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경기도가 입석금지로 논란을 빚은 직행좌석형(빨간색) 광역버스 요금 인상이 타당한지 조사하고 있다. 운송업체들의 인상 요구에 따른 것이다.
업체들은 "입석금지 이후 버스를 늘리면서 적자가 더 커졌다"고 주장하며 요금을 성인(카드)기준 현행 2천원에서 2천660원으로 660원(약 30%) 올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도는 지난 2일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 요금 인상 타당성 조사를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요금 인상 요인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인상할지 등을 11월 말까지 조사한다.
그러나 시민 반발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실제 요금 인상요금을 결정하기까지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도는 11월 말 결과가 나오면 내부 검토를 거쳐 버스가 진출입하는 서울·인천시와 협의해야 한다. 통합환승할인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이 기간만 6개월 이상 걸린다.
도는 2011년 11월 이들 버스 요금을 200∼300원 인상한 이후 3년 가까이 동결하고 있다. 도의 한 관계자는 "요금 인상 규모는 정하지 않았고 일단 인상 요인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라며 "버스 이용객이 편하게 이용하는 방안을 찾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첫댓글 뭐든지 돈으로만 해결하려고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