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목록 |
 |
 |
등소평 탄생 100주년 기념 설문조사 |
 |
 |
 |
작성일: 04.07.18 |
|
작성자: 정영희
|

2004년 8월 22일은 등소평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신화통신은 등소평 탄생 100주년을 기리기 위해, 등소평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고 있다.
< 2004.7.18일 까지의 설문조사 결과 >
1. 등소평 일생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는가? a. 많이 안다 -----------------------23.07% b. 안다 -----------------------44.78% c. 일반적인 정도 -------------------32.17% d. 별로 모른다 ------------------- 0.00%
2. 무엇을 통해 등소평의 일생을 아는가? a. 전기물 ------------------------------------- 31.4% b. 그에 관한 전기를 다룬 TV, 영화 혹은 드라마 ----43.60% c. 신문보도 ----------------------------------22.89% d. 다른 사람을 통해 -----------------------------2.10%
3. 그가 했던 말 중, 가장 깊게 다가오는 것은? a. 중국인민의 아들로써, 나의 조국과 인민들을 깊이 사랑한다 - 34.04% b. 개혁과 개방을 위해서는, 여자들 같이 조심조심 해서는 안되고, 좀 더 과감하게 시험하면서 나아가야 한다 ----------------------2.73% c. 직업에는 '벼슬'과 '일'이 있다. 누가 널 공산당이 되게 했는가? 이왕 공산당이 되었으면 벼슬로 여겨서는 안되는 것이다 -----------3.17% d. 만약 자본주의로 간다면, 백분의 몇의 인민들이 부유해 질 수 있겠지만, 백분의 구십의 인민들 생활은 부유해지지 못할 것이다 ---- 2.55% e. 만약, 4개 사항의 기본 원칙를 고수하지 않고, 극단적인 좌익파들을 바로 잡지 않으면, '교정'레닌주의 , '교정'사회주의가 될 것이다 1.09% f. 흰 고양이든, 검은 고양이든 쥐를 잡는 고양이가 제일이다 --24.42% g. 발전만이 변하지 않는 진리다 ------------------------- 32.00%
4. 등소평 일생 중, 어느 시기을 가장 많이 알고 있는가? a. 프랑스 유학 시기와 혁명 조기단계의 이야기 --------------1.69% b. 광시(广西)의 무장봉기 발생시기의 홍군과 혁명근거지의 일 0.90% c. 국내 전쟁의 시기의 중대 전역을 지휘한 일 --------------- 2.27% d. 건국 초기의 국가 지도자로써의 일 --------------------2.32% e. 3번의 타도를 당하고도 다시 일어난 기적같은 전기 ---------35.03% f. '실사구사'의 정신이 나온 뒷 배경 ------------------------12.40% g. 사회주의를 현대화시키는 과정 중의 일 ----------------- 24.13% f. 남쪽 지방 순례(심천) 강좌 뒷 이야기 ---------------- 21.25%
5. 등소평에 관해 가장 알고 싶은 것은? a. 위대한 마르크스주의자로써, 무산계급 전사로써의 삶 ------ 9.15% b. 위대한 정치가로써의 삶 -----------------------------41.67% c. 탁월한 군사 전문가로써의 삶 --------------------------5.87% d. 탁월한 외교가로써의 삶 ---------------------------8.61% e. 보통사람으써의 그의 가족과 친구지간에 일어난 일 --------34.71%
6. 아래 사항 중, 당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a. 반정을 평정시킨 일 ------------------------------------9.04% b. 대학입시를 회복시킨 일 ---------------------------------16.47 c. 연산(联产)도급 책임제 -------------------------------- 8.50% d. 국가기업의 개혁 ----------------------------------------4.7% e. '과학기술은 제1 생산력', 지식과 과학, 인재를 존중하자 ---31.69% f. 사회주의 시장 경제체제 건설 ---------------------------29.57%
7. 등소평 이론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 정도는? a. 진지하게 익힌 적이 있고, 깊이 이해 --------------------31.00% b. 주요 내용은 알지만, 전면적이지는 못하다 ----------------45.84% c. 몇 가지 안다 -----------------------------------------17.64% d. 별로 잘 알지 못한다 ------------------------------------5.52%
8. 어떤 방식으로 등소평 이론을 공부했는가? a. 원작을 통해서 -----------------------------------------25.31% b. 학습 보충 자료 ---------------------------------------28.71% c. 수업시간 선생님을 통해 ---------------------------------15.73% d. 신문이나 매체를 통해 -----------------------------------24.88% e. 기타 --------------------------------------------------5.37%
9. 현재 매체가 등소평 이론에 대한 선전의 정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a. 충분하다 ----------------------------------------------13.89% b. 비교적 충분하다 ---------------------------------------33.57% c. 일반적이다 -------------------------------------------35.67% d. 비교적 불충분하다 -----------------------------------11.41% e. 불충분하다 --------------------------------------------5.47%
