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해달별사랑
 
 
 
카페 게시글
생활정보지혜방 스크랩 사랑 [건축-한옥] 한국 건축 용어 4 (묘사 서원명)
朴元陽 추천 0 조회 14 09.06.28 08:5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한국 건축 용어 4
1. 묘사 ?서원명
l 묘(廟) : ①조상이나 성현(聖賢)의 위패를 모셔 두고 제향(祭享)하는 집. 사당(祠堂), 가묘(家廟). ②종묘와 문묘. 묘사(廟社).
l 종묘(宗廟) : 왕조(王朝) 국가에서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祠堂). 태묘(太廟).
l 태묘(太廟) : 임금 제후의 시조의 사당. 종묘(宗廟).
l 세실(世室) : 종묘(宗廟)의 신위를 모신 사당.
l 묘사(廟祠) : ①제왕(帝王) 또는 성현(聖賢)의 신위(神位)을 안치하고 제사지내는 집. 묘우(廟宇). ②종묘(宗廟)와 사직(社稷).
l 묘당(廟堂) : ①종묘(宗廟)와 명당(明堂). ②조선 왕조때의 조정(朝廷) 기구의 하나인 의정부(議政府)의 딴 이름.
l 묘우(廟宇) : 시주를 모신 집. 묘당. 사우(祠宇).
l 가묘(家廟) : 사싯집의 사당(祠堂).
l 사당(祠堂) : 신주(神主), 곧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셔 두고 제향하는 집. 가묘(家廟). 사우(祠宇).
l 사우(祠宇) : 사당.
l 서낭당 : ①서낭신이 깃들어 있다는 나무. ②서낭신을 모신 사당. 성황당. 서낭신은 원래 도성을 지켜 주는 신이었으나 토속신으로 화하여 마을의 수호신으로 됨.
l 별묘(別廟) : 따로 지은 사당.
l 정각(旌閣) : 정문(旌門)을 걸어 두기 위하여 따로 지은 집.
l 정자각(丁字閣) : ①평면이 T자형으로 된 집. ②지붕 용마루가 T자형으로 된 집. ③능묘의 제실?제각으로 쓰이는 T자형 평면의 집.
l 제각(祭閣) : 무덤 근처에 제청 소용으로 쓰는 집. 정자각(丁字閣).
l 제청(祭廳) : ①장사때에 무덤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마련한 곳. ②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마련한 대청. 제실.
l 제실(祭室) : 신위?신령에게 음식을 차리어 예절하는 방.
l 전사청(典祀廳) : ①제향의 물건을 맡아 보던 궁내부의 관아. ②문묘?서원?향교 등에서 제향의 물건을 맡아 보는 집채.
l 향사청(享祀廳) : 제사를 지내는 마루청. 사당(祠堂).
l 제기고 : 제사때에 쓰는 그릇?기물?기구 등을 ?어 두는 창고.
l 재실(齋室) : ①능?묘 등의 제사지내는 집. 재전(齋殿). 재가(齋家). 재각(齋閣). ②문묘에서 유생들이 공부하는 집. ③사당 옆에 지어 제사지낼 때에 쓰이는 집.
l 재전(齋殿) : 재실(齋室).
l 묘막(墓幕) : 산소 가까이에 지어 산소를 돌보는 데 쓰이는 집.
l 사당방(祠堂房) : 신위를 모셔 두는 방.
l 사당간(祠堂間) : 한국 주택에서 조상의 신위(神位)을 모셔 둔 방. 제사를 지내기도 함. 사당방.
l 위패당(位牌堂) : 위패를 모셔 둔 집. 사당(祠堂).
l 문묘(文廟) : 성현(聖賢)?공자(孔子)을 모신 사당(祠堂).
l 성균관(成均館) : 유교의 교육을 맡아 보던 기관. 경학원(經學院). 태학(太學). 서울 명륜동 문묘내에 설치되었음.
l 대성전(大成殿) : 문묘 안에 공자나 대현(大賢). 유현(濡賢)의 위패를 동서무에 모시고 제사지냄. 또 유생들이 공부하며 유숙하던 집.
l 서무(西蕪) : 문묘에서 유현들을 배향하는 서행각(西行閣). 대성전의 서쪽 아래채.
