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발투수인 경우)
1. 선발투수는 최소한 5회 이상을 완투한 후에 물러나야 하며, 그때 자기편 팀이 리드 상태에 있고, 그 리드가 경기 최후까지 지속되었을 경우, 선발투수를 승리투수로 기록한다.
=> 이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선발승리투수 조건이죠~
▶ 선발투수가 승리투수의 기록을 얻기위해 갖춰야 할 조건이다.
구원투수의 경우와는 달리 선발투수에게 일정한 이닝이상(5회)의 투구회수를 요구하는 것은, 대개의 경우 선발투수는 일정한 등판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선발등판시에는 그 경기에 대한 준비를 상당부분 갖추고 나올 수 있다는데 따른 유리한 점등을 고려한 점이라 할 수 있다.
2. 선발투수는 최소한 5회의 투구가 필요하다는 규정은 6회이상의 경기에 전부 해당된다.
단, 경기가 5회에서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선발투수가 최소한 4회를 완투한 후 물러나야 하며,그 때 자기편 팀이 리드의 상태에 있고 그 리드가 경기의 최후까지 지속되었을 경우, 선발투수를 승리투수로 기록한다.
▶ 6회 이상의 경기라 함은 6회를 완료했을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6회초 선두타자의 공격도중 주심에 의해 콜드케임이 선언된 경우, 리드하고 있던 팀의 선발투수가 승리투수의 기록을 얻기 위해서는 4회가 아닌 5회이상의 투구회수가 필요한 것이다. 선발투수가 4회만을 던지고 승리투수가 될 수 있는 경우는 오로지 5회로서 종료되었을 때 뿐이다.
(구원투수인 경우)
1. 선발투수가 앞 1,2의 규정에 의하여 승리투수가 되지 못하고, 2명 이상의 구원투수가 출장하였을 경우에는 다음에 기준에 의하여 승리투수를 결정한다.
가. 선발투수의 임무중에 승리팀이 리드를 하여 그 리드를 최후까지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승리를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하였다고 기록원이 판단한 1명의 구원투수에게 승리투수를 기록한다.
▶ 이 경우는 선발투수의 투구중에 팀이 리드를 하였으나, 선발투수가 5회를 넘기지 못하고 마운드를 물러나 투구이닝 부족으로 승리투수의 자격을 상실했을 때의 승리 투수 결정 방법이다.
예)
V | 0 0 0 0 1 0 0 0 0 ............ 1
H | 5 0 0 0 0 0 0 0 - ............ 5
투구이닝 :
H 투수 A --------- 4회 (선발투수의 투구이닝 부족)
H 투수 B --------- 1회
H 투수 C --------- 3회 (승리투수의 기록부여)
H 투수 D --------- 1회
2. 구원 승리투수의 결정기준.
구원투수중에서 승리투수를 결정해야 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종합하여 결정한다.
가. 리드시점
자기가 등판하였을 때 리드를 얻고 그 리드가 최후까지 계속된 투수.구원승리투수의 결정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
▶ 예)
V | 0 0 0 0 0 0 3 0 0 ............ 3
H | 0 0 0 0 0 0 0 0 0 ............ 0
투구이닝 :
V 투수 A ---------- 5회 (선발이 투구회수의 조건만 충족)
V 투수 B ---------- 2회 (리드시점의 투수가 승리투수)
V 투수 C ---------- 2회
나. 투구 회수가 많은 투수
투수들간의 투구회수 차이가 2회이상 난다거나 또는 경기중반이후 여러명의 투수가 나누어 던져, 결과적으로 구원투수들의 투구이닝이 많지 않고 그 차이도 크지 않을 때는 투구회수의 상대적 비율이 3배이상이 되는 경우에 투구회수나 투구비율이 많은 쪽을 우선적으로 배려한다. 단, 이 조항을 적용하는 데 있어 주의할 점은 단순히 숫자상으로 나타나는 투구이닝의 차이에 전적으로 의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원승리투수를 결정하는 기준이라기 보다는 승리투수의 기록을 정하는데 있어 구원투수중 어느 투수에게 어드밴티지를 주어야하는 지에 대한 참고가 되는 자료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 예)
V | 0 0 0 1 0 0 0 0 0 ............ 1
H | 2 0 0 0 0 0 0 0 - ............ 2
투구이닝 :
H 투수 A ---------- 2회 (선발이 리드시점의 조건만 충족)
H 투수 B ---------- 1회
H 투수 C ---------- 4회 (투구회수가 많은 투수가 승리투수)
H 투수 D ---------- 2회
다. 먼저 나온 투수 우선.
