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웨’(Yahweh/הוהי) 이름의 기원과 의미
오늘날 구약학자들에 의하여 그 발음이 ‘여호와’(Jehovah)가 아니라 ‘야웨’ 또는 ‘야훼’라고 규명된,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Tetragrammaton, הוהי)으로 구성된, 이스라엘 백성의 하나님의 이름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논쟁은 구약 학자들간에 아직도 결론을 맺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이 역사 깊은 논쟁의 실상을 소개하고, 아울러 이 존귀하신 하나님의 이름의 기원과 의미가 오늘의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주는 신학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려한다.
1. ‘야웨’ 이름의 발음 문제
구약성경에 6000번 이상이나 언급되는 이스라엘 하나님의 이름에 대하여 유대인들이 발음하기를 금지한 것은 아마도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586/7 B. C.)이후 또는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바벨론 포로석방(주전 538년) 이후, 아무리 늦어도 주전 3세기경부터였을 것이다. 그 이유는 단순했다. 즉 거룩하신 하나님의 이름을 인간의 부정한 입술로 발음하면 어떤 의미에서 ‘야웨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출 20:7; 레 24:11)는 계명을 범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때 이후로 이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구성된 하나님의 이름은 ‘아도나이’(י/[문장 끝에서는] י) 또는 ‘하솀’ (ם,‘그 이름’), 또는 아람어로 ‘셰마’(א)라는 발음으로 대치하여 읽게 되었다. 즉 ‘야웨께서 말씀하시기를’이라 기록된 본문을 ‘나의 주님(또는 그 이름)께서 말씀하시기를’이라 고쳐 읽게 되었다. 이렇게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발음을 금지한지 2000 년이라는 세월을 지내는 동안 결국 이 네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발음법을 잊어버리게 되었고, 주후 1518 년에 갈라티누스(Petrus Galatinus)가 처음으로 이 존귀한 이름의 발음을 라틴어식 발음으로 ‘여호와’(YeHoWaH, 후에는 영어로 Jehovah)로 제안할 때까지 그 누구도 이 이름에 대한 발음을 적극적으로 밝히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고보면 갈라티누스의 ‘여호와’라는 발음도 하나의 오해 또는 실수에서 비롯된 것이었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갈라티누스가 이 이름의 발음을 유추한 근거는 곧 맛소라 학파가 히브리 성경의 본문에 편의상으로 부쳐놓은 모음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이다. 주후 6 세기 경에 이르러 소위 맛소라 학파라 불리우는 유대인 학자들이 그때까지 자음으로만 쓰여진 히브리어 성경 본문에 모음을 부치기 시작했는데, 이들 맛소라 학파는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발음법을 기억하여 모음을 부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아도나이’의 모음만을 따서, 즉 ‘(아)-오-아’라는 모음을 따서 네 개의 자음에 부침으로써 הה라고 표기하고, 난외 주에는 이 이름을 ‘아도나이’라고 읽으라고 주의 사항을 달아놓았던 것이다. 결국 맛소라 학파도 하나님의 이름의 본래 발음을 발견하여 부친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 네개의 자음으로 된 이름을 ‘아도나이’라고 발음하도록 표시해 놓은 것에 불과했던 것이다. 갈라티누스는 이들 맛소라 학파가 부쳐놓은 모음을 하나님 이름의 발음법으로 오해(?)하여 결과적으로 ‘예/여호아’(YeHoWaH/Jehovah)라고 음역(transliterate)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면 오늘의 구약 학자들이 존귀한 하나님의 이름의 원래 발음을 ‘야웨’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다행하게도 이에 대한 증거는 많이 발견되었다. 우선, 주석가들은 출애굽기 3 장 14 절에서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처음으로 자신의 이름을 계시하실 때 사용된 단어 ה가 이 이름의 어원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고 이 단어의 모음을 근거로 야웨/ה라는 발음을 유추하였다. 이러한 유추의 정당성은 성서외적인 여러 자료들이 보증해주고 있다. 주후 3세기 초에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ca. 150-215 A.D.)