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소개
우리 시대의 연극은 어디로 가는가
안치운 교수의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이 <푸른사상 학술총서 32>로 출간되었다. 무대 위 허구의 세계를 통해 현실 속 인간과 사회를 성찰하게 하는 연극의 본질과 의미를 탐구하는 책이다. 1부 연극론에서는 기억의 변증법적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연극의 기능을 이야기한다. 2부 비평론에서는 연극을 읽는 글쓰기, 이론, 상품으로서의 연극, 연극을 위한 정책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3부는 연극에 대한 헌정이며 연극을 공부하고 실천하던 학자와 비평가, 연출가, 배우에 대한 헌사이다.
2. 도서목차
■ 서문―연극 담론을 위하여
제1부 연극론―기억과 망각
●놀이와 배우
1. 배우는 놀이하는 존재 / 2. 배우와 놀이의 창조 / 3. 놀이, 삶의 모방
●배우, 그 존재로의 귀환
1. 배우의 존재 / 2. 존재 너머의 배우 / 3. 비존재로서의 배우 / 4. 존재와 미친 존재/ 5. 배우와의 접촉 / 6. 유랑하는 배우 / 7. 배우의 영혼 / 8. 배우와 관객의 분리 / 9. 훌륭한 배우는 음악과 같다
●연극과 춤의 경계를 넘어서
1. 비언어에서 언어로, 언어에서 비언어로 / 2. 비언어와 몸 / 3. 비언어, 춤연극―공연을 중심으로 / 4. 거미줄과 같은 비언어
●현대 연극, 기록과 기억의 언어
1. 한국 현대 연극 기록과 연극의 이해 / 2. 한국 현대 연극 미학, 혼란의 장 / 3. 다시 연극으로, 기록과 기억의 원리
●몸짓, 연극의 지궁
1. 연극, 낯선 공간으로의 초대 / 2. 일상의 삶과 무대의 기원 / 3. 삶에서 부활하는 연극과 춤 / 4. 연극과 춤, 그 육체적 장애와 만남
●연극, 망각에서 기억으로
1. 과거의 기억, 현실의 연극 / 2. 망각의 정치와 연극의 저항 / 3. 연극, 역사적 재현 / 4. 기억의 현상학으로서 연극
●삶과 연극의 기억
●연극, 동시대성, 가치
1. 동시대의 연극, 물적 토대에 관한 문제 / 2. 동시대의 연극: 과거의 현재 / 3. 동시대의 연극: 가치의 공간
●연극과 극장
1. 극장, 도덕적 명상의 터 / 2. 극장, 자화상 혹은 풍경 / 3. 중극장, 교양과 사회화
●연극과 선언
●연극의 힘
제2부 비평론 ― 위기의 글쓰기
●우리, 시대, 연극
1. 연극의 내경 / 2. 연극의 시간 / 3. 연극의 기원 / 4. 상주하는 연극 / 5. 낡은 연극 / 6. 먼지, 빛, 비스듬히
●비평의 어제
1. 연극 비평의 힘, 평론가의 역할 / 2. 평론, 연극의 진실 찾기 / 3. 연극 평론의 한계 / 4. 평론, 야성의 회복 / 5. 비평의 자취 / 6. 꿈꾸는 비평
●연극, 비평, 글쓰기
1. 무지와 야만의 시대, 비평이란? / 2. 비평의 거주지는 어디인가? / 3. 비평, 제 삶의 주름살 / 4. 비평, 삶의 형식 / 5. 글쓰기로의 비평 / 6. 연극과 소통
●포스트드라마 이후, 연극의 지위
1. 이전의 연극, 이후의 연극 / 2. 연극의 생존 / 3. 한국 연극과 아시아 연극
●한국 연극의 연대기
1. 아직도 가야 할 길 / 2. 연극 연구의 동향 분석: 주제 분류를 중심으로 / 3. 연극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 4. 연극의 베리타스, 연극의 후마니타스
●한국 연극의 국제화