구원투수들 간의 투구이닝차가 거의 없고, 더욱이 투구내용에 있어서도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을 경우에는 앞서 등판한 투수에게 승리투수의 기록을 부여한다. 이는 먼저 등판하는 투수는 뒤에 나오는 투수보다 상대적으로 남아있는 투구이닝이 많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이처럼 구원투수중 먼저 나온 투수에게 승리투수의 기록이 돌아가는 경우는, 선발투수 때 리드시점을 잡았으나 선발투수가 미처 5회를 넘기지 못하고 강판당했을 때에 바로 이어 나온 구원투수가 2 - 3회를 잘막아낸 후 다음 구원투수에 넘겼을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 예)
V | 0 0 0 0 0 0 0 0 0 ............ 0
H | 3 0 0 0 0 0 0 0 - ............ 3
투구이닝 :
H 투수 A ---------- 4회 (선발이 리드시점의 조건만 충족)
H 투수 B ---------- 2회 (먼저 등판한 투수가 승리투수)
H 투수 C ---------- 2회
H 투수 C ---------- 1회
라. 투구내용이 좋은 투수
투구회수의 차가 투수간에 대동소이할 경우에는 투구내용이 보다 좋은 투수에게 구원
승리투수를 기록한다.
▶ 예)
V | 0 0 0 0 0 4 0 0 0 ............ 4
H | 5 0 0 0 0 0 0 0 - ............ 5
투구이닝 :
H 투수 A ---------- 4회 (선발이 리드시점의 조건만 충족)
H 투수 B ---------- 2회 (투구내용이 좋지 않은 경우)
H 투수 C ---------- 2회 (B투수보다 좋은 투구내용으로 승리투수)
H 투수 D ---------- 1회
3. 경기도중 동점이 되면 투수의 승패결정에 관해서는 경기를 새로 시작하는 것으로 취급한다.
▶ 아무리 많은 점수차이로 리드를 하고 있었더라도 일단 동점상황이 되었을 경우, 동점이 되기 전까지 나와 투구했던 양팀의 모든 투수는 승리투수와 패전투수의 기록결정에서 제외가 된다. 따라서 동점이후에는 새로이 리드를 얻은 팀의 투수가운데 승리투수를 결정한다.
예)
V | 0 0 0 0 0 3 0 0 0 ............ 3
H | 3 0 0 0 0 0 0 3 - ............ 6
투구이닝 :
H 투수 A ---------- 5회 (선발이 리드시점,투구회수 모두 충족)
H 투수 B ---------- 2회 (동점을 허용,A투수는 승리투수결정에서 제외)
H 투수 C ---------- 2회 (리드시점을 얻어 승리투수)
4. 상대편팀이 한번 리드하면 그동안 투구한 모든 투수는 승리투수의 결정에서 제외된다. 단, 리드하고 있는 상대편팀에 대하여 투구하고 있는 동안에 자기편 팀이 다시 리드를 되찾고 (역전),그 리드가 최후까지 유지되었을 경우에는 그 투수에게 승리투수의 기록이 주어진다.
예)
V | 0 0 0 0 4 0 0 0 0 ............ 4
H | 2 0 0 0 0 0 0 3 - ............ 5
투구이닝 :
H 투수 A ---------- 5회 (리드당한 상태에서 강판)
H 투수 B ---------- 2회 (구원투구중에 팀이 다시 리드, 승리투수)
H 투수 C ---------- 2회
5. 그의 투구중에 자기편 팀이 리드를 되찾아 그 리드를 최후까지 유지하였을 경우, 그 투수에게 구원승리투수를 기록한다. (리드시점에 해당되는 투수)
※ 예외 : 구원투수가 일시적이고 비효과적인 투구를 하고, 그 뒤에 출장한 구원투수가 리드를 유지하는데 더욱 충분하고 효과적인 투구를 하였을 경우에는 앞서의 구원투수에게 승리투수를 기록하지 않고, 다음 투수에게 승리투수를 기록한다.
▶ 구원투수중에 승리투수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에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이 바로 리드시점의 획득여부이다. 리드시점을 얻은 구원투수가 반드시 승리투수로 기록되는 것은 아니지만, 리드시점에 해당되는 투수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승리투수라는 말의 뜻 자체가 팀의 리드를 전제조건으로 하기 때문이다.