10. 등소평 이론에 관해 가장 알고 싶은 부분은? a. 이론의 형성과정과 발전의 단계 --------------------------4.19% b. 등소평이론 형성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 역사의 조건 -------11.89% c. 등소평이론이 가지고 있는 깊은 내용 --------------------19.75% d. 등소평이론의 발전과 창조 ------------------------------15.89% e. 등소평이론은 어떻게 실천과 결합해야 사회주의 현대화를 할 수 있나 하는 부분 ---------------------------------------------48.28%
11. 등소평 이론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부분은? a. 사회주의 발전의 길에 대한 내용 ------------------------21.04% b. 사회주의 발전 단계에 대한 내용 --------------------------4.39% c. 사회주의 근본 임무에 대한 내용 --------------------------8.83% d. 사회발전 동력에 대한 내용 -------------------------------9.94% e. 사회주의 건설외부 조건의 내용 --------------------------2.80% f. 사회주의 건설정치 보증에 대한 내용 -----------------------6.06% g. 사회주의 건설전략에 대한 내용 -------------------------11.19% h. 사회주의 지도자 역량과 그 역량과의 관계 ----------------11.40% i. 조국 통일에 대한 내용 ----------------------------------24.97%
출처: XINHUANET.com
| | | | |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
rurl = "http:///reload.html";
url = "http://avatarmall.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20,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euserid) {
url = "http://avatarmall.daum.net/avatar/member/popup/i_album_pop.jsp?euserid="+euserid;
window.open(url, 'album_pop', 'toolbar=0,status=0,width=560,height=554,scrollbars=0');
}
//찜목록
function popupZim(euserid) {
url = "http://avatarmall.daum.net/avatar/member/popup/i_album_pop.jsp?euserid="+euserid;
window.open(url, 'album_pop', 'toolbar=0,status=0,width=560,height=554,scrollbars=0');
}
var onImage, offImage;
var imgSrc;
onImage = new Array();
offImage = new Array();
function MouseOver(index,item) {
imgSrc = eval("document.OnOff" + index);
imgSrc.src = onImage[index].src;
item.style.color = "#000000";
}
function MouseOut(index,item) {
imgSrc = eval("document.OnOff" + index);
imgSrc.src = offImage[index].src;
item.style.color = "#797979";
}
onImage[1] = new Image();
onImage[1].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album1.gif";
onImage[2] = new Image();
onImage[2].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buy1.gif";
onImage[3] = new Image();
onImage[3].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love1.gif";
onImage[4] = new Image();
onImage[4].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avatar1.gif";
offImage[1] = new Image();
offImage[1].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album.gif";
offImage[2] = new Image();
offImage[2].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buy.gif";
offImage[3] = new Image();
offImage[3].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love.gif";
offImage[4] = new Image();
offImage[4].src="http://image.hanmail.net/hanmail/cf_img/bbs_avatar.gif";
//추천 팝업창
function popupRecom(euserid) {
url = "http://avatarmall.daum.net/avatar/member/event/escaperecom_popup.jsp?euserid="+euserid;
window.open(url, 'recom_pop','');
}
//신청팝업창
function popupapply(euserid) {
url = "http://avatarmall.daum.net/avatar/member/event/escapeapply_popup.jsp?euserid="+euserid;
window.open(url, 'apply_pop', '');
}
아바타 꾸미기
도전! 카페 출석왕
| |
첫댓글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마 흑묘백묘론을 제일 많이 알고있을겁니다.작은키에 못생겼지만,중국을 지금과 같은 경제강국으로 만들어낸 실용주의자이자 시대의 영웅이지요.
만약,중국이 문화혁명이후 모택동의 추종자(강청을 포함한)들이 사회주의 체제를 더 강화 하고 개방을 늦추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런점에서 등소평은 인민에 영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