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게시글
탁구 규칙 지키기 운동 올바른 탁구의 정립.
정언적명령 추천 1 조회 1,303 17.02.16 11:46 댓글 2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7.02.16 12:17

    첫댓글 대부분의 생활스포츠를 보면 경기룰를 잘지키며 하더군요. 그런데 왜 유독 탁구만 묵인,시비가 끊이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의식이 안될때는 강제성으로 변화를 추구하면 빨리 정착되지않을까 싶습니다.

  • 작성자 17.02.16 12:21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의식의
    변화없는 무질서 보단 규제에
    의한 질서가 바른 길이라 생각
    됩니다

  • 17.02.16 12:44

    여러가지 방안을 올려보기도 하며,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많은 분들이 애쓰고 있다는점은 확실합니다. 왜냐면 대회에서도 서비스 규칙강화등의 문구가 뚜렷히 보이기 때문이죠. 사실 사설탁구장이나 재미를 위해 칠때도 알면 좋겠지만 이건 문구의 효력이 할수있는만큼다하나 사람의 마인드때문에 지키는 사람은 지키고 안지키는 사람은 안지킵니다. 가장좋은방법은 대회에서 시작전에 서비스에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 관련된 영상은 많으니 그런것을 영상으로 보여주는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죠. 이렇게 교육을해서 보여주고, 이를어길시 첫번째 경고, 두번째 실점을 가차없이 적용하겠다.라는점도 심판들

  • 17.02.16 12:45

    에게 강요하고 교육해야하죠. 이런것을 교육까지 해야하나...싶은분들도 있겠지만, 올바른 서비스 정착을 위해서는 대회때 좀더 교육, 강요, 시범 등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17.02.16 12:49

    자꾸 쉽게 이길려다보니 반칙서비스넣어서 이길려고합니다. 근데 정확히 규정을 지켜도 서비스가 얼마나 위대하고 어려워질수있는지 다 아시죠. 하지만 이런서비스를 만들기위해서는 드라이브 완성하는만큼 연습을 해야합니다. 예를들어 포핸드 드라이브를 수준껏칠려면 아마도 1년은 꾸준히 쳐야 된다고 가정했을때, 주 3회 20분 포핸드 친다고 했을때 한달에 적어도 만번정도 칩니다. 이것이 1년 모여야 평균적으로 수준급으로 올라온다고 가정했을때 10만번이 넘죠. 서비스 연습어떤가요...똑같은 서비스 10만번 해보신적있는가요. 좀더 회전많게 좀더 빠르게 좀더 변화가 심하게 좀더 어렵게. 연습을 회피하고 이기려다보면 편법이생기고

  • 17.02.16 12:50

    과정이 중요한데 자꾸 결과중요시하면 편법도 허용이 되는 문화가 정착되고 맙니다. 모두 드라이브 연습하시는것만큼 서비스도 연습하시면 반드시 좋은 서비스를 가지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작성자 17.02.16 13:00

    맞습니다. 승부에만 집착하지
    얼마나 자신이 초라한 스포츠맨인줄 못느끼는거죠.
    남들은 땀흘린 서비스 연습의 결과물로서 멋있고 배우고 싶은 서비스를 보여 주고 있는데,뭐가 바른 길인지
    인식을 못하는건지 아니면
    모른체 양심을 저버리는건지
    쯧쯧~

  • 작성자 17.02.16 13:06

    아뫃든 이번엔 우리 모든 탁구인들이 힘들더라도
    엉터리 서브 추방토록 노력들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17.02.16 13:20

    반칙서비스 할시 실점으로 처리되면 다들 지키려고 노력하지않을까요? 뭔가가 강제적이고 강력한 제재가 있어야 우습게 보지 않을겁니다

  • 작성자 17.02.16 16:43

    시합 주관하시는 주체가 꼭 실행했으면 좋겠습니다.
    무엇보다 탁구장에서 부터 고수분들이나 관장 코치님등이 조금씩만 신경들 써서 지도해주시면 올해 안으로
    충분히 대한민국 탁구 서비스가 제대로 잡힐텐데요~

  • 17.02.16 17:50

    동감합니다!

