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여전히 강하게 불던 날
평소라면 까치산으로 해서 서서울호수공원을 거쳐 수주 변영로선생의 동네를 스치며
신월시장으로 내려섰을 걸음이지만 청계천의 하동매실거리에 가보고 싶었습니다.
집근처 큰주택에 살구꽃이 아주 화려합니다.
매화의 특징도 조금 보이기는 하는데 나중에 자세히 살펴봐야겠습니다.
2호선의 지선인 용답역에서 내려 한양대 살곶이 방면으로 조금 둘러보고 신답역으로 걸으며
보는 게 나은데 이 날은 작년의 여정도 기억이 안나고 그냥 신답역이 먼저 떠올라 신답역으로 갔는데
조금 더 걷는 장점이 오히려 있었던 착각이었습니다.
신답역은 출구가 하나밖에 없네요.
청계천으로 바로 이어지는 곳을 못 찾아서 마장교인가 다리를 건너 매실거리 너머에서 계단을 통하여 내려섭니다.
멀리 둑방에 매화나무가 즐비합니다.
홍매하도 군데군데 눈에 띄는군요.
홍매화를 보니 홍릉수목원의 청매화 홍매화가 생각나네요.
지금쯤 봄꽃들이 제법 많이 피었겠는데요.
이미 절정을 지난 매화도 있고 이제 꽃봉오리가 맺히는 것도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지는 중으로 보입니다.
매실나무는 나무가지에 잔가지가 침처럼 직각으로 짧게 돋아나 있는 것이 살구나무와 다른 점입니다.
위 사진은 극명하게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가지에도 마찬가지로 특징이 뚜렷합니다.
용답역이 보이네요.
이 곳에 내렸으면 더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겠지만 신답역에 내린 덕에 봄속을 좀 더 걸을 수 있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계속해서 살곶이방면으로 더 걸어갑니다.
능수버들도 한창 물이 오르고 있습니다.
어린 매실나무는 이렇게 꽃도 침가지끝에 매달려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담양 대나무 거리가 담장마냥 든든하게 지키고 섰네요.
한양여대 못 미쳐서 발길을 돌려 다시 청계천의 상류로 향합니다.
신답역 상류의 매화만 좀더 보고 전철역으로 가려고 합니다.
담양 대나무숲이라고 써있네요.
저 앞의 다리가 아마 마장교?
신답역에서 내려 건넜던 곳 같습니다.
신답역으로 가려면 이 언덕으로 올라서 오르막의 끝에서 오른쪽으로 걸어 횡단보도를 건너야 합니다.
신답빗물처리장부터 상류쪽으로는 둑방위 매화가 도열하였습니다.
서울 시설관리공단 건물이 청계천 너머로 보입니다.
홍매화 능수버들이 눈을 사로잡네요.
건너편 둑에도 매화
매화거리에 작별을 고합니다.
정릉천은 바짝 말랐습니다.
아주 건조한 시기입니다.
천호대로 다리밑에서 정릉천은 더 이상 지상으로 물길이 이어지지 못하고 지하로 스며들고 있습니다.
집근처로 와서 짬짜면이 없는 통에 두 개를 시켰는데 최근 석달새에 하루에 한두끼로 줄였더니
위장이 많이 줄어들어서 쉽지않았으나 짬뽕국물을 남기고는 해치웠습니다.
이렇게 하루를 마무리하니 위장이 흐뭇하기는한데 반성해야 하는
오늘도 바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