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웰빙 꿈꾸는 美 누들시장 | ||||||||||||||||||||||||||||||||||||||||||||||||||||||||||||||||||||||||||||||||||||||||||||||||||||||||||||||||||
---|---|---|---|---|---|---|---|---|---|---|---|---|---|---|---|---|---|---|---|---|---|---|---|---|---|---|---|---|---|---|---|---|---|---|---|---|---|---|---|---|---|---|---|---|---|---|---|---|---|---|---|---|---|---|---|---|---|---|---|---|---|---|---|---|---|---|---|---|---|---|---|---|---|---|---|---|---|---|---|---|---|---|---|---|---|---|---|---|---|---|---|---|---|---|---|---|---|---|---|---|---|---|---|---|---|---|---|---|---|---|---|---|---|---|---|
게시일 | 2016-04-07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정재민(시카고무역관) | ||||||||||||||||||||||||||||||||||||||||||||||||||||||||||||||||||||||||||||||||||||||||||||||||||||||||||||||
웰빙 꿈꾸는 美 누들시장 - 건강에 초점 맞춘 채면, Gluten-Free 제품 인기 - - 라면도 프리미엄, 프리미엄 라면 수출 전년대비 29.4% 증가 -
□ 미국 누들시장 동향
○ 곡물 수확 풍작으로 단가 하락, 면 시장에 긍정적 영향 - 2015년 미국 누들시장 전년대비 1%, 73억 달러 규모로 성장. 작년 파스타 원료 듀럼 밀(durum wheat) 생산 난항으로 가격이 12.5달러까지 급등했지만 2015년 밀 수확 풍작으로 단가 하락 - 시카고 상품거래소(Chicago Merchantile Exchange)에 따르면, 면의 주재료인 밀의 선물시세는 3% 이상 하락
○ 누들시장에도 NON GMO가 대세 - 소비자들의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로 유기농 파스타 시장은 전년대비 9%, 154억 달러로 가파른 성장세 보임. - 생산성, 상품의 품질 향상 등 GMO 사용 증가 추세였지만, 소비자들의 건강인식 증대로 유기농 및 NON GMO 제품에 대한 신뢰 및 수요가 증가함. - NON GMO 제품 판매는 2010년에서 2014년 기간 동안 426%라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임. 향후 유기농, NON GMO 제품 인증마크 획득 여부가 제품 판매에 영향을 줄 것임.
자료원: NON GMO Project, Whole Foods Market.
○ 파스타 대신 채소 누들 사용 소비자 증가 - 다양한 요리책, 블로그를 통해 기존 파스타 면 대신 채소 누들로 요리 가능한 음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 - 쌀, 밀, 설탕 등 탄수화물 대신 채소, 야채, 해산물 등 단백질 위주의 음식을 섭취하는 팔레오 다이어트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로 채소 누들 사용 소비자 증가 - 간편한 조리방법으로 다양한 채소를 면으로 만들어주는 Spiralizer, Vegetti 등 채소 누들 관련 제품 증가 전망 - 향후 Gluten-Free 제품 시장은 2020년까지 79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향후에도 기존 밀가루 사용 제품 대신 채소 및 친환경 재료 사용한 제품의 수요 증가 전망.