는 이 존귀한 이름을 ‘야웨’(Ιαουε) 또는 ‘야와이/야왜’(Ιαουαι)로 음역하였으며, 오리겐(Origen, ca. 185-254)과 테오도렛(Theodoret of Cyrrhus, ca. 393-458), 그리고 (특히 팔레스타인 태생의) 에피파니우스(Epiphanius, ca. 315-403)도 각각 그들의 성서 주석 자료에서 위의 네 자음을 ‘야베’('Ιαβέ)로 음역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위에 언급한 성서 밖의 증거로서의 고대 교부들의 증언 외에도 우리는 주전 9 세기의 ‘메샤 비석(Mesha/Moabite Stone)’과 주전 7-6 세기의 라기스-아랏(Lachish-Arad) 서신들 그리고 우가릿 문서 기타 여러 고고학적 자료들에서의 야웨 이름의 언급, 그리고 성서 안에서 드러나는 여러 간접적인 증거들을 통하여, 특히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름 가운데 빈번하게 나타나는 바, 야웨의 이름과 결합된 개인의 이름(theophoric names)을 통하여, 이 ‘네 자음/הוהי’에 대한 ‘야웨’라는 음역이 거의 틀림없는 음역임을 확인하게 된다. 하나님의 이름과 결합된 개인의 이름들 가운데 우선 이사야/후(והיעשׁי), 예레미야/후(והימרי), 아하시야/후(והיזחא), 시드기야/후(והיקדצ) 등의 이름에서 볼 수 있는, 이름의 뒷 부분에 첨부된 야웨 이름의 두 가지 축소형 ‘야’(ה 또는 הּ)와 ‘야후’(וּה)에 대하여 살펴보자. 특히 ‘야’(הּ)라는 축소형은 구약성서의 운문 문학(Poetic Literatures)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다(출 15:2; 17:16; 시 68:4,18; 77:11; 89:8; 94:7,12; 102:18; 104:35; 등). 이 두 축소형 중 ‘야후/וּה’가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나 확실히 말 할 수 없고, 분명한 것은 이 두 가지의 축소형이 어느 싯점에서 혼용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사야라는 이름은 이사야후(왕하 19:2,5,6; 사 1:1; 2:1)로, 예레미야는 예레미야후(왕하 23:31; 24:18; 렘 1:1,11)로, 아하시야는 아하시야후(왕상 22:40,49; 왕하 1:18; 8:24; 9:21)로, 시드기야는 시드기야후(왕상 22:24; 왕하 24:17; 대하 18:10; 렘 1:3; 등)로도 불리웠음을 볼 수 있다. 비록 위에서와 같이 개인적 이름에 붙은 접미형과는 다르지만, 시편에서 빈번하게 언급되는 명령형 문장 ‘할렐루야’(הּ־וּל/‘너희는 야[웨]를 찬양하라‘)도 이와같은 야웨 이름의 축소형이 단어의 끝에서 접미형으로 사용된 구체적인 실례 가운데 하나이다.
이와같은 ‘야웨’의 축소형이 개인 이름의 서두에 접두형태로 첨부될 때는 히브리어 발음 법칙상 자연히 ‘여(예)호’(וֹה������) 또는 ‘요’(וֹי)로 발음되는데, 이와같은 예를 여호나단>요나단의 이름에서 분명하게 엿볼 수 있다. 이 이름의 의미에 있어서 요나단(ןוֹי,ןוֹה)이나 느단야(느다냐, ה)는 둘 다 ‘야웨께서 주셨다’(‘나단’/ן은 ‘주다’를 의미함)를 의미하므로 차이가 없으나, 다만 ‘야웨’의 축소형이 이름의 앞 부분 또는 뒷부분에 붙었음에 따라서 그 발음에 약간의 차이(여호, 요, 야)가 발생 한 것 뿐이다. 그러나 이 야웨 이름의 축소형(וּה 또는 ה)이 장모음 ‘우’( /וּ)로 구성된 단어에 접두될 경우엔 그 발음이 ‘예’(jē)로 더욱 축소된다. 예를 들어 ‘예수아’(וּשׁ/야웨가 구원이시다)와 예후(אוּה/야웨가 바로 그분이시다) 가 그 대표적인 실례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모든 실례들은 우리가 수 천년동안 감히 발음할 수 없었던 존귀하신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이름이 ‘야웨’였음을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야웨’ 이름의 기원
하나님께서 언제부터 이스라엘 백성에게 자신의 이름인 ‘야웨’라는 명칭을 알려주셨는지, 그리고 이스라엘이 언제부터 야웨의 이름을 부르며 야웨를 예배하였는지에 대하여는 성경 안에서도 서로 다른 여러가지 전승을 우리에게 제시해 주고있다. 우선 소위 J 전승(또는 ‘야웨 전승’/Jahwistic Tradition)으로 불리우는 전승에 의하면, 아담의 손자인 에노스 때부터 사람들이 ‘야웨’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창 4:26). 그 이후 노아와 아브람과 이삭과 야곱도 야웨의 이름을 알고 있었다고 이 J 전승은 말한다. 그러나 소위 E 전승(또는 엘로힘 전승/Elohistic Tradition)에 의하면, ‘야웨’라는 새로운 하나님의 이름은 최초로 모세에게 소개되었고, 다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처음으로 소개된 것으로 말한다(출 3:1,4,6,9-15). 이와같은 E 전승의 견해는 소위 제사장 전승(Priestly Tradition) 또는 P 전승의 견해에 의해 더욱 지지를 받는다. P 전승에 의하면, ‘야웨’라는 하나님의 이름은, 비록 E 전승에서 말하는 것과는 약간 다르게, 즉 모세의 요청에 의해서 계시되는 이름이 아니라, 야웨 하나님 스스로 자신의 이름을 모세에게 계시함으로써 먼저 인간에게 찾아오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강조하면서, 역시 이 야웨라는 神名이 모세 때에 처음으로 계시된 이름이고 모세 이전에는 ‘엘 샤다이’(전능의 하나님, 샤다이 神)로 소개되었음을 상기시킨다(창 17:1; 28:3; 35:11; 43:14; 48:3; 49:25):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씀하여 가라사대, 나는 여호와라.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전능의 하나님(엘 샤다이/י ל)으로 나타났으나 나의 이름을 여호와(야웨)로는 그들에게 알리지 아니하였고(출 6:3).