  • 17.02.16 18:00

    좋은 말씀이십니다.
    탁구를 포함한 라켓스포츠 세계에서 서브폴트에 대해 특히 봐주고 넘어가는게 심한 것 같습니다.

    테니스 서브 할 때는 라인을 밟고 들어오는 풋폴트도 심하지 않으면 그냥 넘어가고...
    배드민턴 서브도 라켓헤드를 세워서 하는 것도 종종 넘어가더라구요.

  • 작성자 17.02.16 19:21

    몰라서 범하는 잘못이라면 가르쳐 줘야겠지요.
    문제는 알면서 뻔뻔하게 저지르는 괘씸한 사람들이죠.
    우선 나부터 27일 탁구장내 조그마한 시합이 있는데 시합전 다시한번 각성시켜 놔야겠어요.
    모두 이제 부터 시작들 됐으면 좋겠어요.

  • 17.02.16 19:07

    저는 지난주 토요일 대회에 나갔는데 서브동작을 취한후 시간을 끈다고 항의를 받았습니다.
    올바른 서브를 넣으려고 연습했고 그렇게 한다고 생각했는데 당황스러웠습니다.
    제가 손바닥위에 공을 놓고 상대방이 준비됐는지 본다음 제공을 보고 공을 위로 던졌는데 ...
    공을 손바닥에 놓고 편채로 얼마나 있으면 폴트일까요?

  • 작성자 17.02.16 19:22

    그 시간도 규정이 있나요?
    아니면 상식선으로 판단하는 건가요?

  • 17.02.16 20:53

    @정언적명령 정확한규정이 어떤지 잘몰라서요.
    상대와 같은편분이 심판을 봤는데 공을 던지려는순간 중지시켜서 그다음부턴 시합이 안되더라구요.

  • 17.02.28 15:41

    @eve&rose 5초가넘어가면 좀 길다고 생각됩니다.

  • 17.02.16 19:19

    저희 구장도 서비스 규정 준수를 따로 강조하지 않아서 구장 대회에 나가기가 영 꺼려집니다.
    어르신들이라 뭐라 말씀드리기도 어렵고... 그래도 앞으로는 좀 바르게 변하도록 노력해야겠네요.

  • 작성자 17.02.16 19:26

    힘들어도 의식있는 우리들이 바꾸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막무가내인 어르신들께
    이해를 구하는게 쉽진 않겠지만요^^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7.02.16 21:5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7.02.16 22:03

  • 17.02.16 22:04

    @정언적명령 감사합니다 좋은글 좋은데다 퍼트리겠습니다

  • 17.02.17 15:27

    서브문제도 그렇지만, 상수가 하수잡아주고하는것도 탁구에서만 그렇죠. 왜그러는지 이유는알지만, 그럼 왜 다른생활체육종목은 안잡아주는지는 말이안되죠. 세계스포츠종목인데 한국에서만 동네탁구되버린거같은 느낌입니다.

  • 17.02.17 15:55

    구장 최고수중 한분이 무슨일인지 동호회도 탈퇴하고 그만 두시더라구요. 그런데 그 분이 평소에 올바른 서비스에 대해서 자주 얘기를 하시던 분인데, 지금 6,7개월 지난 지금 저희 구장을 보면 점점 서비스 규칙을 안지키는 분위기로 가는 것 같아요. 뭐랄까, 의도적이진 않지만 분위기를 주도하는 고수가 없으니 서로 신경을 쓰지 않고 그러다 보니 점점 물이 흐려지는 분위기라고 할까요? 저희 구장은 분위기는 좋은데, 요즘들어 이 부분이 좀 그렇습니다. - -

  • 작성자 17.02.17 17:25

    아! 꼭 누가 나서서 지적해
    주어야만 된다니 아직 갈길이 멀긴한것 같군요.
    그래도 남은 고수님들이
    그 짐을 질수 밖에 없겠네요. "윤이아빠"님과
    그곳 고수님들의 건투를
    빕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