l 동재(東齋) : 성균관이나 향교의 명륜당 앞 동쪽에 있는 집. 유생(儒生)들이 거처하며 글공부하던 곳.
l 서재(西齋) : 성균관?향교의 명륜당 앞 서쪽에 있는 아래채. 유생들이 거처하며 글공부하던 곳.
l 영당(影堂) : 화상을 안치한 당우(堂宇).
l 서원(書院) : ①중국에서 옛날에 강서(講書)?강학(講學) 하던 곳. ②실학(實學)에 뜻하는 사람을 가르치는 사숙. 송나라때 사대서원이 유명함. ③이조때 선비들이 모여 학문을 강론하고 석학(碩學) 또는 출절로 죽은 사람을 제사하던 곳. 중종 38년(1543)에 풍기군수인 주세붕이 주자(朱子)의 백록동 서원을 본받아 고려의 명유(名儒) 안향이 전에 살던 영주군 순흥면에 세운 백운동 서원 곧 소수서원이 유명함.
l 향교(鄕校) : 옛 선현(先賢)을 봉사(奉祀)하고 교육을 위하여 공립(公立)으로 지은 학교.
l 학당(學堂) : ①고려말에 있었던 학교. 중앙 각부에 두고 공자묘(孔子廟)는 없었다. ②1880년대 이후 개화기에 사숙으로 글공부를 가르치는 집.
l 글방(書堂) : 사가에서 아동들에게 글공부를 가르치는 집. 서당.
l 서당(書堂) : 글방.
l 전묘후학배치(前廟後學配置) : 문묘?서원?향교 등의 각 건물의 배치법. 앞(남)쪽에 묘당을 배치하고, 뒤(북)쪽에 학업용 건물을 배치함.
l 재사(齋舍) : 기숙사. 문묘?서원?향교에서 자제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던 집채.
l 정사(精舍) : ①학문을 가르치려고 세운 집. ②정신을 수양하는 곳. ③불도를 닦는 중이 있는 집. 서원의 딴이름. 고대 인도에서의 불사.
l 문선왕묘(文宣王廟) : 중국 성현 공자를 흠모하여 제사지내는 사당.
l 신당(神堂) : 신령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집. 부근당(附根堂). 신주를 모신집.
l 칠성각(七星閣) : 불교에서 칠원성군(七元聖君)을 예불의 대상으로 모신 집. 칠성전(七星殿)?칠성당(七星堂)?칠성단. 칠성은 북두의 일곱성군을 말함.
l 삼성각(三星閣) : ①세 성인을 모신 집. ②우리나라 상고시대의 세 성인. 곧 환인(桓因)?환웅(桓雄)?환검(桓儉).
l 삼선각(三宣閣) : ①세 신선을 모신 집. ② →삼성각. 불교에서 외도(外道)의 수행자(修行者)로서 세속을 떠나 산속에서 여러 도의 법을 닦은 바라문의 현자를 모신 집.
l 삼신각(三神閣) : 삼신을 모시는 사우(祠宇). 삼신은 ①우리나라의 땅을 마련했다는 환인(桓因)?환웅(桓雄)?환검(桓儉)의 총칭. ②아이를 점지한다는 세 신령.
l 성신묘(城神廟) : 성을 지켜 주는 신을 모신 사당. 성신사(城神祠).
l 산신각(山神閣) : 산신을 모신 집. 산왕단(山王壇).
l 산신당(山神堂) : 산의 지신을 모신 사당. 산신각(山神閣). 산령각(山靈閣). 삼산오악신(三山五岳神).
l 도당(都堂) : ①시골 사람들이 그곳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하는 단(壇). ②무당이 신을 모신 곳.
l 삿집 : 무당이 신을 모신 집. 도당.


