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 姜邯贊
#高麗史94卷-列傳7-姜邯贊-001
○姜邯贊舊名殷川衿州人五世祖餘淸自新羅來居始興郡卽衿也父弓珍事太祖爲三韓壁上功臣. 邯贊少好學多奇略成宗朝擢甲科第一累遷禮部侍郞.
강감찬의 처음 이름은 강은천(殷川)이니 금주(衿州) 사람이다. 그의 5대 조(祖) 강여청(餘淸)이 신라로부터 시흥군(始興郡)으로 이사해 와서 살았는바 즉 금주(衿州)이다. 아버지 강궁진(弓珍)은 태조를 도와 건국에 공을 세웠으므로 삼한 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되었다. 강감찬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고 또한 신통한 지략이 많았다. 성종 때에 과거에서 장원 급제하고 벼슬이 여러 번 올라 예부시랑으로 되었다.
顯宗元年契丹主自將攻西京我軍敗報至群臣議降邯贊獨曰: "今日之事罪在康兆非所恤也但衆寡不敵當避其鋒徐圖興復耳." 遂勸王南幸. 二年遷國子祭酒再轉翰林學士承旨左散騎常侍進中樞使請修社稷壇令禮官議定儀注改吏部尙書邯贊有田十二結在開寧縣白王給軍戶.
현종(顯宗) 원년에 거란 임금이 친히 출동하여 고려의 서경을 침공하였는데 고려군이 패배하였다는 보고가 이르자 여러 신하들은 항복할 것을 논의하고 있었다. 이때 유독 강감찬이 반대하기를 “오늘의 사변을 발생시킨 죄는 강조(康兆)에게 있으니 걱정할 바가 아닙니다. 그러나 힘에 겨운 전쟁이니 마땅히 적의 예봉을 피하였다가 천천히 회복할 방도를 강구합시다”하고 드디어 왕을 권하여 남녘으로 피난하게 하였다. 현종 2년에 국자제주(國子祭酒)와 한림학사(翰林學士), 승지(承旨), 좌산기 상시(左散騎常侍) 등 관직을 거쳐서 중추사(中樞使)로 승진되었다. 그는 사직단(社稷壇)을 수축할 것과 예관(禮官)을 시켜서 예절에 대한 규범을 제정할 것을 왕에게 건의하였다. 그 후 이부 상서(吏部尙書)로 전임(轉任)되었다. 강감찬의 토지 12결(結)이 개녕현(開寧縣)에 있었는데 왕에게 고한 후 군인의 집(軍戶)들에 나누어 주었다.
九年除西京留守內史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王手書告身曰: "庚戌年中有虜塵干戈深入漢江濱當時不用姜公策擧國皆爲左衽人." 世多榮之.
그는 현종 9년에 서경 유수 내사시랑 동 내사 문하 평장사(西京留守內史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로 임명되었는데 그 임명장(告身)에 왕이 친필로 쓰기를
“경술년 중에 오랑캐의 무리가 우리 나라 한강(漢江) 연안까지 깊이 침입한 전란이 있었다. 그때 만약 강공의 전략을 채용하지 않았더라면 온 나라가 모두 호북을 입을 뻔했다”고 그의 공적을 특기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영예롭게 여겼다.
契丹蕭遜寧來侵兵號十萬時邯贊爲西北面行營都統使王仍命爲上元帥大將軍姜民瞻副之內史舍人朴從儉兵部郞中柳參爲判官帥兵二十萬八千三百屯寧州至興化鎭選騎兵萬二千伏山谷中以大繩貫牛皮塞城東大川以待之賊至決塞發伏大敗之
당시 거란의 소손녕(蕭遜寧)이 침공하여 왔는데 그 군사가 10만 명이나 된다고들 하였다. 그때 강감찬이 서북면 행영 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로 있었는데 왕이 그를 상원수 대장군으로 임명하고 강민첨(姜民瞻)을 부원수로, 내사사인(內史舍人) 박종검(朴從儉)과 병부 낭중(兵部郞中) 유참(柳參)을 판관(判官)으로 임명한 후 군대 20만 8천3백 명을 인솔시켜 적을 방어하는데 영주(寧州)에 주력을 주둔하여 흥화진(興化鎭)에까지 이르게 하고 기병 1만 2천 명을 선발하여 산중에 매복시키고 굵은 밧줄로 소가죽을 꿰어 성의 동편 대천(城東大川) 물을 막고 대기하고 있다가 적들이 왔을 때 일시에 물을 터놓고 한편으로 복병이 돌격하여 대승리를 거두었다.
