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늘 그렇듯 이맘 때면 저는
다시 운동화 끈을 매고 있었습니다.
그 끈을 매면서 이제 다시
내년 상반기 관광통역안내사 시험대비
강의를 새롭게 시작합니다.
2017년 1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오후5시까지(시험임박하면 오후5시 이후까지도 수업예정임)
강남 르몽드 학원(02-501-5325. 강남역 11번 출구에서 도보로 2분)입니다.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관광자원해설 기출문제 해설입니다.
제2과목 : 관광자원해설
26.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御眞)을 모신 곳은?
① 안동 고산서원 ② 영주 소수서원
③ 전주 경기전 ④ 경주 옥산서원
해답 : 3번.
해설 : 전주 경기전은 전북 전주시 전주 한옥마을 부근에 있는 조선시대의 묘사(廟祠)이다. 조선 태조의 어진이 있는 건물이다. 보물 제1578호로 지정됨.
안동 고산서원 : 이광정을 모신 사당
영주 소수서원 : 안향을 모신 사당
경주 옥산서원 : 이언적을 모신 사당
27. 다음에서 설명하는 유적지는?
조선 인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임금이 이궁(離宮)으로 사용하였으며, 서궐(西闕)이라고도 불렸다.
① 경복궁 ② 경희궁 ③ 창덕궁 ④ 덕수궁
해답 : 2번
해설 : 경희궁은 원래 경덕궁(慶德宮)으로 불렀다. 동궐인 창덕궁과 비교하여 서궐이라 불렀다. 인조가 이 궁에서 정사를 보았으며 정조와 헌종은 경희궁의 숭정문에서 왕의 즉위를 하였다. 숙종이 태어나고 승하한 궁궐이기도 하다.
28. 국내에서 ‘람사르 습지’로 가장 먼저 지정된 고층습원지역은?
① 순천 동천하구 ② 고창ㆍ부안갯벌
③ 두웅습지 ④ 대암산 용늪
해답 : 4번.
해설 : 고층습원지역이란 소금종류가 부족한 저온(低溫), 과습(過濕)한 땅에 발생하는 습원을 말한다. 1번, 2번, 3번 모두 람사르 등록습지이다.
두웅습지는 충남 태안군, 대암산 용늪은 강원도에 있다.
29.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국가 중요농업유산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제주 흑룡만리 돌담 밭
ㄴ. 거제 대나무밭
ㄷ. 구례 모시농업
ㄹ. 전남 청산도 구들장 논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답 : 2번.
해설 :
제 1호 청산도 구들장논
제 2호 제주 밭담(돌담 밭담)
제주도의 밭담을 ‘흑룡만리’라고 하는 이유는 제주도 흙색 돌이 밭을 이루고 구불구불 뻗어간 모습이 검은 색의 용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제 3호 구례 산수유농업
제 4호 담양 대나무 밭
제 5호 금산 인삼농업
제 6호 하동 전통 차농업
30. 관광자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광자원의 매력성은 시대 등의 변화에도 불변 한다.
② 관광자원은 보호와 보존, 개발 등의 조화가 필요하다.
③ 관광자원의 범위는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④ 관광객의 관광욕구나 동기유발의 유인성을 지녀야 한다.
해답 : 1번
해설 : 매력성은 변화한다. 과거에 단풍관광이 매력적인 관광자원이었으나 단풍보다 현재에는 사막관광이 더 매력적일 수 있다.
31. 자연호수와 지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송지호 - 강원도 원주시
② 경포호 - 강원도 강릉시
③ 화진포호 - 강원도 고성군
④ 영랑호 - 강원도 속초시
해답 : 1번
해설 : 송지호는 강원도 고성군에 있다.
3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수욕장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서해안에 위치하고, 머드축제가 열리며 패각모래가 특징이다.
ㄴ. 제주도에 위치하고 있는 활처럼 굽은 해수욕장으로, 흑ㆍ백ㆍ적ㆍ회색 등의 모래가 특징이다.