예)
V | 1 0 0 0 0 0 0 0 1 ............ 2
H | 0 0 0 0 0 3 0 0 - ............ 3
투구이닝 :
H 투수 A ---------- 5회 (리드당한 상태에서 강판)
H 투수 B ---------- 2회 (구원투구중에 팀이 다시 리드, 승리투수)
H 투수 C ---------- 2회
▶ 위의 ※예외에서 말하고 있는 구원투수중에서 일시적 또는 비효과적인 투구를 한 구원투수는 승리투수의 자격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일시적이라는 것은 한두명의 타자를 상대하는 임무를 띄고 등판하는, 흔히 '원포인트 릴리프'라고 부르는 구원투수 또는 경기초반이나 중반에 1이닝내외를 던진 투수를 지칭하는 것이며, 비효과적인 투구라는 것은 리드시점의 획득여부를 떠나 실점이 많았다거나 팀을 위기상황에 빠뜨린 뒤 물러났다거나 하는 등의 투구 내용이 좋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예) 비효과적인 투구
V | 0 0 0 0 4 0 0 0 0 ............ 4
H | 3 0 0 0 2 0 0 0 - ............ 5
투구이닝 :
H 투수 A ---------- 3회 (투구회수 부족)
H 투수 B ---------- 2회 (리드시점의 투수지만 투구내용이 좋지 못함)
H 투수 C ---------- 3회 (리드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투구,승리투수)
H 투수 D ---------- 1회
예) 일시적인 투구
V | 0 0 0 0 2 0 0 0 0 ............ 2
H | 0 0 0 0 3 0 0 0 - ............ 3
투구이닝 :
H 투수 A ---------- 4와 2/3회 (선발이 2실점후 물러남)
H 투수 B ---------- 1/3회 (리드시점때 투수이나 일시적인 투구로 판단)
H 투수 C ---------- 3회 (리드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투구,승리투수)
H 투수 D ---------- 1회
6. 리드시점의 판단
가. 투수가 대타자 또는 대주자와 교대하고 물러난 회에 자기편 팀이 리드하고 있었거나, 그 회에 득점을 하여 자기편 팀이 리드를 되찾았을 경우, 승리투수의 기록을 결정하는데 있어 그 투수의 임무 중에 얻은 것으로 한다.
▶ 지명타자제를 실시하지 않아 투수가 타격을 겸해야 하는 경우 또는 지명타자가 수비로 들어가는 바람에 투수가 그 빈자리의 타순표에 들어가 타격을 하게 된 경우, 그 자리에 투수를 대신해서 대타나 대주자가 나왔을 때의 승리투수 결정 방법이다.
예)
V | 0 0 0 0 0 0 0 0 0 ............ 0
H | 0 0 0 0 0 0 1 0 - ............ 1
※ H팀 투수 A가 7회말 공격중에 대타 또는 대주자와 교대되어 물러난 경우, 7회말에 H팀이 올린 득점은 투수 A의 임무중에 얻은 득점으로 인정한다. 즉 리드시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또한, 투수 A가 8회말에 대타나 대주자와 교대되어 물러난 경우에도 리드를 하고 있던 상태이기 때문에 당연히 리드시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러나 6회 또는 그 이전에 대타나 대주자로 교대된 투수는 7회에 자기팀이 얻은 득점에 대해 리드시점을 인정 받을 수 없다.
▶ 한편 투수가 어느 이닝을 마친 후, 곧바로 이어진 자기팀 공격에서 리드하는 득점을 얻고 바로 다른 투수로 교대되어 새로운 이닝을 맞이한 경우, 리드시점은 새로 나온 투수가 아닌 앞 투수에게 주어진다.
예)
V | 0 0 0 0 0 0 1 0 0 ............ 1
H | 0 0 0 0 0 0 0 0 0 ............ 0
※ V팀 투수 A가 6회말까지 투구한 후, 이어진 공격에서 V팀이 7회초에 리드하는 득점을 얻고 7회말로 곧바로 새로운 투수를 등판시켰을 경우에 리드시점은 A투수 에게 주어진다.
응원 횟수 0
첫댓글 와~ 정말 이해가 잘가는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ㅋㅋ
완전 감사해요 님~~ㅋ
설마 일일이 치신건 아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