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계최초의 금속활자 직지(直指)
경한선사(景閑, 1299~1374)는 전라도 고부에서 출생하여, 여주 천녕현(川寧縣) 취암사(鷲巖寺)에서 입적하신 고려 말의 선승으로 호는 백운(白雲)이다.
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와 나옹 혜근(懶翁慧懃, 1320~1376)과 함께 고려 말을 대표하는 삼화상(三和尙)으로 불린다.
당시 고려에서는 참선수행 후 깨달음을 얻은 뒤 고승에게 인가를 받는 ‘오후인가(悟後印可)’를 수용하여, 국내에서 깨달음을 얻은 뒤 원나라의 고승에게 찾아가 인가받는 것이 유행하였다.
이런 연유로 1351년에 중국에 들어가 강남의 호주(湖州) 하무산(霞霧山) 천호암(天湖庵)을 찾아가 석옥 청공(石屋淸珙, 1272~1352) 선사에게 법을 묻고, 다시 인도 승려인 지공(指空, ?~1363) 화상을 방문하여, 가르침을 받은 후 1352년에 귀국한다. 이 때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석옥청공 화상으로부터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1권을 받아왔다.
여기서 직지심체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에서 나온 말로 ‘참선을 통하여, 사람의 마음을 바르게 보면,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라는 뜻이다.
2년 후 1354년 6월에 중국으로부터 석옥선사의 제자 법안(法眼)이 찾아와 스승의 열반사세송(涅槃辭世頌)을 전해준다. 이로써 석옥선사의 가사와 주장자를 받았던, 태고보우선사에 이어 석옥선사의 의발이 경한선사에게도 전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경한선사는 1372년에는 성불산(成佛山)에 머물며,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常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편찬했다. 줄여서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심체(直指心體)』, 『직지(直指)』등으로 부른다.
선사가 입적한 3년 후 그 문도인 석찬(釋璨)을 비롯한 달담(逹湛)의 주도와 비구니 묘덕(妙德)의 시주로 청주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로 스승이 남긴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하였는데, 이것이 세계최초의 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直指)』이다.
이 금속활자는 독일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의 활판인쇄보다 약 78년 앞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상하권 중 그 유일본인 하권(下卷)이 프랑스 국립도서관 동양문헌실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1972년 세상에 공개되면서, 경한선사의 무심무념(無心無念) 선(無心禪)사상에 대한 관심이 일어 관련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