① 대천해수욕장, 중문해수욕장
② 함덕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
③ 구룡포해수욕장, 중문해수욕장
④ 대천해수욕장, 구룡포해수욕장
해답 : 1번
해설 :
* 제주 중문해수욕장 : 수직 절벽으로 둘러싸인 모래언덕이 특징이다. 중문 관광단지내에 위치해 휴양겸 피서를 함께 즐길 수 있다(윈드서핑, 수상스키, 패러세일링). 주변에 천제연 폭포가 있다. 해양수산부가 전국의 해수욕장의 운영상태, 수질관리, 경관, 안전등 4개분야에 대해 평가한 결과 제주특별자치도 중문 해수욕장을 전국 최우수 해수욕장으로 선정됨.
* 대천 해수욕장 : 충남 보령시에 위치
* 함덕 해수욕장 : 제주시에 위치. 오후 9시까지 해수욕 가능
* 일광 해수욕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
* 구룡포 해수욕장 : 경북 포항시에 위치
33. 단양 8경에 해당하는 지역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을밀대 ㄴ. 구담봉 ㄷ. 옥순봉
ㄹ. 가의도 ㅁ. 삼일포 ㅂ. 하선암
① ㄱ, ㄴ, ㄷ ② ㄴ, ㄹ
③ ㄴ, ㄷ, ㅂ ④ ㄷ, ㅁ, ㅂ
해답 : 3번
해설 : 단양 팔경은 석문, 구담봉, 옥순봉,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사인암, 도담삼봉을 말한다. 을밀대는 북한의 국보이며 평양에 있다. 가의도는 충남 태안군에 있는 섬이다. 고성의 삼일포는 관동팔경의 하나이다.
* 관동팔경 : 통천의 총석정, 고성의 삼일포, 간성의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 평해의 월송정(월송정 대신 흡곡의 시중대를 넣기도 한다)
34. 죽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교의식은?
① 연등회 ② 처용무 ③ 천도재 ④ 팔관회
해답 : 3번.
해설 : 천도재는 사람이 사망한 후 일정한 시기에 하는 의식이다. 대표적인 것은 사십구재인데, 상주권공재·시왕각배재·영산재로 나뉜다. 그 외에 특정한 인물이 아닌 무주고혼을 천도하는 수륙재, 지장보살에게 비는 지장재가 있다.
연등회는 순수불교행사이며 팔관회는 불교행사로서 도교의 성격도 있다. 연등회와 팔관회는 불교를 숭상한 고려의 대표적 불교행사였다. 처용무는 신라의 처용이 자신의 아내를 탐하는 역신을 쫓아낸데서 유래한 무용이다. 처용무는 궁중무용에서 유일하게 사람 형상의 가면을 쓰고 추는 탈춤을 말한다.
35.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박람회의 주제는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이다.
② 박람회 마스코트로는 ‘여니’와 ‘수니’가 있다.
③ 박람회 성과를 기념하고, 효율적 시설활용을 위해 박람회재단이 조직되었다.
④ 한ㆍ중ㆍ일 연합컨벤션뷰로(CVB)가 공동 개최한 박람회이다.
해답 : 4번
해설 :
* 대전 세계박람회(대전 엑스포, 1993년) : 주제는 ‘새로운 도약의 길’, 부제는 ‘전통기술과 현대과학의 조화’,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재활용’. 공식 마스코트는 꿈돌이(우주 아기요정을 형상화)
* 여수 세계박람회(2012 여수엑스포, 2012 여수박람회)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Korea 2012 = Expo 2012 Yeosu Korea) : 2012 여수 세계박람회의 주제인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 부제는 ‘풍부한 자원보전’, ‘미래지향적 활동’. 마스코트 여니는 ‘Open’이란 이미지로 2012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알린다는 의미. 마스코트 수니는 ‘물’, ‘우수한’의 이미지로 해양박람회의 상징뿐만 아니라 우수하고 수준 높은 박람회를 표현(출처 : 2012 여수세계박람회 기본계획)
36. 다음에서 설명하는 문화유적지는?