파스타 대용 채면 조리 Spiralizer, Vegetti 제품 자료원: Spiralizer, Vegetti
□ 미국 누들시장 경쟁동향
○ 최근 웰빙, 다이어트 대한 관심 증가로 Gluten-Free 제품 수요 증가 - 조사기관 민텔에 의하면, Gluten-Free 제품을 선택한 소비자 중 90%가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35%는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또한 가격이 비싸더라도 값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26%로 밝혀짐. - 2013년에서 2015년 기간 동안 판매 성장률 136%, 11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함. 소비자 수요 증가와 함께 전체 식품 매출의 6.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파스타 시장 또한 Gluten- Free 제품이 강세를 보임. Gluten Free pasta 대표업체인 Bionaturae, Deboles, Ancient Harvest는 5~8%의 높은 성장률 기록 - Gluten Free 파스타는 기존 파스타와 같은 맛을 내기 위해 맛, 품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2011~2015년 세계 Gluten-Free 제품 출시 추이 자료원: Mintel
○ 염분 함유율 높은 통조림 파스타 소비자들 외면 -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통조림 파스타는 기존 어린이들 위주의 마케팅으로 소비자 공략. 하지만 학부모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 증가로 판매 감소 이어짐. - 2014년부터 2년 연속 7% 이상의 마이너스 성장 기록으로 시장 위기. SpaghettiOs는 2012년까지 파스타 시장 1% 점유율을 보이며 꾸준한 판매를 기록했지만, 이후 0.83%까지 하락 - 2020년까지 연평균 -4.96%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에도 소비자들의 수요 감소로 시장 존폐 위기 직면 전망
2015~2020년 통조림 파스타 연평균 성장률 전망 (단위: %)
자료원: 유로모니터
○ 해외업체 독주 중인 美 라면시장 - 아시아 음식에 관한 현지인들의 관심 증가로 아시아 음식점 및 관련 제품 수요 증가. 특히 조리과정이 간편하고 식사대용이 가능한 라면이 인기리에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음. - 미국 라면시장의 대표업체로는 Toyo Suisan Kaisha’s Maruchan, Nissin Foods, 농심이 있음. 전년대비 1%, 1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함. - Toyo Suisan Kaisah는 라면 시장점유율 26%로 작년 매출 470만 달러를 기록함. 2011년 24.4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한 후 대표 제품 Maruchan의 수요 증가와 함께 꾸준한 성장 기록 - 농심은 일본 라면업체가 독점 중인 라면시장에서 한국 업체로 유일하게 3위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선전 중. 한국 특유의 매콤한 맛과 싸이 등 유명 연예인을 통한 마케팅 효과로 꾸준한 성장세. 짜왕, 짬뽕 등 다양한 라면 제품 출시와 함께 시장 선두 목표
자료원: Toyo Suisan Kaisha’s Maruchan, Nissin Foods, 농심
미국 라면시장 점유율 추이 (단위: %)
자료원: 유로모니터
□ 시사점
○ 온라인 유통업체 통한 소비자 구매 증가 전망 - 옷, 전자기기 등 오프라인 마켓에 비해 저렴한 가격, 빠른 배송 강점인 온라인 시장 통한 구매 증가로 2015년 3000억 달러 이상의 연매출을 기록함. - 파스타, 라면은 44%, 32% 판매가 슈퍼마켓, Hypermarket 등 대형 유통업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AmazonFresh, Peapod 등 온라인 식료품 유통업체 안정화에 따라 식료품 또한 온라인 통해 구매가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됨.
2014~2020년 온라인 소매유통산업 제품별 판매 추이 자료원: Statista
○ 현지인의 생활, 문화 반영한 마케팅 필요. - 웰빙, 자연친화적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기농, NON GMO, Gluten-Free 제품의 인기가 상승 중임. - 비싸더라고 건강한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제품의 가격보다는 품질과 건강에 중점을 두는 마케팅 필요 - 미국 면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유기농, NON GMO 등 친환경 인증마크 획득이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온라인 유통시장이 시장진출에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임.
○ 품질 업그레이드 통한 미국 라면시장 공략 - 저렴한 가격, 간편한 조리방법으로 인기인 라면은 현지에서 음식보다는 간식으로 생각하는 소비자가 많음. 이런 이유로 미국인들은 라면 구매 시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원함. - 브랜드는 일본 기업, 가격은 동남아 기업에 밀려 고전하던 한국 라면은 프리미엄 라면이라는 새로운 고급 먹거리 통해 새로운 시장 개척 가능 - 온오프라인 통한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라면에 대한 인식을 한 끼 식사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 Gluten-Free 라면, 현지인 입맛에 맞는 다양한 라면 출시와 함께 시장 진출이 필요함.
자료원: Euromonitor, Statista, Mintel, Whole Foods Market, NON GMO Project 및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