1. 세속 도시와 연극제 / 2. 집 떠난 연극들의 거주지, 연극제 / 3. 연극제는 연극 시장 / 4. 연극의 순정 / 5. 지역 공연예술 축제는 어디로 가는가? / 6. 축제에 앞서 지역을 말하는 것은 / 7. 우르비노 ― 고음악, 세계 대학 연극 축제 / 8. 이집트 ― 카이로국제실험극페스티벌
●국가, 연극, 전략 상품
1. 국가 브랜드를 통한 연극의 세계화는 어디로 가는가? / 2. 연극 국가 브랜드 사업의 혼란과 숙제 / 3. 국가 브랜드 사업에 대한 기대 / 4. 다시 희곡을 읽었다
●연극 산업과 연극 정책
1. 공연, 예술, 산업 / 2. 단일한 연극의 산업 / 3. 연극을 위한 정책은 연극 공부로부터
●연극, 우리를 슬프고도 화나게 하는 것들
1. 연극은 삶의 고고학 / 2. 왜 우리는 연극을 하는가 / 3. 연극이 희망을 가져올 수 있을까
제3부 작가론―흔적과 자취
●육체의 글쓰기 ― 한상철과 연극 비평
1. 생이 육체를 떠나고 / 2. 연극과 삶을 생각하고 / 3. 연극과 사회를 말했고 / 4. 연극과 글쓰기로 사셨네 / 5. 생은 다시 육체로 기어들고
●부름과 만남 ― 황정현과 교육 연극
1. 자신보다 고귀한 가치들 / 2. 손을 내민 과거들 / 3. 달리 되는 매혹의 존재
●현실과 연극 ― 차학경과 반문화로서의 연극
1. 연극의 미래 / 2. 쓰기에서 받아쓰기로, 개인에서 역사로 / 3. 연극의 역할 ― 원인과 결과는 개인적이되 역사적이다 / 4. 익명의 말들(Parole anonyme)
●한국 연극과 배우 ― 박정자와 배우의 근원
1. 읽혀지는 배우, 읽혀지지 않는 배우/ 2. 배우에 대한 글쓰기
●차가운 공연 ― 한태숙과 공간의 글쓰기
1. 싸우고, 또 싸우고 ― <대학살의 신> / 2. 새로운 연극을 낳는 공간 ― <안티고네> / 3. 동굴과 감옥 그리고 무덤 ― <도살장의 시간>
●삶의 깊이와 함께하는 연극 공부 ― 스타니슬라프스키 다시 읽기
1. 스타니슬라프스키와 책들 / 2.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자서전 『나의 예술인생(My life in art, Ma vie dans l’art)』 읽기 / 3. 극장과 배우
●죽음과 기억 ― 채홍덕과 <어린이 정경>
1. 어린이 정경 / 2. 시인은 말한다 / 3. 사랑의 노래 / 4. 아이는 잠들고
■ 참고문헌
■ 찾아보기
3. 저자소개
안치운
중앙대학교 연극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정부장학생 시험에 합격한 뒤 국립 파리 제3대학(누벨소르본대학) 연극연구원(Institut d' études théâtrales)에서 연극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베르나르 마리 콜테스』 『연극과 기억』 『공연예술과 실제비평』 『연극제도와 연극읽기』 『한국 연극의 지형학』 『연극, 반연극, 비연극』 『옛길』 『시냇물에 책이 있다』 『연극 교육 제도론』 『추송웅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 『한국 사람들』(희곡과 공연) 『종이로 만든 배 : 연극 인류학』 등이 있다.
PAF 공연예술 비평상, 여석기 연극평론가상을 수상하였다. 파리 3대학 방문교수, 교수신문 편집기획위원, 삼성문학상, 대산문학상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연극학회 부회장, 국제대학연극학회 이사로 있다. 현재 호서대학교 예술학부 연극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