遜寧引兵直趍京城民瞻追及於慈州來口山又大敗之侍郞趙元又擊於馬灘斬首萬餘級. 明年正月邯贊以契丹兵逼京遣兵馬判官金宗鉉領兵一萬倍道入衛東北面兵馬使亦遣兵三千三百入援於是契丹回兵至漣渭州邯贊等掩擊斬五百餘級.
소손녕은 군대를 데리고 바로 수도를 향하여 진격하는 것을 강민첨이 추격하여 자주 내구산에서 또 적을 크게 격파하였으며 시랑 조원(趙元)은 마)에서 적을 습격하여 1만여 명을 살해하였다. 이듬해 정월에 강감찬은 거란군이 수도 가까이 침입한다 하여 병마 판관(兵馬判官) 김종현(金宗鉉)에게 군대 1만 명을 인솔시켜 밤낮으로 행군하여 수도를 보위하게 하였으며 일방 동북면 병마사도 또한 3천 3백 명의 구원병을 보내 왔다. 이렇게 되매 거란군은 방향을 전환하여 연위주(漣渭州)에까지 이르렀을 무렵에 강감찬 등이 습격하여 적병 5백여 명을 살해하였다.
二月契丹兵過龜州邯贊等邀戰於東郊兩軍相持勝敗未決宗鉉引兵赴之忽風雨南來旌旗北指我軍乘勢奮擊勇氣自倍契丹兵奔北我軍追擊之涉石川至于盤嶺 尸蔽野 獲人口馬駝甲胄兵仗不可勝數生還者僅數千人
2월에 거란군이 구주(龜州)를 통과할 때에 강감찬 등이 동녘교외에서 적들을 맞받아 나가서 싸웠는데 승부를 보지 못한 채 양군이 서로 대치하고. 이때 김종현의 부대가 도착되었는데 때마침 갑자기 바바람이 남녘으로부터 휩쓸어 와서 깃발이 북으로 나부끼어 아군(고려군)이 이 기세를 타서 맹렬히 공격하니 용기가 스스로 배나 더해졌으며 거란군은 북으로 도망치기 시작했다. 기회를 놓치지 않고 추격하여 석천(石川)을 건너 반령(盤嶺)에 이르는 어간에 적들의 시체가 들에 널렸고 생포한 인원과 노획한 말, 낙타, 갑옷과 투구(甲胄)며 병기 등은 이루 계산할 수 없을 정도이며 적병으로서 살아 돌아간 자는 겨우 수천 명에 불과하였다.
契丹之敗未有如此之甚. 契丹主聞之大怒遣使責遜寧曰: "汝輕敵深入以至於此何面目見我乎? 朕當皮面然後戮之."
거란군은 지금까지 이렇게 비참한 패배를 당해 본 예가 없었다. 거란 임금이 이 소식을 듣고 대단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서 소손녕을 책망하기를 “네가 적을 얕잡아 보고 경솔하게 깊이 들어가서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무슨 낯으로 나를 대하려는가? 내가 너의 얼굴 가죽을 벗긴 후에 죽이겠노라”고 꾸짖었다.
邯贊帥三軍凱還獻 獲王親迎于迎波驛結綵棚備樂宴將士以金花八枝親揷邯贊頭左執手右執觴慰嘆不已邯贊拜謝不敢當遂改驛名爲興義賜驛吏冠帶與州縣吏同.
강감찬이 3군을 거느리고 개선하여 포로와 노획 물자를 바치니 왕이 친히 영파역(迎波驛)까지 나가서 맞이하는데 채붕(綵棚)을 맺고 풍악을 치며 장군과 군사들을 위하여 연회를 배설하였다. 왕이 금으로 만든 여덟 가지의 꽃을 손수 강감찬의 머리에 꽂아 준 후 왼손으로는 강감찬의 손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축배를 들어 그를 위로하고 찬양하여 마지 않으니 강감찬은 분에 넘치는 우대에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의를 표시하였다. 나라에서는 개선을 기념하여 역(驛)의 이름을 흥의(興義)로 고치고 역리(驛吏)들에게 특별히 주와 현(州縣)의 아전들이 쓰는 것과 같은 갓과 띠를 주었다.