이와같은 야웨 이름의 기원에 대한 복잡한 전승들과 함께 모세의 어머니 요게벳(דבכוי)과 여호수아(עושׁוהי)의 이름에 ‘야웨’의 축소형인 ‘요’와 ‘여호’를 내포하고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두 이름은 모세 이전에 사람들이 ‘야’ 즉 야웨의 이름 - 비록 축소형이지만 - 을 알고있었음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웨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세 가지의 대표적 가설들이 학자들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1) 겐/미디안 족속 가설(the Kenite/Midianite Hypothesis)은 야웨는 본래 겐(미디안) 족속의 神의 이름으로서 겐 족(the Kenites)의 성소인 시내산에 거처하던 神이었으며, 모세는 이 성소의 제사장이자 그의 장인이었던 이드로를 통하여 처음으로 야웨를 알게되었고, 모세는 이 야웨하나님의 도움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한 후 야웨의 성소인 이 시내산으로 인도하였다는 것이다. 이 가설의 대표적 지지자는 붇데(K. Budde)와 로울리(H. H. Rowley) 이다. 특히 이 가설의 지지자들은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이 시내산에 이르렀을 때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야웨의 위대하신 행적을 듣고 야웨을 찬양/경배하였다는 사실(출 18:9-11)과 모세/이스라엘에게 최초로 재판/행정제도를 가르친 사람이 이 겐족속 제사장 이드로였다는 사실(18:13-27), 그리고 북이스라엘의 왕 예후 당시 예후의 바알 종교 숙청 작업에 참여했던 (레갑의 아들) 여호나답이 본래 겐 족속 출신이요 이드로의 후손인 점(출 3:1; 4:18; 삿 4:11; 왕하 10:15-29; 대상 2:55; 렘 35:1-11)을 중요시한다.
(2) 아모리/아람어 가설(the Amorite/ Aramaic Hypotheis)은 야웨의 이름이 본래 우르 제 3 왕조 때부터 아모리인들이 섬기던 神이었다고 주장하고 그 뜻도 아모리어에서 찾으려하는 가설이다. 알브라이트(W. F. Albright)와 그의 제자들인 프리드만(D. N. Freedman)과 크로스(F. M. Cross) 등이 이 가설을 지지한다. (3) 아랍어 가설(the Arabic Hypothesis)은 야웨 이름의 기원과 의미를 고대 아랍어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드라이버(G. R. Driver), 모빙켈(S. Mowinckel), 고이틴(S. D. Goitein) 등이 이 가설을 지지한다.
3. ‘야웨’ 이름의 의미
‘야웨’ 이름의 의미에 대한 학자들의 가설은 그 기원에 대한 가설보다 훨씬 다양하게 제시되어왔다. 대체로 이 가설들은, ‘야웨’ 이름의 원형이 하야(היה)동사와 관련이 있느냐 없느냐, 만약 하야(היה) 동사와 관련이 있다면 이 하야(היה) 동사의 칼(Qal) 미완료형이냐 아니면 히필(Hiphil, 사역형) 미완료형이냐, 만약 하야(היה) 동사와 관련이 없다면 그 원형은 명사형이냐 감탄형이냐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특히 야웨 이름의 의미를 하야(היה) 동사와의 관련속에서 규명해보려는 학자들이 집중적으로 다루는 성경구절은 출 3:13-15인데, 이 본문 자체가 대단히 복합적인 구조를 띄고있어 본문에 대한 해석 또한 숱한 가설을 야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출 3:13-15의 복잡한 구조는 이 본문에서 야웨 이름의 소개가 세 번(14절에서 2회; 15절에서 1회)이나 반복하여 언급된다는 데 있다. 본문 13절에서 모세는 만약 애굽의 이스라엘 자손이 자기에게 나타나신 그 하나님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지를 묻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하나님은 (14절에서) 자신의 이름을 (14절에서)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היהא רשׁא היהא)라고 대답한 다음 곧 이어서 다시 (14절에서) ‘에흐예’(היהא)라고 소개하며, 곧 이어서 다시 (15절에서) ‘(너희 조상의 하나님)... 야웨’(הוהי)라고 소개하고 있다. 주석가들의 견해를 따른다면, 결국 이 본문은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사람의 손에 의하여 신학적으로 재해석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이와같은 복잡하고 난해한 본문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뒤에서 밝히는 바와같이 필자는 이와같은 주석가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고, 오히려 이 본문을 ‘야웨’ 이름의 의미를 밝히는 하나의 결정적 단서로 삼는다.)
