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키 측정법
키는 발뒤꿈치에서 머리끝 두정점까지의 높이를 측정한 것인데 키를 잴 때는 자세를 바르게 하고 재는 것이 중요합니다. 키를 잴 때의 바른자세는 똑바로 서서 가슴을 펴고, 턱은 약간 당겨서 머리 뒤, 등, 엉덩이, 발뒤꿈치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시선은 정면 혹은 15도 위를 보고 선다. 키는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줄어들어서 저녁에 재는 키는 아침에 재는 키에 비해서 1cm 정도 키 차이가 나게 됩니다. 키를 재는 시간에 따른 이러한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각에 키를 재어야 하는데 키는 대략 오전 10시 전후에 측정하는 것이 좋으며 잠자리에서 일어나 2시간 정도 지난 오전 10시를 전 후하여서 측정하는 것이 자신의 실제 키가 됩니다.
그러므로 가정에서도 키를 측정할 때는 키 재는 시각을 정해놓고 그 시각에 재어야 키 변화를 정확하게 알 수가 있다. 키 재는 신장계가 없을 때는 벽면을 이용하여 측정하면 비교적 정확하게 키를 잴 수가 있다. 지금 자녀의 키가 계속 자라고 있다고 하여도 표준 신장보다 작거나 정상적인 성장속도에 미치지를 못하는 경우에는 커네스성장법을 하여 성장속도를 정상으로 회복하고 이것을 계속유지 할수있도록 맞춤운동을 해야합니다.
다음은 나이별 표준신장과 저신장에 대한 기준표입니다. 현재 저신장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표준신장보다 키가 작은 경우는 커네스성장법을 실시하여 성장환경조건을 정상으로 만들어주도록 해야합니다.
표준신장 저신장 기준표
|
나 이 |
남 자 |
여 자 |
표준신장 |
저신장 |
표준신장 |
저신장 |
6세(유치원) |
120.0 |
110.7 |
117.9 |
110.6 |
7세(초등 1) |
125.4 |
115.6 |
123.5 |
114.2 |
8세(초등 2) |
130.3 |
120.8 |
129.0 |
119.2 |
9세(초등 3) |
135.3 |
125.6 |
134.6 |
124.9 |
10세(초등 4) |
140.6 |
130.6 |
140.6 |
129.8 |
11세(초등 5) |
146.3 |
135.4 |
148.0 |
136.9 |
12세(초등 6) |
152.5 |
140.4 |
153.0 |
141.4 |
13세(중 1) |
160.0 |
145.0 |
156.8 |
147.3 |
14세(중 2) |
165.7 |
152.8 |
158.3 |
148.8 |
15세(중 3) |
169.4 |
157.9 |
159.4 |
150.6 |
16세(고 1) |
171.5 |
161.3 |
160.4 |
151.6 |
17세(고 2) |
172.3 |
161.8 |
160.6 |
151.7 |
18세(고 3) |
173.2 |
161.9 |
160.8 |
151.8 |
19세 이상 |
173.1 |
162.0 |
160.9 |
151.9 |
|
|
첫댓글 자료 감사합니다 ㅠ
저가 엄청 작았으면 버스 아저씨들이 유치원 취급을 하겟어요?? 전 지금 5학년인데 키가 133cm밖에 안되여..ㅠ.ㅜ
그러구 몸무게는 26kg이에요...ㅠ.ㅜ
근뎁 중1이면 14살아닌가요?-_-13살이 아니라-_-;
나이 만으로 해서 그런것 아닌가요?
전. 중2 여자인데 키가 146이구 몸무게는 40입니당... ...-_-...........전 키가 클수있을까요
표신장은 모구 저신장은 모예여 ? ^ㅡ^
그러게요 ㅠㅠ 저는 저신장인가바요 ㅠㅠ ㅋ
표준신장보다 5cm 나 차이난당 .....ㅜ_ㅜ 우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