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존재의 유비는 존재하는 피조물을 통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나 철학적 제일원리를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다는 뜻입니다. 유비라는 개념은 헬라어 어원의 문자적인 의미는 [비율] [일치]라는 뜻입니다. 아퀴나스의 신학원리이며 자연신학이라함
현현하다는 나타나다는 의미입니다. menifasto라고 하지요. 흔히 정치인들의 공약집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그것은 현재 없는 무형의 무언가가 장래에 실현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지요. 즉, 현현하다가 함의하는 바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실체가 눈에 보이는 형식으로 드러났다는 뜻입니다.
저가 편집하고 있는 <기독교 용어 사전>에 실린 것을 옮깁니다. 아직 수정 보완 중이라 개념의 정리가 미숙할 수 있습니다.
1.존재의 유비(存在類比, analogia entis, analogy of being) <어의>: 하나님과 인간 양자를 각각 하나의 존재라는 전제 하에 존재적 특성이나 존재 양태 등에서 비슷한 점을 추려내어 그 둘 사이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인식 방법이다. <인용 사례> : 아버지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존재 유비로 알 수 있습니다.
* 신앙의 유비(信仰類比, analogia fidei, analogy of faith) <어의>: 믿음의 분수(롬12:6)와 믿음의 분량(롬12;3)과 같은 뜻에서 나온 말로, '하나님과의 상응과 일치'는 인간 속에 있는 하나님과의 접촉점으로서가 아니고 ''오직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전제로 한다'는 관점이다. <인용 사례> :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선행하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를 사랑할 수 있다'라는 생각입니다. 즉 인간이 그 무엇을 사랑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를 사랑해 주셨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요일4:19).
* 임재(臨在, real presence, manifest presence)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나타나는 일(창28:15,16). 구약성경에는 성막의 영광스러운 구름과 그 외에도 여호와의 사자, 진설병, 언약궤 등을 언급한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한다. 신약성경은 하나님이 살아계신 임재로써 예수 그리스도에 중심을 둔다. 종말론적인 의미의 임재는 그의 속함을 받은 백성과 함께 훗날 그의 임재함과 더불어 재림한 그리스도의 당도하는 순간을 의미한다.
* 하나님의 임재(presence of God) 구약에서는 하나님은 인간처럼 공간의 제약을 받는 것처럼 묘사되었다(출3;1,하나님의 산 ;삼상6;19, 언약궤 ;왕상7;51,성전). 그러나 신약에 의하면 하나님은 무소부재하신 분이다(롬1:20).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며(마6;9), 우리와 함께 하시며(마1;23), 예수님 안에 임재하시기도 한다(요1;14).
첫댓글 존재의 유비는 존재하는 피조물을 통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나 철학적 제일원리를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다는 뜻입니다. 유비라는 개념은 헬라어 어원의 문자적인 의미는 [비율] [일치]라는 뜻입니다. 아퀴나스의 신학원리이며 자연신학이라함
현현하다는 나타나다는 의미입니다. menifasto라고 하지요. 흔히 정치인들의 공약집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그것은 현재 없는 무형의 무언가가 장래에 실현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지요. 즉, 현현하다가 함의하는 바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실체가 눈에 보이는 형식으로 드러났다는 뜻입니다.
가시적이란 말도 설명해야 하는지? ^^ 아실 거 같은데, 눈에 보인다는 말입니
답글 감사합니다 위2개를설명해 주셔서 가시적이라는 말은 설명 안해주셔도 될듯 하네요 ㅎㅎ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 드립니다 이해 하는도 도움 이 됩니다
저가 편집하고 있는 <기독교 용어 사전>에 실린 것을 옮깁니다. 아직 수정 보완 중이라 개념의 정리가 미숙할 수 있습니다.
1.존재의 유비(存在類比, analogia entis, analogy of being)
<어의>: 하나님과 인간 양자를 각각 하나의 존재라는 전제 하에 존재적 특성이나 존재 양태 등에서 비슷한 점을 추려내어 그 둘 사이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인식 방법이다.
<인용 사례> : 아버지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존재 유비로 알 수 있습니다.
* 신앙의 유비(信仰類比, analogia fidei, analogy of faith)
<어의>: 믿음의 분수(롬12:6)와 믿음의 분량(롬12;3)과 같은 뜻에서 나온 말로, '하나님과의 상응과 일치'는 인간 속에 있는 하나님과의 접촉점으로서가 아니고 ''오직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전제로 한다'는 관점이다.
<인용 사례> :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선행하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를 사랑할 수 있다'라는 생각입니다. 즉 인간이 그 무엇을 사랑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를 사랑해 주셨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요일4:19).
2. 현현하다(顯現, manifest)
<어의> : 명백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내다.
<인용 사례> : 하나님은 음성(창3:8), 사람의 모습(창18:1,2,32:24), 선한 형상(출33:19)과 구름, 폭풍, 번개, 불 등의 자연현상(출3:2-6;사30:27,28;민11:1-3), 환상(사6:1-4) 등으로 현현(manifestation)하십니다.
* 임재(臨在, real presence, manifest presence)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나타나는 일(창28:15,16). 구약성경에는 성막의 영광스러운 구름과 그 외에도 여호와의 사자, 진설병, 언약궤 등을 언급한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한다. 신약성경은 하나님이 살아계신 임재로써 예수 그리스도에 중심을 둔다. 종말론적인 의미의 임재는 그의 속함을 받은 백성과 함께 훗날 그의 임재함과 더불어 재림한 그리스도의 당도하는 순간을 의미한다.
* 하나님의 임재(presence of God)
구약에서는 하나님은 인간처럼 공간의 제약을 받는 것처럼 묘사되었다(출3;1,하나님의 산 ;삼상6;19, 언약궤 ;왕상7;51,성전). 그러나 신약에 의하면 하나님은 무소부재하신 분이다(롬1:20).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며(마6;9), 우리와 함께 하시며(마1;23), 예수님 안에 임재하시기도 한다(요1;14).
3. 가시적(可視的, visible)
<어의> : 눈으로 볼 수 있는 또는 그런 것
<인용 사례> : 불가시적인 믿음이 그의 행함으로 가시적으로 드러납니다.
가시적을 여쭤본 이유는 현현 이라는 단어와 구별 하는게 까리~~ 해서 여쭤본건데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시적인건 시각에 국한 된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