2. 사찰명
l 일탑식 가람(一塔式加藍) : 사찰내에 탑 하나를 배치한 절.
l 쌍탑식 가람(雙塔式加藍) : 사찰내에 동서방향에 두개의 탑을 둔 절.
l 무탑식 가람(無塔式加藍) : 탑이 없는 절.
l 산지가람(山地伽藍) : 산지에 세운 절.
l 평지가람(平地加藍) : 편평한 들판에 세운 절.
l 불사(佛寺) : ①절. 절간. ②불상을 모셔 놓고 불도 수행을 위하여 예불하거나 설법하는 전각(殿閣) 또는 중들이 거처하는 집. 사찰(寺刹). 불찰(佛刹). 범찰(梵刹). 사원(寺院). 산문(山門). 승사(僧舍). 불가(佛家).
l 불전(佛殿) : 불사. 불우(佛宇). 불당(佛堂).
l 불당(佛堂) : 불사.
l 불우(佛宇) : 불상을 모시고 예불하거나 설법하는 전당(殿堂). 불당(佛堂).
l 범각(梵閣) : 불사.
l 초제(招提) : 관부(官府)에서 사액(賜額)한 절.
l 보찰(寶刹) : 절의 경칭(敬稱).
l 보전(寶殿) : ①부처를 안치하는 건물. 불전. 본전. 대웅보전. 극락보전. ②신전(神殿). ③금옥(金玉)을 새겨서 만든 전사(殿舍).
l 칠당 가람제(七堂 伽藍制) : 절에 있는 온갖 불당 등을 완비하여 세우는 재도.
l 칠당(七堂) : 절의 온갖 당우(堂宇). 삼문(三門)?불전(佛殿)?법당(法堂)?승방(僧房) 등이 완비된 절.
l 대웅전(大雄殿) : 불사(佛寺)의 정전. 대법당(大法堂). 선종계(禪宗系)의 사원에서 본존 불상을 모신 불당.
l 대웅보전(大雄寶殿) : 대웅전.
l 상대웅전(上大雄殿) : 절의 한 경내에 두 법당을 지울 때 높은 곳에 지은 법당. ↔하대웅전(下大雄殿).
l 하대웅전(下大雄殿) : 절의 한 경재에 두 법당을 지울 때 낮은 곳에 지은 법당. ↔상대웅전(上大雄殿).
l 금당(金堂) : 불교 사찰에서 중심이 되는 법당(法堂). 대웅전. 석가상 등의 본존불을 안치함.
l 법당(法堂) : ①주불(主佛)을 안치한 사찰의 정당(正堂). 대웅전. 법전(法典). 불전(佛殿). ②설법당(設法堂)의 약칭.
l 법전(法典) : 대웅전. 불당(佛堂). 불전.
l 당탑(堂塔) : 불교의 건물과 탑파. 전당(殿堂)과 묘탑(墓塔).
l 선원(禪院) : ①불교 선종(禪宗)의 사원(寺院). ②좌선을 하는 방. 선방(禪房).
l 선당(禪堂) : ①절 안의 왼쪽에 있는 집. ②참선하는 처소. 선방(禪房).
l 선방(禪房) : 불교 선종에서 참선하는 방.
l 선실(禪室) : 좌선을 하는 방. 선방.
l 계법당(戒法堂) : 계단을 설치한 법당.
l 계단당(戒壇堂) : 승려가 계를 받는 단을 설치한 불당. 계단은 보통 돌로 쌓아 만들며 대승계단과 소승계단의 두 가지가 있음.
l 계단원(戒壇院) : 수계를 향하는 도량. 도량은 석가가 성도한 땅. 불도를 수업하는 곳. 좌선?염불?수계 등을 하는 방.
l 강원(講院) : ①절에서 포교?설법을 하는 집. 불교에 관한 학문이나 불법을 강론함. ②불교에서 불학(佛學)을 닦은 사원(寺院). 설법당(設法堂).
l 화엄강당(華嚴講堂) : 만행(萬行)?만덕(萬德)을 닦아서 덕과(德果)을 장엄하게 하는 것을 설론하는 집.
l 굴암(窟庵) : 바위를 파내어 만든 절.
l 석굴암(石窟庵) : ①경주 토함산에 있는 굴암. ②암석을 파내어 꾸민 절.
l 말사(末寺) : 절의 본산에 딸려 있는 작은 절. 산내말사(山內末寺). 산외말사(山外末寺). 직말사(直末寺).
l 본산(本山) : 불교에서 한 종파에 딸린 여러 절을 통할하는 절. 우리 나라에는 31본산을 일제때 (1911년) 정한 바 있음. 대본산(大本山).
