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참동계』는 《참동계》의 내용분석을 통해 3가지 핵심키워드인 대역사상, 황노사상, 노화사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의학적인 측면과 《동의보감》과의 관계, 여기에 관계된 오행사상과 천문학적 내용들을 연구하여 수록한 책이다. 《참동계》의 서지학적 분석을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내용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내용
○● 책을 발간하며
○● 들어가는 말
○범 례●
第一部 주역참동계와 내단ㆍ외단사상
제1장 《주역참동계》의 내용분석
제1절 《주역참동계》의 서지학적 분석
제2절 대역사상大易思想
제3절 황노사상黃老思想
제4절 의학사상
제5절 오행五行사상
제6절 천문天文사상
제7절 한국의 참동계학
제2장 노화爐火사상의 동서양적 고찰
제1절 외단학설
제2절 내단학설
第二部 『周易?同契』
卷上
卷中
卷下
○●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백(白)을 알고 흑(黑)을 지키면 신명(神明)이 스스로 온다. 백(白)은 금(金)의 정(精)이요, 흑(黑)은 수(水)의 기(基)다. 수는 도(道)의 추(樞)로서, 그 수(數)는 일(一)로 이름한다. 음양(陰陽)의 처음으로서 검고, 황(黃)의 싹을 포함한다. 오금(五金)의 주(主)로 북방의 하거(河車)다. 그러므로 연(鉛)은 겉은 검고 안으로 금(金)의 꽃을 품는다. 갈(褐)을 입고 옥(玉)을 품어, 겉으로 광부(狂夫)가 된다. 금(金)을 수(水)의 모(母)라 하고, 모는 자(子)의 태(胎)에 숨는다. 수는 금의 자로서, 자는 모의 포(胞)에 숨는다. 진인(眞人)은 지묘(至妙)하여 있는 듯하고 없는 듯하다. 대연(大淵)에 방불(방불)하여 잠깐 잠겼다가 잠깐 떠오른다. 물러나 분포(分布)하여 각기 경우(境隅)를 지킨다. 이것을 채취하면 백(白)과 같고, 이것을 만들면 곧 주(朱)다. 단련하여 겉을 지켜 백(白)은 속에서 진거(眞居)한다.
모지고 둥글고 경(徑)은 일촌(一寸)이며, 섞여 서로 돕는다. 천지(天地)에 앞서 생하고, 외외(巍巍)하여 존고(尊高)하다. 곁에 원(垣闕)이 있고, 형상은 봉래(蓬萊)와 같다. 환잡(環잡)하고 관폐(關閉)하여 사통(四通)이 지주(지주)되다. 수어(守禦)가 고밀(固密)하여 간사를 알절(알絶)하다. 곡각(曲閣)이 상련(相連)하여 써 불우(不虞)를 경계하다. 그것으로써 생각을 없앨 수 있고, 그것으로써 근심과 수고를 꺼리게 하다. 신기가 집에 차면 그것을 능히 머무르게 할 수 없다. 그것을 지키는 자는 창성하고 그것을 잃는 자는 멸망한다. 동정과 휴식은 항상 사람과 더불어 함께 한다.
제 8 장 명변사정(明辨邪正)
是非歷藏法 內視有所思 履斗步강宿 六甲次日辰 陰道厭九一 濁亂弄元胞 食氣鳴腸胃 吐正吸外邪 晝夜不臥寐 晦朔未嘗休 身體日疲倦 恍惚狀若癡 百脈鼎沸馳 不得淸澄居
累土立壇宇 朝暮敬祭祀 鬼物見形象 夢寐感慨之 心歡意喜悅 自謂必延期 遽以夭命死 腐露其形骸 擧措輒有違 悖逆失樞機 諸術甚衆多 千條有萬餘 前却違黃老 曲折戾九都
明者省厥旨 曠然知所由 勤而行之 夙夜不休 服食三載 輕擧遠遊 跨火不焦 入水不濡 能存能亡 長樂無憂 道成德就 潛伏俟時 太乙乃召 移居中洲 功滿上昇 膺록受圖
이 역장(歷藏)의 법(法)은 안에서 보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두(斗)를 밟고 강수(강宿)를 걸어 육갑(六甲)과 일진(日辰)의 차례를 매긴다. 음도(陰道)는 구일(九一)을 싫어하고, 탁란(濁亂)은 원포(元胞)를 농(弄)한다. 식기(食氣)는 장위(腸胃)를 울리며, 정(正)을 토(吐)하고 외사(外邪)를 마신다. 주야(晝夜)로 누워 자지 못하고, 회삭(晦朔)에 일찍이 쉬지 못한다. 신체는 날로 피권(疲倦)하고, 황홀(恍惚)하여 형상은 바보와 같다. 백맥(百脈)이 솥에서 물이 끓듯이 달려 청징(淸澄)하게 살지 못한다.