ㆍ1907년 일본인이 설계한 목조건물로 경성감옥이라 불렸다.
ㆍ1987년까지 민주화운동 관련 인사들이 수감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상징적 장소이다.
ㆍ1988년에는 사적 제324호로 지정, 2007년에는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
① 제주 항일기념관
② 거제도 포로수용소
③ 서울 구(舊)서대문형무소
④ 천안 독립기념관
해답 : 3번
해설 :
* 구 서대문 형무소 :
일제강점기 직전의 통감부가 1908년에 의병탄압을 위해 만들었다. 서대문 형무소로 개칭(1923년)되었다. 교도소는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1987년), 박물관과 문화재로 운영되고 있다.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이 있다.
* 제주 항일 기념관 : 제주인의 독립의지를 담고 있는 성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제주시 조천읍에 1997년 개관. 제주인의 독립에 대한 발자취를 볼 수 있다. 애국열사 위패가 모셔진 창열사를 비롯하여 애국선열 추모탑 및 「 3·1독립만세 운동 기념탑」, 야외공연장 등의 야외 시설과 각종 항일사료를 보관하고 있는 자료실과 제주항일의 역사를 영상으로 볼 수 있는 영상관(256석)이 함께 갖추어져 있다(출천 : 제주 항일 기념관 사이트)
* 거제도 포로 수용소 : 한국전쟁 때 북한군과 중공군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해 1951년에 거제도에 설치되어, 1953까지 운영된 포로수용소이다. 1983년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
* 천안 독립기념관 : 외침을 극복하고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지켜 온 자료를 수집·보존·전시·연구함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의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87년 8월 15일 개관했으며, 선사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문화유산과 역사적인 자료들을 전시해놓은 제1전시관부터 항일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제7전시관까지 총 7개 전시관이 있다.
37. 개최지와 지역문화축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청 - 지리산한방약초축제
② 일산 - 약령시한방문화축제
③ 화천 - 산천어축제
④ 풍기 - 인삼축제
해답 : 2번
해설 : 약령시 한방문화축제는 대구와 서울이다.
38.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마을 어귀의 고갯마루 등에 있는 고목이나 돌무더기를 마을의 수호신으로 상징하고 숭배하며, 옆에 당(堂)을 짓기도 하였다.
① 성주신 ② 지신 ③ 조왕신 ④ 성황신
해답 : 4번
해설 :
* 성주신 : 가족을 지키는 신(가옥신=가신) 중 가장 우두머리를 말한다. 성주신은 집을 지키는 신이다. 집안의 운수를 담당한 신이다. 성주신은 대들보에 위치한다.
* 지신 : 땅을 맡아 다스리는 신. 집안의 땅의 신인 터주와 관련된 민속놀이로는 ‘지신밟기’가 있다. 설날 때 행하는 이 행사는 집안의 무사와 안녕함을 비는 것이다.
* 조왕신 : 조왕신(竈王神)은 부엌을 지배하는 신이다. 불의 신이라고 믿었다. 조왕신에게 새벽에 부뚜막 위에 깨끗한 물을 떠 놓고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였다.
39.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재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모두 21개소이다.
② 태백산국립공원은 2016년 8월에 공식 지정되었다.
③ 우리나라 해상 국립공원은 모두 4개소이다.
④ 국립공원은 사적(도시)형, 해안형, 산악형으로 구분가능하다.
해답 : 1번
해설 : 2016년 11월 현재 국립공원은 태백산 국립공원이 8월에 지정되어 22개소이다.
해상국립공원은 다도해, 한려해상, 변산반도, 태안해안 국립공원이다.
40. 다음에서 설명하는 문화유적지는?
ㆍ사적 제116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읍성으로, 왜구 침입에 효율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거점성이었다.