야웨 이름의 의미에 대한 주석가들의 가설은 대체로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1) 드라이버, 오토, 고이틴 그리고 모빙켈 등이 주장하는 바, 소위 ‘아랍어 가설’로 불리우는 하나의 독특한 가설은, 야웨 이름이 고대 아랍어 감탄사인 ‘야’(Ya/오!)와 3인칭 남성 대명사인 ‘후’(Hu/그분)의 결합형태 “야-후(Ya-hu, 오, 그분! [히브리어로] אוּה־ה, Oh, He!)”에서 기원했으며, 이 감탄사의 고대 형태인 '야-후와'(Yahuwa)가 축소 발음되어 야웨(Yahwae/Yahweh)라는 神名이 생기게 되었으므로, 그런 의미에서 ‘야웨’ 이름은 본래부터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모빙켈에 의하면, 이 감탄사와 결합된 神의 이름은 아랍인들이 예배 중에 일종의 신체험에서 야기되는 제의적 흥분상태에서 기원하였으며, 이와같은 고대 아랍인의 열광적인 제의적 환호(ecstatic cult cry)는 차츰 신의 이름으로 발전하였고, 특히 이 환호의 뒷부분인 ‘후/אוּה’(그분)만으로도 신을 지칭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성서의 히브리어 인명 ‘아비후’(My father is He)와 ‘예후’(Yahweh is He)에서도 발견된다는 것이다.
모빙켈이 주장하는 바, 이와같은 제의 속에서의 열광적 환호에서 유래한 ‘야웨’ 이름의 의미를 신학적 안목에서 구태어 규명해야 한다면, 그것은 “예배와 헌신 가운데서 만나는 그분”(‘He’ with whom we have to do in cult and devotion), “그분의 신비스런 능력을 우리가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그분”(‘He’ whose mystical forces we feel and experience), “우리의 전 존재가 의존되어있는 그분”(‘He’ on whom our whole existence is dependent), 그러나 동시에 “그분의 심오한 본질과 존재에 대하여는 우리가 볼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전적인 他者’로서의 그분”(‘He’ whose inmost essence and being we cannot see and understand, 'das ganz Andere'), “두려움과 놀람이 없이는 만날 수 없는 그분”(‘He’ whom we cannot meet without fear and awe), 신의 이름을 안다는 것과 부르는 것이 그 이름을 소유한 신을 지배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분의 이름을 우리가 발음할 수도 파악할 수도 없는 그분”([He] whose name we are not worthy to pronounce, nay, not even to know), “그분만이 참 하나님이신 그분”(‘He’ who is the only real God) 이라는 것이다. 모빙켈은 야웨 이름의 본래 의미를 ‘그분’으로 규명하는 것은 神像을 금지한 이스라엘의 계명과도 신학적으로 일치한다고 본다. 그래서 야웨는 자신의 이름이 인간 언어의 어떤 형태로도 표현되는 것을 원치 아니 하셨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독특한 가설에 대하여, 어떻게 예배 때에 사용된 신에 대한 감탄사 겸 인칭대명사(אוּה/‘그분’)가 (신의 이름을 부르는 예배자에게 감격과 흥분을 일으키는 주체가 되는) 신의 이름을 대신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질문한 맼카티의 비판적 질문은 타당해 보인다.