흙을 쌓아 단우(壇宇)를 세우고 아침 저녁으로 제사를 받들다. 귀물(鬼物)이 형상을 나타내 몽매(夢寐)에 그에게 보인다. 심환(心歡)하고 희열(喜悅)하여 스스로 이르기를 반드시 수명이 연장될 것이라고 한다. 갑자기 요명(夭命)으로써 죽어, 그 형해(形骸)는 부로(腐露)한다. 거조(擧措)가 빠르게 어긋나고, 패역(悖逆)하여 추기(樞機)를 잃다. 제술(諸術)이 심(甚)히 중다(衆多)하여, 천조(千條) 만여(萬餘)가 있다. 전각(前却)은 황로(黃老)와 다르고, 곡절(曲折)은 구도(九都)로 돌아간다.
명자(明者)는 그 뜻을 살펴 광연(曠然)히 말미암을 바를 안다. 부지런히 그것을 행하여 숙야(夙夜)로 쉬지 않는다. 복식(服食) 삼재(三載)에 경거(輕擧)하여 멀리 놀다. 불에 앉아도 타지 않고,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는다. 능히 존(存)하고 능히 망(亡)하며, 장구(長久)하게 즐겨 근심이 없다.
도(道)가 이루어지고 덕(德)이 이루어져 잠복(潛伏)하여 때를 기다린다. 태을(太乙)의 부름을 받아 중주(中洲)로 옮겨서 산다. 공(功)이 차서 상승(上昇)하고, 녹(녹)에 응(膺)하고, 도(圖)를 받는다.
제 9 장 양현합체(兩弦合體)
火記不虛作 演易以明之 偃月作爐鼎 白虎爲熬樞 汞日爲流珠 靑龍與之俱 擧東以合西 魂魄自相拘
上弦兌數八 下弦艮亦八 兩弦合其精 乾坤體乃成 二八應一斤 易道正不傾 銖有三百八十四 亦應卦爻之數
화기(火記) 헛되이 만들지 않고, 역(易)을 연(演)하여 그것을 밝히다. 언월(偃月)을 노정(爐鼎)으로 하고, 백호(白虎)를 오추(熬樞)로 하다. 홍일(汞日)을 유주(流珠)로 하고, 청룡(靑龍)이 이와 함께 하다. 동(東)을 들어 서(西)에 합하고 혼백(魂魄)이 스스로 상구(相拘)하다.
상현(上弦) 태(兌)의 수(數)는 팔(八)이요, 하현(下弦) 간(艮) 또한 팔(八)이다. 양현(兩弦)은 그 정(精)을 합하여 건곤(乾坤)의 체(體)가 곧 이루어진다. 이팔(二八)은 한 근(斤)에 응(應)하고, 역도(易道)는 정(正)하여 기울지 않다. 수(銖)는 394가 있어, 또한 괘효(卦爻)의 수에 응(應)하다.
