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31107 (화) 마감 시황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1. 양대 지수는 200일 이평선의 저항에서 전일 상승폭의 절반 미만을 되돌림. KOSPI 어제 +5.66%, 오늘 -2.33%, KOSDAQ 어제 +7.34%, 오늘 -1.80%. 외국인과 기관은 KOSPI, KOSDAQ 현물과 선물 순매도. 공매도 전면 금지 시행 첫날인 어제는 나중에 팔기 위한 매수에 집중(Long-Sell)했다면 오늘은 자제. 한국거래소는 합법적 공매도 면허를 가진 파생상품 시장조성자(Market maker)에게까지 이번주 시장조성의무 면제 조치
2. 2차전지 전반적으로 되돌림 있었으나 전성기 때처럼 에코프로는 플러스(+3.7%) 마감, 에코프로비엠은 마이너스(-4.9%)였지만 어제 시가/저가보다는 오늘 종가가 높게 마감, 엘앤에프는 어제 시가/저가보다 오늘 종가가 낮게 마감하며 폭락(-15.3%). 인기차트 순위는 변하지 않음
3. KB금융(-6.1%)처럼 이틀전 종가보다도 오늘 종가가 낮게 끝난 종목은 억울. 하지만 어제의 SK하이닉스(-1.95%)처럼 반도체 내 52주 신고가 종목 증가(한미반도체 +7.0%, 하나마이크론 +6.2%, 주성엔지니어링 +1.9%, 유진테크 +1.3%). 11/20 전자와 닉스가 없는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 ETF 상장 예정의 영향. 패키징 공정 61%, 미세화 공정 39% 구성(한미반도체 16.25%, 이오테크닉스 8.91%, 동진쎄미켐 7.67%, 솔브레인 7.65%, 이수페타시스 7.50%, 원익IPS 7.30%, 하나마이크론 6.57%, ISC 5.23%, HPSP 5.21% 등). Passive의 영향력은 중소형주에서 강력
4. 뭘해도 안되던 CJ ENM(+13%) 장중 호실적 발표. 계열사인 스튜디오드래곤(+4.8%) 턴어라운드 확인에 제작사 전반 상승(래몽래인 +7.8%, 위지윅스튜디오 +5.9%, 덱스터 +5.7% 등). 한국 만화/웹툰/웹소설 플랫폼(픽코마, 라인 망가, 네이버 웹툰, 카카오페이지)이 전 세계 도서 카테고리 앱 매출 상위권에 랭크되며 콘텐츠 관련주도 상승(디앤씨미디어 +15.1%, 키다리스튜디오 +10.1% 등).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첫 XR 기기(프로젝트명 '무한') 생산시점을 2024년 12월로 확정하고 초도 출하량을 3만대로 잡았다는 기사도 나옴
5. 낙폭과대주 바닥잡기 활발. 한국전력(+2.3%)은 유가 하락과 11/9부터 산업용 전기료 인상 뉴스에 상승. 10월 해외단체여행 비용이 13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는 기사에 하나투어 상승(+6.5%). 쿠팡 실적 부진과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가능성에 이마트(+7.5%) 마저 반등
6. 기존 주도주의 강세도 여전. HD현대일렉트릭(+2.6%) 사우디에서 822억원 규모 전력기기 수주 공시, 수주잔고 4억 달러 돌파. 장중 셀온이 나왔지만 역사적 신고가 경신. HD현대일렉트릭은 12월 KOSPI 200 정기변경 편입 예상후보이기도 함. 기존 KOSPI 200, KOSDAQ 150 종목만 공매도가 가능했을 때는 편입이 매도의 근거가 될 수도 있었지만 상황이 달라짐. 지수에 편입된다는 건 최근 주가가 좋았다는 증거 = 생존자 편향(survivorship bias) 오류. KOSDAQ 150에는 파두(대형주 특례조건), 루닛, 신성델타테크, 원텍, 아이센스, 엠로 등 편입 가능
7. 빈집이다 싶으면 명분만 생기면 한 번씩 튀는 장. 지수는 막혀있지만 종목장은 활발. 어느때보다 실적과 일정 매매에 집중. 내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공모청약 시작, 카카오/롯데케미칼/엔씨소프트 실적 발표, 루닛 무상증자 권리락일
(자료) https://tinyurl.com/4bmvjnsu
* 메리츠 시황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