#高麗史94卷-列傳7-姜邯贊-002
邯贊上表請老不允賜 杖令三日一朝加檢校太尉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天水縣開國男食邑三百戶賜推忠 謀安國功臣號. 十一年又表請致仕從之加特進檢校太傅天水縣開國子食邑五百戶. 邯贊以京都無城郭請築羅城王從之令王可道築之.
강감찬이 표문을 올려 은퇴를 청하니 왕이 허하지 않고 안석과 지팡이를 주고 사흘에 한 번씩 출근하게 하고 검교 태위 문하시랑 동 내사 문하 檢校太尉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로 올렸으며 천수현 개국남(天水縣開國男)으로 봉하고 식읍(食邑) 3백 호를 주고 추충 협모 안국 공신 칭호(推忠協謀安國功臣號)를 주었다. 11년에 다시 치사(致仕)를 청원하니 왕이 이것을 허락하고 특진 검교 태부로 임명하고 천수현 개국자(開國子)로 봉하고 식읍 5백 호를 주었다. 강감찬은 수도에 성곽(城廓)이 없다 하여 큰 외성(羅城)을 축조하자고 건의하였더니 왕이 그 의견에 따라 왕가도(王可道)에게 명령하여 이를 축조하게 하였다.
二十一年拜門下侍中德宗卽位授開府儀同三司推忠 謀安國奉上功臣特進檢校太師侍中天水郡開國侯食邑一千戶尋卒年八十四. 輟朝三日謚仁憲命百官會葬弔 賻贈一依侍中劉瑨例.
강감찬은 현종 21년에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임명되었으며 덕종(德宗)이 즉위하자 그에게 개부 의동삼사 추충 협모 안국 봉상 공신(開府儀同三忠協謀安國奉上功臣 칭호와 특진 검교 태사(特進檢校太師), 시중(侍中) 벼슬과 천수군 개국후(天水郡開國侯)의 작위와 식읍 1천 호를 주었다. 미구(덕종 원년-1032)에 강감찬이 죽으니 향년 84세였다. 왕이 3일간 조희를 멈추고 인헌(仁憲)이라는 시호를 주고 전체 관리들에게 그의 장례식에 회장하도록 명령하였으며 왕이 보낸 만사와 부의는 전일 시 중 유진(侍中劉瑨)에게 준 전례와 동일하게 우대하였다.
世傳有使臣夜入始興郡見大星隕于人家遣吏往視之適其家婦生男使臣心異之取歸以養是爲邯贊及爲相宋使見之不覺下拜曰: "文曲星不見久矣今在此耶."
세상에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어떤 사신(使臣)이 밤중에 시흥군으로 들어올 무렵에 큰 별이 어떤 집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사람을 보내 찾아 본즉 마침 그 집 부인이 사내를 낳았다. 이 말을 듣고 사신이 마음속으로 신기하게 여기고 그 아이를 데려다가 양육했는데 그가 바로 강감찬이었다고 전하며 그가 재상이 된 후 송(宋)나라 사신이 그를 보고는 자신도 모르게 석으로 물러 가서 절하며 말하기를 “문곡성(文曲星)이 오래 보이지 않더니 여기 와서 있구나!”라고 하였다는 전설도 있다.
邯贊性淸儉不營産業體貌矮陋衣裳垢弊不踰中人正色立朝臨大事決大策屹然爲邦家柱石時歲 民安中外晏然人以爲邯贊之功也. 致仕歸城南別墅著樂道郊居集又著求善集後配享顯宗廟庭文宗贈守太師兼中書令子行經.
강감찬은 성품이 청백하고 검소하며 자기 재산 경리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체격이 적고 용모가 보잘것없었으며 평상시에는 해지고 때 묻은 의복 있어서 누구나 그를 보통 사람으로밖에 보지 않았다.그러나 그가 일단 엄숙한 태도로 조정에 나아가서 국사를 처리하며 국책을 결정하는 마당에서 당당한 국가의 중신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당시에 풍년이 계속되고 백성들이 생활에 안착하여 나라가 평온한 것을 사람들은 강감찬의 공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겼다. 그는 치사한 후 성 남녘에 있는 별장에서 살았으며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과 구선집(求善集)을 저술하였다. 그 후 현종 묘정(廟廷)에 배향(配享)하였으며 문종(文宗) 때에는 수 태사 겸 중서령(守太師兼中書令) 벼슬을 추증하였다. 그의 아들 이름은 강행경(行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