제 10 장 금반귀성(金返歸性)
金入於猛火 色不奪精光 自開闢以來 日月不虧明 金不失其重 日月形如常 金本從日生 朔旦受日符 金返歸其母 月晦日相包 隱藏其匡郭 沈淪於洞虛 金復其故性 威光鼎乃熺
금(金)은 맹화(猛火)에 들어가도 색(色)은 정광(精光)을 빼앗기지 않는다. 개벽(開闢)으로부터 이래로 일월(日月)은 밝음을 이지러뜨리지 않는다. 금(金)은 그 중후(重厚)함을 잃지 않고, 일월(日月)의 형체는 언제나와 같다. 금(金)은 본래 해로부터 생(生)하고, 초하루 아침에 일부(日符)를 받다. 금(金)은 그 모(母)에게 반귀(返歸)하고, 달은 그믐날에 해와 서로 머금는다. 그 광곽(匡郭)을 은장(隱藏)하고 동허(洞虛)로 침륜(沈淪)한다. 금은 그 본래의 성(性)으로 돌아가 위광(威光)이 있어 솥은 곧 왕성하다.
제 11 장 진토조화(眞土造化)
子午數合三 戊己號稱五 三五旣和諧 八石正綱紀 呼吸相含育 佇息爲夫婦 黃土金之父 流珠水之母 水以土爲鬼 土鎭水不起 朱雀爲火精 執平調勝負 水盛火消滅 俱死歸厚土 三性旣合會 本性共宗祖
巨勝尙延年 環丹可入口 金性不敗朽 故爲萬物寶 術士服食之 壽命得長久
土遊於四季 守界定規矩 金砂入五內 霧散若風雨 薰蒸達四肢 顔色悅澤好 髮白皆變黑 齒落生舊所 老翁復丁壯 耆구成차女 改形免世厄 號之曰眞人
자오(子午)의 수(數)는 합쳐서 삼(三)이요, 무기(戊己)는 오(五)라 칭한다. 삼오(三五)가 이미 화해(和諧)하여, 팔석(八石)은 강기(綱紀)를 바로 잡다. 호흡(呼吸)을 서로 함육(含育)하고, 저식(佇息)하여 부부(夫婦)가 되다. 황토(黃土)는 금(金)의 부(父)요, 유주(流珠)는 수(水)의 모(母)다. 수(水)는 토(土)로써 귀(鬼)로 삼고, 토(土)는 수(水)를 진정(鎭定)하여 불기(不起)하게 한다. 주작(朱雀)은 화(火)의 정(精)으로 집평(執平)하여 승부(勝負)를 조화(調和)한다. 수(水)가 성(盛)하면 화(火)가 소멸(消滅)되고, 함께 죽어 후토(厚土)로 돌아간다. 삼성(三性)이 이미 만나니 본성(本性)은 종조(宗祖)를 함께 한다.
거승(巨勝)은 오히려 연령을 연장하니, 선단(還丹)은 입에 넣을 것이다. 금성(金性)은 패후(敗朽)하지 않으니, 그러므로 만물의 보배가 된다. 술사(術士)가 그것을 복식(服食)하면 수명의 장구(長久)함을 얻는다.
토(土)는 사계(四季)에 주유(周遊)하여, 경계(境界)를 지켜 규구(規矩)를 정(定)한다. 금사(金砂)가 오내(五內)에 들어가면, 무산(霧散)하고 풍우와 같다. 훈증(薰蒸)하여 사지(四肢)에 달(達)하고 안색(顔色)은 열택(悅澤)하여 좋다. 백발(白髮)은 모두 검게 변하고, 빠진 이는 제자리에 난다. 노옹(老翁)은 정장(丁壯)으로 돌아가고, 기구(耆구)는 차녀(차女)가 된다. 모양을 고쳐 세액(世厄)을 면하니, 이것을 이름하여 진인이라 한다.
제 12 장 동류상종(同類相從)
胡粉投火中 色壞還爲鉛 氷雪得溫湯 解釋成太玄 金以砂爲主 稟和于水銀 變化由其眞 終始自相因 欲作伏食仙 宜以同類者 植禾當以黍 覆鷄用其卵 以類輔自然 物成易陶冶 魚目豈爲珠 蓬蒿不成가 類同者相從 事乖不成寶 是以 燕雀不生鳳 狐兎不乳馬 水流不炎上 火動不潤下
호분(胡粉)을 불 속에 던지면 색(色)이 깨져 다시 연(鉛)이 된다. 빙설(氷雪)이 온탕(溫湯)을 얻으면 해석(解釋)되어 태현(太玄)이 된다. 금(金)은 사(砂)로써 주(主)를 삼고, 화(和)를 수은(水銀)에 융합(融合)한다. 변화(變化)는 그 진(眞)에 말미암고, 종시(終始) 스스로 서로 돕는다.
