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 황기黃芪.黃耆☆

황기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약명 : 황기(黃芪/黃耆)-황기(단너삼)의 뿌리
효능
- 면역증강 작용이 있어 병후회복, 피로회복, 감기예방 등에 씀
- 몸이 허약하여 식은땀을 많이 흘릴 때 씀
- 소염작용이 있어 피부질환 치료에 씀
분류 : 콩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서식장소 : 산지의 바위틈
크기 : 높이 40∼70cm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바소꼴로써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으로 대가 긴 꽃이삭이 나오며 5∼10개의 꽃이 달린다. 7∼8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길이 약 2cm이고 작은 꽃자루는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은 길이 약 5mm이고 흑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이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
황기 재배 기술
황기는 재배면적이 '87년 이후 꾸준히 1,000㏊를 넘는 약초로 당귀, 길경, 두충작약과 함께 비교적 대량 재배되는 작물이다. 주요재배 지역은 강원, 충북, 경기, 경북순으로 전체재배면적 1,746㏊ 중 %를 점유하고 있다. 생산량은 3,115 M/T으로 다년근 위주의 생산이 많은 강원도가 50%이상 점유 한다. 강원, 충북 등 석회암 지대에서는 다년근(3∼5년근) 위주로 재배하고, 경기도 등 신 재배지에서는 당년근을 주로 생산하는 경향이다.
가격 면에서도 600g당 평균 12,000원을 상회하는 비교적 소득이 안정된 생약재이다. 당년근 생산량이 증가 되면서 강원, 충북 등 석회암 지대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다년근 (3∼5년근)의 우수상품을 생산 하는 경향이 많으며 재배년수에 따른 가격 등급제가 정착되고 있다.
세계 최대 생약재 시장인 일본에서도 우리 황기가 품질 면에서 우수하게 평가되고 있고, 가격면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이며, 토질만 맞으면 재배기술도 어렵지 않아 1,746㏊ 이상 재배면적이 상회할 것으로 생각된다.
황기의 약리적 특성과 재배동향
기원 및 형태
황기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콩과 Leruminosae)의 주피를 벗긴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이다. 외부형태는 초장이 70∼120㎝되는 다년생 숙근성 초본으로 꽃은 7∼8월에 엽액에서 꽃대가 나와 총상화 서로 나비 모양의 담황색 꽃이 핀다. 꼬뚜리에는 황갈색의 종자를 1열로 결실하며, 8∼10개의 편장구형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의 색은 흑갈색으로 1,000립 중은 3.5g 정도이다. 생약 재인 뿌리의 특성은 가늘고 긴 원주형∼원추형으로서 근두부 가까이는 꼬여지고 길이가 30∼100㎝, 지름이 0.7∼2㎝ 이다. 바깥 면은 담회황색∼담갈색, 불규칙하고 거친 세로주름과 커다란 피목 같은 가로 모양이 있으며, 섬유성으로 잘 꺽이지 않는다.
성분
flavonoids : astraisoflavan, astraisoflavanglucoside, astrapterocarpen, formononetin, 3-hydroxyformononetin, isoliquiritigenin. triterpene 배당체 :astragalosides, soyasaponins 등. l- canavanine, phenol glycosides, r-aminobutyric acid 등이다. 특히 다년 근의 한국산 황기에는 r-aminobutyr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중초약학에 의하면 당류, 점액질, 콜린, 베타인, 수종 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한의학적 분류 : 인삼,당삼 등과 함께 강장보익약으로 분류
약리작용
수침액 및 70% 의 ethanol Ext. 에서 혈압강하 작용, 이뇨 작용이 인정되고 있다. 정상적인 심장에는 수축 작용이 강하며, 중독(中毒), 피로로 부전(不全)이 침입한 심장은 강심작용이 현저하다. 황기에는 형관 확장작용이 있어 피부의 혈액순환 및 영양상태를 좋게 하고 혈압을 강하한다. 황기에는 간장을 보호하고 간 글리코겐의 감소를 방지하는 작용도 있다.
임상응용
가. 강장보신 (强壯補身)
① 황기는 강장 보신에 중요한 약물로 용도가 광범위하여 모든 허약병에 적용된다. 황기의 특성은 온화해서 허를 보하면서도 조열(燥熱)을 초래치 않으므로 장기간 복용하여도 유익무해하다.
② 황기는 안색창백, 위황(萎),기단(氣短),설태담백색(舌苔淡白色),맥세연약 (脈細軟弱)등에 사용되며, 황기에 다른 보신약제를 배합 복용하면 체질을 보강하고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정신안정 효과가 있다.
③ 황기에는 승제(昇提)의 작용이 있다. 내장 기능이 쇠퇴하면 위하수(胃下垂), 신하수(腎下垂), 자궁하수, 탈장 등의 내장하수가 있다.
"보중익기탕"은 하수병 치료에 사용되며, 황기에 승마(升馬)를 가미하면 근육장력을 강화하고, 근육을 수축시켜 위(胃)를 위로 당겨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④ 장기간 설사(泄瀉)가 치료되지 않으면 황기에 백출, 산약, 복령을 배합해 사용한다.
⑤ 월경과다, 자궁출혈에는 보신지혈약을 급히 복용할 필요가 있는데 황기에 당귀,아교(阿膠), 당삼, 천속단을 배합한다. 출혈증에는 지혈이 중요한데 황기를 가미하면 지혈효과가 보다 빨리 일어난다.
⑥ 황기는 마비나, 만성류마치스관절통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척추손상에 의한 마비가 초기이면 황기를 사용 할 수 있다.
⑦ 황기는 혈당저하작용이 있으므로 당뇨병 치료에도 효력이 있다.
나. 고표지한 (固表止汗)
황기에는 지한 작용이 있다. 허약한데서 오는 다한(多汗), 도한(盜汗)에는 황기와 백출, 방풍을 배합 사용한다.
다. 이뇨소종(利尿消腫)
황기에는 현저한 요량증가 및 나트륨 배출작용이 있으므로 이뇨·소종의 효과가 생긴다. 또한 신장기능을 강화시키고 뇨단백소실을 가속화시킨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어디 황기 없나? ㅋㅋㅋ
야생황기한병담았습니다 ㅎㅎㅎ
정보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