(2) ‘야웨’ 이름이 ‘하야’(היה, to become, to be)동사의 히필 미완료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알브라이트(W. F. Albright)를 중심한 여러 학자들은 이 동사의 고대 형태가 본래 고대 아모리/가나안어에서 기원한 ‘하위/하와’(יוה>הוה)였을 것으로 보고, 이 ‘하와’ 동사의 히필 미완료형(והי)에서 ‘야웨’(הוהי)가 유래했으므로 그 뜻은 ‘존재하게 하는 분’(the one who causes to become), 즉 ‘창조자’(creator), ‘성취자’(fulfiller), 또는 ‘그가 XX를 존재하게 한다/창조한다’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만군의 여호와’로 번역된 ‘야웨 체바옽’(תואבצ הוהי)의 뜻은 ‘그가 군대를 창조한다,’ 또는 ‘군대를 창조하는 분’으로, ‘야웨 닛시’(יסּנ הוהי)는 ‘나의 깃발을 창조하는 분’ 또는 ‘그가 나의 깃발을 창조한다’ 등으로 해석한다. 알브라이트 학파는 이러한 관점에서 마소라 본문(출 3:14)의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ה ר ה/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를 ‘아흐예 아셰르 아흐예’(האַ ר האַ)로 수정하여 읽기를 주장하고, 이 구절의 본래 (고대) 형태는 동사가 3인칭 남성 단수로 되어있는 ‘야흐베 아셰르 이흐베’(ה ר ה)(He causes to be what comes into existence)였을 것이므로, 이 고대 형태에서 ‘야웨’ 라는 신명이 기원하였다고 생각한다.
이와같이 마소라 본문의 모음을 수정하여 읽어야하는 이유는, 히브리어 자음에 모음을 부친 맛소라 학파가 당시의 헬라주의적 유대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맛소라 학파가 히브리어 본문에 모음을 부치기 이전의 출 3 장 14절은 헬라주의적인 존재론적 신 개념이 배어있지 않았던 본문이었으므로 그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본문의 모음을 본래의 히브리적인 역동적 신 이해를 표현하는 본문으로 복원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동조하여 브라운리(W. H. Brownlee)는 창세기 1 장의 창조 기사를 출 3:14의 예고로 간주한다. 즉 오경의 편집자인 제사장적 전승(P)의 소지자는 ‘창조자’로서의 야웨의 존재가 모세 때에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이라는 창조 행위를 통해 궁극적으로 계시될 것을 예고하면서 창 1 장을 삽입하였다는 것이다. 브라운리는 이런 의미에서 출 3:14의 어구(에흐예 아셰르 에흐예)를 ‘야웨 아셰르 야웨’(הוהי רשׁא הוהי, 그는 그가 존재하게하는 것을 존재하게 하신다; He brings to pass what he brings to pass)로 수정하여 읽기를 제안한다. 즉 오랜 기간 동안의 노예 생활로 인하여 삶의 의욕이나 반항할 기력조차 상실한 이스라엘 백성에게 일을 발생시키고 창조하시는 야웨의 이름의 소개야말로 가장 절실하고 반가운 소식이었다는 것이다.
폰 라트는 알브라이트 학파의 가설에 전적으로 동조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그들의 연구 결과를 수용하는 것 같다. 폰 라트는 우선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출 3:14)라는 문장을 야웨 이름에 대한 민담적 기원론(folk etymology) 또는 어원적 언어유희(etymological puns)로 간주하고, 이 구절에서 암시하는 야웨 이름의 의미는 칠십인역에서 시도한 바 ‘절대적 존재’(absolute being)의 개념이 아닌, 상대적이고 ‘효능적인’ 현존(efficacious presence)의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알브라이트계 학자들의 주장의 최대 약점은 히브리어 성경의 본래적 본문을 수정해야 한다는 점에 있으며, 특히 제임스 바(James Barr)의 비판은 이 가설의 결정적 약점을 지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임스 바는, 알브라이트가 주장하는 것처럼, 출 3:14의 하야/היה 동사가 사역형(히필)이라고 가정할 경우, 이 사역형은 구약성경 가운데 이 구절에서만 유일하게 나타난다는 주장이 되므로 결국 알브라이트의 가설은 설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출 3:14의 하야/היה 동사는 칼(Kal)형으로 간주되며, 결과적으로 이 동사의 사역형은 구약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구태어 성서저자가 출 3:14에서만 의도적으로 사역형을 사용했다고 보는 것은 억지라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도, 바(Barr)의 지적은 알브라이트 가설에 치명적인 것이다.
