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 64.5% 무전공 입학 ‘찬성’… “무분별한 쏠림 현상 우려”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수험생 10명 중 6명이 ‘무전공 선발’에 긍정했답니다.
대체로 여러 전공을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에서
찬성하는 입장이며 진로 결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취지인 것 같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답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기자간담회에서
“전공 벽을 허물고 입학한 뒤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전공과 영역 간 벽은 교수들이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기에 생긴다”라고 밝혔답니다. 이후 교육부는 지난 1월
정책연구 시안을 공개하며
수도권 사립대의 경우
2025학년도 입학 정원의 20% 이상을
무전공 선발하도록 했습니다.
2026학년도에는 무전공 선발 인원이
25%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지난 19일 종로학원은
2025학년도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 1104명을 대상으로
지난 7~8일 무전공 입학 관련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조사 결과 ‘무전공 선발 필요성’에 대해
수험생 64.5%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불필요하다’는 35.5%로 나타났답니다. 무전공 선발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대학에서 여러 전공을 경험한 후
결정할 수 있어서’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에게 좋아서’를
가장 많이 꼽았고,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문·이과 구분은 필요하고,
전공별 기초 소양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무전공 진학 시 선호 학과 계열’에 관한 질문에
수험생 65%가 이과계열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답니다.
특히 고교 이과 학생이
이과계열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은 95.8%로
압도적인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와 관련 교육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답니다.
지난 19일 경기 학원가에서
강사로 10년간 몸담은 A씨는
“학생들과 대화해보면 전공에 대한 이해가
깊기보다는 경영·경제, 공과대학 등
취업을 고려한 진학을 시도하려 한다”라며
“기초학문이 붕괴하는 시점에서
섣부른 무전공 입학 제도는
무분별한 전공 쏠림 현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수험생 64.5% 무전공 입학 ‘찬성’… “무분별한 쏠림 현상 우려” - 일요서울i
[일요서울 | 박정우 기자] 수험생 10명 중 6명이 ‘무전공 선발’에 긍정했다. 대체로 여러 전공을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에서 찬성하는 입장이며 진로 결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취지
www.ilyoseoul.co.kr
▼ 지난 기사 보기 ▼
[진단] 국가 안보가 털린다… 북한 해킹 노출된 방산·반도체 업계 - 일요서울i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정점에 있는 반도체 산업, 피아(彼我)를 명확히 구분 지어야 하는 국내 방위산업의 경우라면 더더욱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국내 산업기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