l 선찰(禪刹) : 참선을 주장으로 하는 절. 선종의 절.
l 암자(庵子) : ①큰 절에 딸린 작은 절. ②중이 임시로 거처하며 도를 닦는 집. ③승려(僧侶)가 홀로 있는 아주 작은 집.
l 인법당(因法堂) : 불전이 없는 작은 절에서 중이 거처하는 방에 불상을 모신 집.
l 능사(陵寺) : 능을 지키기 위하여 세운 절.
l 능침사(陵寢寺) : 능을 지키도록 지은 절. 능사.
l 조포사(造泡寺) : 능이나 원에 딸려서 제향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드는 절. (수원 용주사. 사도세자능에 있음.)
l 군막사찰(軍幕寺刹) : 승장(僧將)이 있고, 승병(僧兵)을 훈련하는 절.
l 사리(舍利) : ①범어로써, 부처나 고승의 유골. ②부처나 고승이 죽은 뒤에 화장하면 남는다는 구슬. ③송장을 화장하여 남은 뼈.
l 사리당(寺利堂) : 부처나 고승의 사리. 유골을 모셔둔 집. 사리.
l 사리각(寺利閣) : ①사리탑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지은 집. 사리보호각. ②사리를 모셔 둔 집.
l 극락전(極樂殿) : 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을 안치한 불전(佛殿). ↔무량수전.
l 극락보전(極樂寶殿) : →극락전.
l 약사전(藥師殿) :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을 안치한 불전.
l 능인전(能仁殿) : 금당. 대웅전. 고려때에 금당을 대웅전 또는 능인전이라 고쳐 부름.
l 응진전(應眞殿) : 아라한(阿羅漢)을 모신 . 불전(佛殿). →나한전.
l 명부전(冥府殿) : 지장보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閻魔)?기타 시왕 제신(諸神)을 안치한 불전. →시왕전(十王殿). 지장전.
l 지장전(地藏殿) : 불교에서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모신 불전(佛殿). →명부전? 시왕전(十王殿).
l 비로전(毘盧殿) : 불교에서 비로자나불(毘盧蔗那佛)을 모신 불전. →대적광전.
l 관음전(觀音殿) : 관음보살(觀音菩薩)을 안치(安置)한 불전. →원통전.
l 미륵전(彌勒殿) : 미륵보살(彌勒菩薩)을 모신 불전. →용화전.
l 나한전(羅漢殿) : 나한상을 안치한 불전(佛殿). →응진전.
l 천불전(千佛殿) : 불교에서 과거?현재?미래의 삼겁(三劫)에 가각 1,000의 부처가 나타난다는 신앙에서 1,000개의 불상 또는 수많은 불상을 모신 불전.
l 적멸궁(寂滅宮) : 불상을 모시지 아니한 법당. 부처님의 죽음 곧 열반(涅槃)을 상징하는 법당.
l 대적광전(大寂光殿) : 불교에서 세상의 번뇌를 끊고 적정(寂靜)의 진리에 의하여 발하는 진지(眞智)의 광명(光明). 또는 고요히 빛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불전. 곧 부처가 보이는 세계를 이루는 당우(堂宇).
l 원통전(圓通殿) :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 원통대사(圓通大士)는 관세음보살의 별칭. →관음전.
l 원통보전(圓通寶殿) : 원통전.
l 광명전(光明殿) : ①불교에서 번뇌?죄악의 암흑을 비추어 신앙상의 지견(智見)을 준다는 뜻으로 수신하는 불전. ②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비추는 빛이 있게 되는 것을 뜻하여 선불하는 불전.
l 대광명전(大光明殿) : 광명전.
l 윤장전(輪藏殿) : 윤장대를 설치한 법전. 불단 좌우에 2개를 설치함 (경북 예천 용문사 윤장전).
l 윤장대(輪藏臺) : 축을 세우고 8면으로 된 경가(經架)을 만들어서 일체경(一切經)을 넣어 자유로이 돌려 보는 책가(冊架).
l 대장전(大藏殿) : 불교 성전을 간직하는 불우(佛宇).
l 장경각(藏經閣) : 불교의 성전(聖典)을 넣어 두는 곳 집.