(3) ‘야웨’라는 칭호가 고대 아랍어 하와(הוה, 떨어지다, to fall)의 히필(사역)형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J. Wellhausen, B Stade, E. A. Knauf, 등)에 의하면, ‘야웨’의 본래 의미는 ‘(비/번개를) 떨어지게 하는 분’(the one hurling lightenings; he who causes to fall) 또는 ‘파괴하는 분’(destroyer)이었다고 생각하며, 그런 의미에서 대부분의 고대 중동의 풍요종교에서 숭배되던 신들과 같이 야웨도 본래는 폭풍의 신 또는 번개와 우박의 신이었다고 주장한다. 이 가설의 약점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는 점이다. 즉 성경의 증언에 의하면, 야웨 이름은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진입한 뒤가 아니라 출애굽 사건을 전후하여 이스라엘에게 소개되었다고 말한다는 점이다. 또한 풍요종교 특히 바알종교를 야웨 종교의 최대의 위협으로 간주하는 성경 전체의 분위기를 고려할 때 가나안의 풍요의 신과 동일시 된 야웨의 이메지는 상상하기 힘들다.
(4) 출 3:14에 나타난 야웨 이름의 의미에 대한 또 다른 견해가 부버(M. Buber)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그는 본문의 핵심 단어인 ‘에흐예’(ה)를 (기존의 주석가들이 현제 시제로 간주한 것과는 달리) 미래 시제로 해석하여 ‘내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I will be (with you)’로 번역하고, 이에 근거하여 야웨 이름은 다가오는 미래에 (특히 출애굽 사건을 통하여) 이스라엘과 함께 동행하시겠다는 야웨의 약속(출 3:12; 4:12,15; 6:7; 33:19)을 함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한편으로, 이 야웨(הוהי)(‘그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는 이름을 통하여 야웨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구원자와 동행자로서의 당신(야웨)의 정체를 알리시기를 원하셨고, 또 한편으로는 고대 중동의 종교적 관념에 따라 자신의 정체가 파악되지 않도록 자신의 이름을 숨기려 시도하셨다는 것이다. 고대 중동의 종교에서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도 神은 인간에 의하여 자신의 정체가 파악되고 자신의 이름이 주술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자신의 이름을 인간들에게 숨기려는 의도를 갖고있다고 생각하였다(창 32:24-29; 삿 13;17-18). 결국 출 3:14에서 제시하는 야웨 이름의 의미는, 야웨의 정체는 후에 일어날 큰 일, 즉 출애굽 사건을 통해 알게 된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야웨의 정체를 완전히 파악할 수 없게 될 것을 예고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웨는 역사의 주님(Lord)이시지 결코 이스라엘 백성의 하인(Servant)은 될 수 없음을 이 야웨 이름이 암시한다고 본 것이다.
(5) 마지막으로, 야웨 이름의 기원에 대한 많은 연구들 가운데 필자에게 가장 설득력있게 보이는 주장으로서 롤랑 드보의 연구를 소개해 본다. 드보(de Vaux)는 ‘야웨’ 이름의 의미를 칠십인역에서 밝힌 바와 같이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이다’(ἐγώ εἰμί ὁ ὤν; I am the Self-existent One 또는 I am the One who is)로 번역할 것을 주장하면서, 아이스펠트(O. Eissfeldt)와 그에게 동조하는 여러 학자들의 주장, 즉 출 3:14에 나타난 야웨의 답변의 의도는 모세 또는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야웨의 정체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데 있었다는 주장에 반대한다. 아이스펠트는, 창 32:29와 삿 14:17-20에서도 암시된 바와 같이, 고대인들의 사고방식 가운데 상대편에게 자기 이름이 알려지면 그 사람에게 자기의 정체가 파악/정복당한 것으로 간주한 경향이 있었으므로, 야웨께서도 자기가 인간에게 파악될 수 없는 신비한(mysterious) 존재(deus absconditus)임을 여기에서 밝히기 위해, 동의어 중복(tautology)을 통해, 그 의미를 그 누구도 자신있게 해석할 수 없는, 실로 알쏭달쏭한 의미의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라고 답변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과 정반대로 드보(de Vaux)는 출 3:14에서 야웨께서는 자신을 은폐하기보다 자신의 정체를 적극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알리려하셨다고 주장한다. 즉 히브리어 문구인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는 출 33:19(“나는 은혜 줄 자에게 은혜를 주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의 빛에서 ‘나는 참으로/유일하게 존재하는 자’(I am the truly/only Existing One)로 번역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 3장의 분위기는 야웨께서 자신을 은폐하시려는 의도보다는 야웨께서 자기의 이름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계시하려는 의도가 더 지배적이며, 야웨의 자기 이름 계시는 곧 자기가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에게만 베풀어주시는, 자기 백성만이 누리는 특권이며, 여기에서 표출되는 야웨주의는 추상적 유일신관(abstract monotheism)이 아니라 실천적 유일신관 (practical monotheism)으로서, 이스라엘은 이러한 야웨의 이름의 계시를 통하여 역사 속에서 구체적으로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존재하시는 야웨를 경험하여 믿게 되었고, 또한 이 야웨야말로 ‘전에도 계셨고, 지금도 계시고, 장차 오실 전능자’(묵 1:8)임을 신앙하였다는 것이다.