ㆍ성(城) 내에는 천주교인들이 갇혀 있던 감옥터와 고문을 받았던 회화나무가 있어, 오늘날 천주교인들의 순례지가 되고 있다.
ㆍ충무공 이순신이 군관으로 근무하기도 하였다.
① 동래읍성 ② 낙안읍성
③ 해미읍성 ④ 고창읍성
해답 : 3번.
해설 :
* 해미읍성 : 충남 서산 해미읍성 부근은 김대건 증조부의 순교장소로 천구교의 성지이며 2014년 교황이 방문하기도하였다. 조선시대 읍성으로 사적 제116호이다.
* 동래읍성 : 부산광역시 시도기념물 제5호. 건립시기를 대체로 조선시대로 본다.
* 낙안읍성 : 순천의 낙안읍성은 사적302호. 지정되어 있으며, 사람이 실제로 거주하며, 2016년 현재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되었다.
한국의 유일한 읍성과 민속마을이 함께 있는 곳으로 동이. 대장금 등 드라마와 태극기 휘날리며 등 영화 촬영장소이기도 하다.
* 고창읍성 : 조선의 단종 즉위년에 쌓은 성이다. 모양성이라고도 한다.
사적 제145호. 특히 고창읍성은 왜구 침입을 대비한 성이다. 조선의 읍성은 평야에 만들었고 성내에서는 백성이 생활하였으나 고창읍성은 야산을 이용하여 외부에만 성을 쌓고, 성앞에는 옹성을 만들어 성을 보호했고 주민들은 평소에 성 밖에서 살면서 유사시 성 안에 거주할 수 있게 우물을 만들었다. 전래풍속으로는 답성(성밟기 : 성을 도는 놀이)놀이가 있다.
41. 다음에서 설명하는 문화생태탐방로는?
ㆍ2013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문화생태탐방로의 하나이다.
ㆍ부산 오륙도에서 강원도 고성의 통일전망대에 이르는 광역탐방로이다.
ㆍ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 삼아 함께 걷는 길이라는 의미이다.
① 아리랑길 ② 무돌길
③ 슬로길 ④ 해파랑길
해답 : 4번. 해파랑길은 국내 유일의 해안종단길이다.
* 아리랑길 : 밀양 아리랑길이 유명하다. 총 코스 7.2km의 거리이다. 평탄한 코스이어서 남녀가 걷기에 무난한 길이다.
* 무돌길 :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무돌길은 무등산의 옛날 이름 ‘무돌뫼’와 ‘무등산을 한바퀴 돌아가는 길’이란 의미이다. 총 코스 약 51.8km의 거리이다. 1910년도에 제작된 지도에 의해 복구한 길이다.
* 슬로길 : 전남 완도군 청산도 슬로길은 좋은 경치로 인해 저절로 발걸음이 느려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총 코스 42.195km이다. 세계슬로길 제1호로 국제슬로시티 연맹으로부터 공식 인증을 받았다. 완도의 청산도는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인정받은 곳이다.
42. 다음에서 설명하는 불상은?
ㆍ국보 제78호로, 의자 위에 앉아 오른발을 왼쪽다리 위에 올려놓고, 오른쪽 팔꿈치를 무릎 위에 올린 채 손가락을 뺨에 댄 모습의 보살상으로 높이는 80cm이다.
ㆍ상체는 당당하면서도 곧고 늘씬한 모습이며, 하체에서는 우아한 곡선미를 엿볼 수 있다.
①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②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③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④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해답 : 3번
해설 : 삼국시대 때 만들어진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국보 제78호(탑모양의 관을 씀)와 국보 제83호(삼산관(三山冠)을 씀)가 있다.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의 미소’라는 별칭이 있다.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건물안에 있는 것으로 고려시대 것이다. 흙으로 빚어 만든 불상(=소조불).
* 철원의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국보 제63호. 통일신라 말 경문왕(865년)에 제작.
43. 유네스코에 등재된 인류무형문화유산이 아닌 것은?