l 장경판고(藏經板庫) : 불교의 경판을 수장한 곳 집.
l 팔상전(捌相殿) : 석가 8상(八相)의 그림과 존상을 각각 나누어 모신 불전.
l 무설전(無設殿) : 경북 경주 불국사 경내에 있는 강당. 설법당.
l 반야전(盤若殿) : 대승 불교에서 모든 법의 진실상을 아는 지혜. 곧 이를 얻으면 성불 하므로 이를 얻은 이는 부처님이란 뜻으로 세운 불전.
l 무량수전 :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 무량수는 아미타불을 뜻함. →극락전.
l 보광전(普光殿) : 널리 광명을 놓아 십방(十方)을 두루 비친다는 뜻이 담긴 불전. 보광은 중국 당나라 스님으로 현장을 스님으로 하여 역경에 두각을 드러내고 현장이 번역한 경전을 필수하고 구사론기 30권을 지어 주석하여 구사종의 기초를 삼게 되었다고 함.
l 용화전(龍華殿) : 미륵이 56억 7천만 년 후에 세상에 나타나서 용화나무 밑에서 도(道)을 이루고 여기에 모여서 설법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미륵전.
l 영산전(靈山殿) :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영산회(靈山會)의 불보살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l 열반당(涅槃堂) : 승려가 임종할 때에 거처하는 집.
l 만세루(萬歲樓) : 불교에서 부처의 뜻은 만세를 밝힌다는 뜻에서 절의 누문(樓門)에 붙인 이름.
l 종각(鐘閣) : 큰 종을 달아 두는 누각. 종루.
l 종루(鍾樓) : 누다락으로 지은 종각.
l 범종루(梵鍾樓) : 절에 지은 종각. 범종각.
l 고루(鼓樓) : 북을 달아맨 다락집. 종루(鍾樓)와 같은 집.
l 고각(鼓閣) : 고루.
l 국사전(國師殿) : ①나라에서 국사로 추정된 불승이 세운 절. ②전남 순천 송광사의 법당.
l 조사당(祖師堂) : 조사(祖師)의 영정(影幀)을 모신 당우(堂宇). 각종파의 개조(開祖). 절을 창건한 사람. 역대의 주지 등의 영정?위패를 모셔 두는 집.
l 조실(祖室) : 조사당.
l 개산조당(開山祖堂) : 조사당.절을 창설한 조사의 영정을 모신 당우.
l 영각(影閣) : 불교에서 고승(高僧)의 초상을 모신 집.
l 보제루(普濟樓) : 절의 출입문루에 붙인 이름.
l 고금당(古今堂) : 경북 안동 봉정사에 있는 승방의 이름.
l 심검당(尋劍堂) : 승방의 이름.
l 패엽실(貝葉室) : 불교에서 범어 pattra의 역어로 잎을 뜻한 데서 온 승방명. 패엽사(貝葉寺)는 황해 신천군에 있는 31본산의 하나.
l 세존비각(世尊碑閣) : 불교에서 석가세존(釋迦世尊)을 기념하는 비를 세운 보호각.
l 노전(爐殿) : 대웅전과 그 밖의 법당을 맡아 보는 임원의 숙소. 향각(香閣). 향로전(香爐殿). 응향각(凝香閣).
l 상로전(上爐殿) : 사원의 대웅전을 맡아 보는 중이 거처하는 저소. 상로는 불심이 돈독하고 예의 바른 승려를 임명함.
l 상지전(上知殿) : 대웅전을 맡아 보는 스님의 숙소.
l 노향각(爐香閣) : 노전(爐殿).
l 전향각(篆香閣) : 노전.
l 감로당(甘露堂) : 승방에 붙여진 이름.
l 동승방(東僧房) : 동쪽에 있는 절의 요사(寮舍).
l 동료서실(東寮西室) : 동쪽과 서쪽에 지은 승방.
l 채공소(菜拱所) : 채소나 과류 기타 부식품을 간직하는 집채.
l 곡류 : 쌀이나 기타 곡물을 간직하는 집채. 대채 마루를 높이 놓고, 벽은 두꺼운 널로 꾸미며 판문을 달아 잠그게 되었음.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