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 미상 <주몽신화>
이해와 감상
<주몽신화>는 고구려 건국 신화로, 고주몽의 고귀한 혈통과 기이한 탄생 과정, 시련과 영웅적 투쟁을 통한 건국 경위를 통해 영웅 일대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신화는 창작하고 향유한 집단의 문화를 반영하는데, 천신(천제)과 수신(하백)에 대한 신성 의식은 우리 민족이 고대부터 천신과 수신을 숭배했음을 보여주고, 주몽이 활쏘기에 능했다는 점은 당시가 유목 사회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유화가 햇빛을 받고 잉태한 것에서 당대인들의 태양을 숭배하는 사상을 지녔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건구 신화에는 시조들이 겪는 갈등과 시련이 두드러지지 않는데 비해 <주몽신화>에는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하기까지의 여러 차례 시련을 겪고, 금와왕의 아들들과의 갈등도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핵심 정리
갈래 : 설화, 건국신화
성격 ; 신화적, 서사적, 영웅적
주제 : 주몽의 일생과 고구려의 건군
특징
․난생 화소와 천손 하강형, 천부지모형 화소가 결합됨.
․‘탄생-기아-구출-시련-극복’이라는 여웅의 일대기 구조로 이루어짐.
출전 : 삼국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