① 그네뛰기 ② 강강술래
③ 아리랑 ④ 김장문화
해답 : 1번.
해설 :
*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정 순서
• 석굴암ㆍ불국사(1995년),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종묘(1995년), 창덕궁(1997년), 화성(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2000년), 고창ㆍ화순ㆍ강화 고인돌 유적(2000년),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2010년), 남한산성(2014년)
*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지정 순서
• 종묘제례 및 종묘 제례악 (2001년), 판소리(2003년), 강릉단오제(2005년), 강강술래(2009년), 남사당놀이(2009년), 영산재(2009년), 제주칠머리당영등굿(2009년), 처용무(2009년), 가곡(2010년), 대목장(2010년), 매사냥(2010년), 줄타기(2011년), 택견(2011년), 한산모시짜기(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 농악(2014년), 줄다리기(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 유네스코 지정 세계 기록유산 지정순서
• 훈민정음(1997년), 조선왕조실록(1997년), 직지심체요절(2001년), 승정원일기(2001년), 조선왕조의궤(2007년),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년), 동의보감(2009년), 일성록(2011년), 5. 18 민주화운동기록물(2011년), 난중일기(2013년), 새마을운동기록물(2013년), 한국의 유교책판(2015년),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2015년)
44.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선시대의 화가는?
조선 전기 화단을 대표하는 산수화의 대가로서, 대표작품은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등이 있다.
① 신윤복 ② 안견 ③ 정선 ④ 김홍도
해답 : 2번,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이야를 듣고 그린 그림이다.
해설 : 신윤복과 김홍도는 조선후기 풍속화가로 유명하다. 신윤복은 양반과 부녀자를, 김홍도는 서민생활을 주로 그렸다. 정선(호 : 겸재)은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로 유명하며 ‘인왕제색도’, ‘금강전도’가 그의 작품이다.
45. 방과 방 사이, 방과 마루 사이에 칸을 막아 끼우는 문(門)은?
① 장지문 ② 일주문 ③ 판문 ④ 홍살문
해답 : 1번.
해설 : 일주문은 주로 절 입구의 현관을 말하며, 홍살문은 무덤, 궁궐, 관청, 서원, 향교 앞에 세운 붉은 색을 칠한 문이다. 판문은 널판지로 만든 문이다. 판문에는 통판문, 널판문, 우리판문, 빈지널문이 있다.
- 판문(板門) 중에서 문짝을 한 개로 만든 것이 통판문이다.
- 여러 개의 판을 연결시켜 만든 것은 널판문(예 : 부엌문)이고 살대 대신 얇은 청판을 끼워 만든 문은 우리판문(예 : 대청 뒷문)이다.
- 특히 논산 윤증고택의 우리판문은 두 개의 청판을 같은 나무로 만들어 나무무늬가 아름답다.
- 판재를 하나씩 빼내는 조립식 문을 빈지널문(예 : 주거집의 곡식창고의 문)이라 한다.
46. 왕이 군사 및 행정상 중요한 지역에 가서 임시로 머무는 성(城)은?
① 읍성 ② 행재성 ③ 궁성 ④ 도성
해답 : 2번
해설 : 궁성(왕궁성)은 왕이 거처하는 궁궐(궁전, 궁실)이다. 수도를 둘러싼 도성, 지방마을 중심의 읍성, 국경지방에 쌓은 장성, 중요한 교통로에 쌓은 관문성이 있다. 그리고 행성(行城)은 국경지방에 일직선으로 쌓은 성. 도성이나 읍성 주변의 중요한 곳에 세운 성곽은 산성, 수군(해군)들이 전투를 위하여 해안에 쌓은 성곽을 진성(鎭城), 성벽재료가 흙인 것을 토성이라 한다.