(6) 필자는 이와같은 드 보(de Vaux)의 실존적(existential)이고 공시적인(synchronic) 해석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면서, 필자 자신의 수 차례에 걸친 애굽 방문의 경험을 토대로 '야웨' 이름의 의미에 대한 하나의 독특한 제안을 시도해본다. 우선, 야웨라는 신명이 언제부터 고대의 중동인과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는가에 대하여는 정확히 말할 수 없으나, 성경 본문(특히 출 3:14-15)에 대한 양식비평적 분석에 의하여 몇가지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야웨 이름은 모세 때에 처음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에게 소개되었다는 것과, 야웨의 이름은 하야(היה) 동사의 칼 미완료형 3인칭 남성 단수 ‘이흐예’(ה)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따라서 야웨 이름의 본래적 의미는 ‘그는 (역사속에서 참 하나님으로) 현존/존재하시는 자이다’라는 것, 그리고 이 야웨 이름은 본래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ה ר ה)였고, 이 긴 이름은 그후 ‘에흐예’(ה)로 축소되었으며, 다시 이 동사 형태의 이름은 ‘야웨’(הוהי)라는 명사 형태로 최종 고정되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주장의 근거로서 출 3 장 14-15절에 언급된 세 어구,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I Am the One Who Is/Exists)와 ‘에흐예’(I Am) 그리고 ‘(네 조상의 하나님...) 야웨’(15절)를 주의 깊게 살펴보자. 특히 14절의 두 어구는 모두 ‘하야’(היה) 동사의 칼 미완료 일인칭 단수 형태로 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15절의 ‘야웨’(הוהי)는 ‘하야’ 동사의 칼 미완료에서 파생된 명사형임을 암시한다. 결국 여기에서 본문의 저자는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 > ‘에흐예’ > ‘야웨’의 도식을 통하여 세 용어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있고, 이 도식을 통하여 야웨 이름의 발전경로와 함께 야웨 이름의 의미를 암시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문(3:13-15)의 문학적 양식(form)과 내용구조를 자세히 고찰해보면, 그 내용구조에 있어서 야웨 이름의 기원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그 골격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이 본문은 야웨 이름에 대한 일종의 起源론(etiologgy)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질문에 대한 세 개의 답변에 있어서 다소 긴 형태로 되어있는 전자가 가장 오래된 양식이고 중간 것(에흐예)이 그 다음에 나타난 축소형이며 후자(야웨)는 최후로 고정된 형태로 보인다. 성경에는 人名과 地名의 유래를 밝히는 기원론적 전승들이 빈번하게 언급되어있는데, 이와같은 기원론적 전승들에 나타난 공통적 특징은 언어유희(pun, word-play)를 통한 의미의 전달이다. 야웨 이름의 기원론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 야웨 이름의 어원을 밝히는 어구들, 즉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나는 [참으로] 존재하는 자이다)와 ‘에흐예’(나는 존재한다)는 야웨의 이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히는 기원론적 언어유희 임이 분명하며, 이 기원론적 언어유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하야’ 동사를 고려한다면 야웨라는 神名의 의미는 자연히 ‘그는 (참으로) 존재한다’ 또는 ‘그는 참으로 존재/현존하시는 분이다’가 된다. 고대 셈족의 이름 체계(nomenclature)와 그 이름의 기원론에서 드러나는 분명한 사실은, 인명이나 지명은 그 기원론에서 언급된 가장 핵심적 단어 또는 그 핵심적 단어의 축소형을 택하고있음을 볼 때 이와같은 야웨 이름에 대한 해석은 타당하다(각주 54 참조).
그러면, 야웨 이름의 근원적 의미를 ‘현존/존재하시는 분’으로 이해한 모세 당시의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야웨라는 神名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야웨 이름의 기원론’이라는 양식이 필요했던 삶의 정황(Sitz im Leben)은 무엇이었으며, 이러한 기원론이라는 양식으로 구성된 본문(출 3:13-15)을 모세의 (예언자적) 소명설화(Prophetic Call Narrative; 출 3:1-12)에 연결시킨 성서저자/편집자의 의도는 무었이었나? 성경의 거의 모든 이름 기원론(name etiology)에서처럼, 야웨 이름의 기원론도 그 자체의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을 갖고있을 것이 분명한데, 그 역사적 맥락은 무엇인가?
