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31218(월) 마감 시황
대머티리얼즈 시대
1. 윤석열 대통령 귀국 후 주식 양도세 완화 기대감 재강화. 구체적으로 20일 국회 본회의 예산안 논의 후 상향된 대주주 기준 발표 전망.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 사전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플랫폼 경쟁촉진법 추진 공식화. 이에 NAVER(-1.3%), 카카오(-1.8%)가 속한 KOSPI(+0.1%) 대비 KOSDAQ(+1.5%) 지수 급등, 850.96pt로 200일 이평선(852.3pt) 근접
2. 오늘의 주인공은 LS머트리얼즈.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 전환(+2,889억원)에 상한가, 계열사(LS전선아시아 +13%)뿐 아니라 2023년 하반기 신규 IPO 테마 재차 상승하는 계기. 에코프로머티 +26%(외국인 +2,307억원, 연기금 +2,532억원 순매수)는 투자경고종목 재지정 수준을 넘어 상승해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버림(에코프로 +8.2%)
3. 이외 신규 상장주 급등 + 주식 양도세 완화 기대는 개별 테마 강세로 이어짐. 반도체/퀄리타스반도체 +17%(오픈엣지테크놀로지 +9.5%, 코리아써키트 +8.2%, 하나마이크론 +7.8%, 코미코 +8.5%, 티에프이 +12%), 2차전지/케이엔에스 +15%(포스코인터내셔널 +4.6%, 동화기업 +7.1%, 엔켐 +6.3%, 성일하이텍 +6.1%, 금양 +2.4%). 로봇/두산로보틱스 +14%(LIG넥스원 +6.2%(루마니아, 1,180억원 규모 '신궁 54기' 도입), 알에스오토메이션 +25%, 큐렉소 +5.7%)
3. 어보브반도체는 내년부터 삼성전자에 MCU(Micro Controller Unit) 3,000만개를 추가 납품할 예정이며, 삼성전자가 어보브반도체 지분 추가 투자를 검토 중이라는 기사에 상한가. 삼성전자(594억원)와 삼성벤처투자(6억원)가 출연해 만들어진 'SVIC 56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에서 작년 8월 어보브반도체 제3자 배정 유상증자(35억원, 1.8%)에 참여한 바 있음. 어보브반도체는 2014년부터 삼성전자 냉장고를 비롯한 사물인터넷(IoT)에 MCU를 납품하고 있음. 이번 계약 역시 가전제품에 필요한 고장 예측, 디바이스간 연결, AI 기능 목적의 MCU 수요. On-Device 관련 반도체 or 신규주 동반 상승(고영 +7.5%, 퀄리타스반도체 +9.2%). 에이팩트는NAVER-삼성전자 공동 개발 AI 반도체가 HBM이 아닌 LPDDR을 채택한 것이 부각되며 상한가. 반도체용 특수가스 전문기업 티이엠씨(+6.0%)는 주당 1.0주 무상증자 결정에 강세
4. 국내 연구팀이 액체와 고체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 '네마틱'을 세계 최초로 관측, 학술지 《Nature》에 공개. 반세기 전부터 양자역학적인 스핀계에서 존재할 것이라고 이론적으로 예측돼 왔지만 실제 물질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 초전도체 등 신소재 관련주 급등(서남 상한가, 켐트로스 +22%, 엘엠에스+16%, 큐로셀 +16%, 신성델타테크 +5.0%, 텔레필드 +10%/최대주주 변경)
5. 위믹스 AMA(Ask Me Anything) 행사에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위메이드플레이 +9.1%, 위메이드맥스 +5.1%, 위메이드+2.9%). 월요일 BlackRock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원하는 상환 방식(현물 상환 x 현금 상환 ㅇ)으로 제안서를 수정하며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가능성 증대. 코인, STO 관련주와 게임주 전반 상승(우리기술투자 +5.5% / 아이티센 +9.4%, 갤럭시아에스엠+4.9% / 컴투스홀딩스 +6.2%, 액토즈소프트 +4.5%, 데브시스터즈 +4.1%, 네오위즈홀딩스 +3.5%, 엔씨소프트 +3.2%)
6. HLB(+12%)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간암뿐만 아니라 폐암에서도 유효성이 입증(임상2상)됐다며 급등. 함께 KOSDAQ에서 KOSPI로 이전 상장이 기대되는 엘앤에프(+4.6%) 상승. 헬스케어 전반 상대적 강세, 특히 세포치료제 부각(지씨셀 +15%, 차바이오텍 +7.5%). JYP Ent.(+7.9%) 신규 보이그룹 '넥스지(NEXZ)' 기대감에 엔터 전반 상승(에스엠 +3.6%, 알비더블유 +6.5%). 영화 '서울의 봄' 흥행에 제작사도 강세(위지윅스튜디오 +5.4%/와이더플래닛 거래정지, NEW +4.4%, 미래에셋벤처투자 +8.2%/영화 '노량' 투자)
7. 에코프로머티(-3.5%)는 투자경고종목 재지정에 하락. 앞으로 2일 동안 40% 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 전일(12/18) 종가인 213,000원 보다 높게 마감할 경우 1회에 한해 매매거래 정지. 내년 1/4부터 투자경고종목 해제여부 판단 시작. 즉 연말까지는 투자경고종목으로서 지지부진한 흐름 예상. 풍선효과로 에코프로(+5.2%)가 반등. 같은 2023년 하반기 신규주인 LS머트리얼즈(+14%)는 상승(큐로셀 +16%, 그린리소스 +15%, 코어라인소프트 +14%, 제이엔비 +12% 등)
8. 조현범 회장의 잇따른 우호지분 신고로 한국앤컴퍼니(-1.5%)는 하락,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3.0%)는 상승. LG디스플레이(-3.9%)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LG전자(+2.3%)가 4,940억원 투입 계획 공시. LG전자가 LG디스플레이에 빌려준 1조원을 출자 전환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우려되었으나 LG전자의 '검토하지 않고 있다' 발언에 주가 상승. NAVER '치지직(CHZZK)' 오늘 오후 12시부터 베타 테스트 오픈. 침착맨, 릴카 등 대형 인플루언서들이 치지직을 통해 방송 진행. Twitch의 대안으로 경쟁 구도인 아프리카TV(+2.3%)는 한 때 -3.3%까지 밀렸으나 회복
9. 증시 환경은 나쁘지 않으나 양도세 부과 기준일까지 4거래일 남은 상황에서 변동성 확대 유의. 내년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양도세 완화 불발에 따른 매물이 쏟아질 경우 받아내는 것도 방법임
(자료) https://tinyurl.com/mww79ten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