* 성(城)의 종류
도성(都城)종류 : 도성, 왕성, 궁성, 황성, 재성, 행재성
읍성(邑城)종류 : 부, 주, 목, 군, 현, 부곡
창성(創城)과 진보(鎭堡) 종류 : 진성, 영성, 행영성, 보
위치의 지형에 따른 분류 : 평산성, 산성, 평지성,
지리적 위치에 따른 분류 : 해안성, 강안성, 내륙성, 국경성
성곽의 재료에 따른 분류 : 토성, 석성, 목책, 토성훈축성, 전축성
47.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왕릉이 아닌 것은?
① 장릉 ② 태릉 ③ 정릉 ④ 헌릉
해답 : 1번. 장릉은 단종의 무덤으로 강원도 영월에 있다.
태릉은
헌릉(서울 서초구)은 태종 이방원의 능이며,
정릉은 조선 태조 계비 신덕왕후의 능(릉)과 개풍에 있는 공민왕의 왕비 노국공주의 능(릉),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 아버지 이자춘의 능(릉)을 말한다. 세 릉의 한자는 각각 다르다. 태릉은 서울 노원구에 있는 조선 중종의 두 번째 계비 문정왕후 윤씨의 무덤이다.
48. 한국 전통건물에 붙는 명칭으로 가장 격조가 높은 것은?
① 재(齋) ② 각(閣) ③ 당(堂) ④ 전(殿)
해답 ; 4번
해설 :
재(齋) : 당(堂)과 비슷하지만 제사나 공부를 하기 위한 건물이다.
각(閣) : 주로 2층 건물인 누(루 : 樓)와 비슷한 것으로 누각(樓閣)이라고도 한다.
당(堂) : 전(殿)보다 한 수 아래로 ‘전’에 부속건물을 말한다. 궁궐, 사찰, 공공건물, 주거용 집에 있다.
전(殿) : 한국 건물 중 가장 격조가 높은 건물이다. 사찰과 궁궐의 건물
이외에 건물의 명칭으로는 합(閤, 헌(軒), 정(亭), 누(樓), 사(榭), 사(舍), 청(廳), 관(館), 낭(廊), 무(廡), 실(室), 가(家), 택(宅), 옥(屋), 방(房), 궁(宮), 단(壇), 묘(廟), 사(祠), 대(臺), 암(庵) 등이 있다.
49.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역사유적 지구 중 첨성대, 동궁, 계림 등이 산재한 지구는?
① 대릉원지구 ② 월성지구
③ 남산지구 ④ 황룡사지구
해답 : 2번
해설 : 경주역사유적지구는 불교 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포석정, 용장사지 3층석탑, 신선암 마애보살상), 천 년 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첨성대, 계림, 안압지), 고분군 분포 지역인 대능원지구(=황남리 고분군, 천마총, 황남대총), 신라 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황룡사, 분황사), 왕경 방어 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명활산성, 선도산성, 남산성)로 나눈다(출처 : 문화재청 사이트)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민속놀이는?
ㆍ음력 정월대보름에 여자들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ㆍ공주로 뽑힌 소녀가 한 줄로 늘어선 여자들의 등을 밟고 걸어간다.
ㆍ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피난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① 밀양백중놀이 ② 송파산대놀이
③ 송파다리밟기 ④ 안동놋다리밟기
해답 : 4번
해설 :
밀양 백중놀이 :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노비(머슴)들이 7월 보름 경 주인이 준 술과 음식으로 노는 놀이이다. 농신제 · 작두말타기 · 춤판 · 뒷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파 산대놀이 : 산대놀이는 중부지방의 가면극(탈춤)이다. 그 중 송파 산대놀이는 중요무형문화재 제49호로 서울, 경기 지방에서 행해짐. 정월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에 명절놀이로 공연된 민중의 놀이이다.
송파 다리밟기(답교=답교놀이) : 고려부터 행해진 정월 대보름의 놀이 중 하나. 자신의 나이만큼 냇가의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아프지 않고 복을 받는다는 풍속이다. 특히 송파 다리밟기는 다른 지역의 다리밟기에 비해 가무가 특이하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