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는 감(甘), 감미고(甘微苦), 무독(無毒), 한(寒)이고 작용부위는 심(心), 폐(肺)입니다.
이 약은 긴 타원형, 피침형 혹은 긴 삼각형의 각질성 인편이며 길이 2-4cm, 너비 1-2cm, 두께 2-5mm이다.
중심부는 두꺼우나 가장자리는 얇고 주름져 있거나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바깥면은 유백색-엷은 황갈색으로 광택이 조금 있고 반투명하다. 인편에는 여러 줄의 평행맥이 있고 질은 단단하나
쉽게 부서지고 꺾은면은 매끈하다.
이용부위는 비늘줄기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청심안신(淸心安神)에는 생용(生用)하고 윤폐지해(潤肺止咳)에는 밀구용(蜜灸用)한다.
효능은
1. 안신(安神) :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2. 보중(補中) :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3. 이대소변(利大小便) : 대소변(大小便) 둘 다 잘 나오게 하는 치료방법임.
4. 영심(寧心) : 심(心)을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5. 양음(養陰) : 음(陰)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임.
6. 강지(强志) : 지력(志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7. 살고독기(殺蠱毒氣) : 고독(蠱毒)을 제거하는 효능임.
8. 영심(寧心) :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9. 양오장(養五臟) : 오장(五臟)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능임.
10. 윤폐지해(潤肺止咳) : 폐(肺)를 적셔주고 해수(咳嗽)를 멎게 하는 효능임.
11. 정담(定膽) : 담(膽)을 바로잡는 효능임.
12. 지체루(止涕淚) : 눈물을 흘리는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13. 지해(止咳) :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14. 청심안신(淸心安神) : 심열(心熱)을 제거하여 열로 인해 안절부절못해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헛소리를 하는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능임.
15. 청열(淸熱) :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백합은 백합과 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백합은 우리말로 나리다. 대개 백합은 나리속 식물 전체를 가리키지만, 특히 흰 꽃을 피우는 종을 지칭하며 흰나리·나팔백합·철포백합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참나리, 말나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등이 자생하고 있으며, 울릉도에는 섬말나리와 응달나리가 자란다.
키가 1m까지 자라고 비늘줄기는 약간 납작한 공처럼 생겼다. 잎은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싸며 어긋난다. 꽃은 5~6월에 피기 시작하여 8월까지 핀다. 줄기 끝에서 2~3송이씩 옆이나 아래쪽을 향해 피며, 보통 향기가 있지만 품종에 따라 향기가 없는 것도 있다. 타원형의 납작한 열매가 8~9월에 열린다.
북반구의 온대지역에서 자라며 70~100종이 있다. 흰색 꽃을 피우는 종류로 백합 이외에 일본이 원산지인 산나리, 중국이 원산지인 당나팔백합·리갈백합, 타이완이 원산지인 고사백합 등이 있다. 종 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하여 피는 섬말나리계에는 섬말나리와 응달나리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참나리, 말나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등이 자생하고 있다. 참나리는 짙은 주황색의 꽃잎에 호랑이 무늬 같은 흑자색 반점이 나있다. 4~20송이의 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 아래로 향하여 7~8월에 핀다.
첫댓글 건강에 유익한 자료 감사합니다
새로운 한주 활기차게 보내십시요
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네..^^
感謝 합니다 *.* 强推
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