복식(伏食)하여 선(仙)이 되고자 하면, 마땅히 유(類)를 같이 하는 자로써 한다. 화(禾)를 심으려면 마땅히 서(黍)로써 하고, 닭이 품는 것은 그 알로써 할 것이다. 유(類)로써 돕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니, 물(物)이 이루어짐에는 도(陶)와 야(冶)가 쉽다. 어목(魚目)이 어찌 진주(眞珠)가 될 것인가. 봉호(蓬蒿)는 가(가)나무가 될 수 없다. 유(類)를 같이 하는 것은 상종(相從)이라 하고, 일이 어긋나는 자는 보물을 이루지 못한다. 이로써 제비와 참새는 봉황을 낳지 못하고 여우와 토끼는 말을 낳지 못한다. 물은 흘러 염상(炎上)하지 못하고 불은 움직여 아래를 적시지 못한다.
제 13 장 양재불우(良材不遇)
世間多學士 高妙負良才 邂逅不遭遇 耗火亡資財 據按依文說 妄以意爲之 端緖無因緣 度量失操持 도治羌石膽 雲母及예磁 硫黃燒豫章 泥汞相鍊飛 鼓鑄五石銅 以之爲輔樞 雜性不同類 安肯合體居 千擧必萬敗 欲할反成癡 僥倖訖不遇 聖人獨知之 稚年至白首 中道生狐疑 背道守迷路 出正入邪蹊 管窺不廣見 難以揆方來
세간에 학사가 많다. 고묘(高妙)한데 양재(良材)가 빠져 해후(邂逅)하여 조우(遭遇)하지 못한다. 불을 소모하고 재물을 없애며, 생각을 근거로 하고 문설(文說)에 의해 망령되게 뜻으로써 그것을 한다. 단서(端緖)는 인연(因緣)이 없고, 도량(度量)의 조지(操持)를 잃는다. 강(羌), 석담(石膽), 운모(雲母) 및 예(예), 자(磁)를 도치(도治)하고, 유황(硫黃)은 예장(豫章)에서 태운다. 이홍(泥汞)은 상연비(相鍊飛)하고, 오석(五石)과 동(銅)을 고주(鼓鑄)하며, 그것으로써 보추(輔樞)로 삼는다. 잡성(雜性)은 동류(同類)가 아니니, 어찌 즐겨 체(體)를 합해 거(居)하겠는가. 천거(千擧)하여 반드시 만패(萬敗)하고, 욕할(欲할)하여 도리어 성치(成癡)하다. 요행(僥倖)을 바라다 불우(不遇)로 끝나니, 성인(聖人)이 홀로 그것을 알다. 치년(稚年)에서 백수(白首)에 이르러, 중도(中道)에서 호의(狐疑)를 생(生)하여, 도(道)를 배반하여 미로(迷路)를 지키고 정(正)에서 나와 사계(邪蹊)에 들다. 관규(管窺)하여 널리 보지 못하고 방래(方來)를 헤아리기 어렵다.
제 14 장 조술삼성(祖述三聖)
若夫至聖 不過伏羲 始畵八卦 效法天地 文王帝之宗 循而演爻辭 夫子庶聖雄 十翼以輔之 三君天所挺 迭興更御時 優劣有步驟 功德不相殊 制作有所踵 推度審分銖 有形易忖量 無兆難慮謀 作事令可法 爲世定此書 素無前識資 因師覺悟之 皓若건유帳 瞋目登高臺
火記六百篇 所趣等不殊 文字鄭重說 世人不熟思 尋度其源流 幽明本共居 竊爲賢者談 曷敢輕爲書 結舌欲不語 絶道獲罪誅 寫情著竹帛 又恐泄天符 猶豫增歎息 면仰輒思慮 陶冶有法度 未忍悉陳敷 略述其綱紀 枝條見扶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