. 생선구이, 튀김, 조림, 찌개,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혼슈우 이남), 타이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뉴질랜드, 인도, 아프라키 동부연안, 하와이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및 중부태평양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