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변산의 대표적인 명소로 채석강과 변산 해수욕장을 꼽는다고 합니다. 그 중의 하나인 채석강을 보러 갔습니다. 채석강은 강이 아니라 썰물 때 드러나는 변산반도 서쪽 끝 격포항과 그 오른쪽 닭이봉(200m)일대의 층암 절벽과 바다를 총칭하는 이름이라고 하였습니다. 기암괴석들과 수천수만권의 책을 차곡차곡 포개 놓은 듯한 퇴적암층 단애로, 중국의 채석강(彩石江)과 그 모습이 흡사해 채석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격포항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격포항을 돌아서 해안을 갔습니다. 격포항에는 어선들이 한가하게 쉬고 있었고 방파제 사이로 유람선이 수시로 드나들고 있습니다.
모퉁이를 돌아나가니 퇴적암층 단애가 보입니다. 그 모습을 보려고 온 사람들이 길을 가득 메우고 있습니다. 바다쪽으로 돌아나가니 퇴적암층은 더 자세하게 보입니다. 절벽 위에 떨기나무는 단풍이 물들고 있었습니다.
function layer_view(layer_name, val1) {
var layerId = document.getElementById(layer_name);
var tag_modifyimg = "tag_modifyimg"+val1;
if (layerId.style.display == "")
{
layerId.style.display = "none";
document.getElementById(tag_modifyimg).style.display = "inline";
}
else
{
layerId.style.display = "";
document.getElementById(tag_modifyimg).style.display = "none";
var oftentag_ajax = "oftentag_ajax"+val1;
getOfenTag(oftentag_ajax, 'machang1251','blog02', val1);
}
}
function modifyTag(val, val1, tagoldlist, tagidxlist, userno, pmcid, blog_data_id, mycate_id, isopen, blog_dbuser) {
var taglistval = eval("document.ifrm"+val1+".taglist"+val1);
var taglist = taglistval.value;
var retag = "retag"+val1;
var tagoldlist_ajax = (eval("document.ifrm"+val1+".tagoldlist"+val1)).value;
var tagarr = taglist.split(",");
if (tagarr.length > 10) {
alert("태그는 10개까지 가능합니다.");
return;
}
for (i=0; i < 10 && i < tagarr.length; ++i) {
tagarr[i] = tagarr[i].replace(/(^\s*)|(\s*$)/g, "");
if (jfGetByte(tagarr[i]) > 60) {
alert("태그는 한글 30자, 영문 60자 까지 가능합니다.");
return;
}
}
layer_view(retag, val1);
modifyTagDB(val, val1, taglist, userno, pmcid, blog_data_id, mycate_id, isopen, tagoldlist_ajax , tagidxlist, blog_dbuser);
}
function tagSearch(pmcid, tag){
location.href="/perblog/tag_search.php?pmcID="+pmcid+"&tag="+tag+"&page=";
}
첫댓글 억겹의 세월을 말해주는 갑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