야웨의 이름이 이스라엘에게 공식적으로 소개되고 이 야웨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최초로 계약(Covenant)관계를 맺은 것은 모세 때부터였다는 성서본문(출 3; 6;)의 증언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조상들이 섬기던 다양한 이름(엘 샤다이, 엘 로이, 엘 올람, 엘 엘리욘, 엘 벧엘 등)의 神들이 야웨 하나님의 이름 아래 통일되고(출 3:15; 6:3) 동일시된 것도 모세 때부터였다는 성서의 증언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이와같은 야웨 이름의 기원론의 역사적 배경은 모세시대 특히 출애굽 사건임이 분명하다. 이 출애굽 사건은 애굽을 전제로 하고있으며, 다시 이 애굽은 애굽에서 신으로 간주된 바로(Pharaoh)를 전제하며, 따라서 모세가 이해한 야웨 이름의 의미는 神格化된 이 바로를 전제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야웨 이름의 기원론은 반애굽적(anti-Egyptian) 반바로적(anti-Pharaoh)적 동기를 함축하고 있으며, 모세와 야웨와의 대화에서 전제된 심층구조는 야웨와 바로의 존재론적 대결구도였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야웨 이름의 기원론은 애굽의 히브리 노예 공동체라는 구체적인 삶의 정황을 암시하며, 모세의 소명설화(출 3:1-12)도 이 기원론과 삶의 정황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야웨 이름의 의미에 대하여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구절로 간주되는 바, 출 3:13-15의 컨텍스트는 바야흐로 야웨께서 모세와 함께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구원하기 위해 야웨의 보좌인 시내산을 떠나 애굽으로 진군하시어 바로와 대결하시려는 야웨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얼마후에 애굽의 신 바로와 히브리인의 신 야웨는 대 접전(거룩한 전쟁/Holy War)을 벌이게 되어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야웨의 정체와 그 기원을 묻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의 예언자로 부름받은 모세는 예언자의 기본적 기능에 따라 야웨 이름의 기원과 그 의미를 밝혀야했고, 그 야웨 이름의 의미가 바로의 정체의 반대개념으로 제시되었을 때 히브리인들은 기꺼이 이 야웨를 자신들의 하나님으로 그리고 모세를 이 야웨의 예언자로 수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야웨 이름의 기원론과 그 기원론의 역사적 컨텍스트를 추구하는 자에게 있어서 예언자로서의 모세의 역할과 애굽의 신앙, 특히 바로와 연관된 애굽신앙에 대한 전이해는 필수적이다. 필자가 애굽을 방문하여 조사한 바 대로, 모세 당시의 애굽의 바로(황제)는 인간으로 태어난 태양신이었고, 나일강으로 상징되는 바 무한대의 생수를 공급해주는 바다 신의 化身(incarnation)이었다. 야웨 이름의 기원론이 전제하는 바, 그리고 모세가 그 기원론을 통하여 수립한 야웨 신학은 이 태양신과 나일강의 化身인 바로가 虛構요 비존재(none-being)임을 밝히는 것이었으며, 바로와 비교할 때 야웨는 역사가운데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참 존재(true-being)요 행동하시는 하나님(God who acts) 이심을 밝히는 것이었다. 바로가 피라밋으로 대변되는 바 죽음이요 죽이는 자(출 1:16)요 억압자라면, 야웨는 창조자이시며 살리는 자이시오 구원자이시라는 것이다. 애굽에서는 무한대의 창조능력으로 만물을 소생시키는 태양을 神으로 인식하였고, 애굽의 제사장들은 그 태양신(Ra, Re, Amun, Aton 등)의 화신이 곧 바로(Pharaoh)라고 가르쳤으며, 애굽 백성들은 그렇게 믿고있었다. 또 한편 애굽 사람들은 무한대의 생수를 공급해주는 나일강을 신으로 숭배했고, 나일강의 모양을 한 뱀(코브라)을 영생으로 인도하는 신비한 神으로 간주하였으며, 바로는 또한 이 무한대의 생명을 공급하는 나일강과 코브라의 화신으로 간주되었다. 애굽의 모든 황제들, 특히 18-20 왕조의 바로의 왕관 전면에 달려있는 코브라의 머리와 이들 바로들의 무덤 벽화에 빠짐없이 들어있는 수 많은 뱀의 행렬은 이와같은 애굽인들의 신앙을 대변한다. 애굽의 제사장들은 이와같은 태양의 화신이요 나일강의 화신이요 뱀의 화신인 바로가 죽을지라도 다시 부활할 것이라고 가르쳤고, 때가 되면 부활하게 될 그 바로의 시체를 미이라로 화학처리하여 거대한 돌 무덤에 안치하였다. 또한 룩소(고대 애굽의 수도 테베/Thebe)에서 볼 수 있는 바, 바로를 위하여 지은 엄청난 크기의 수 많은 석조 신전들과 그와 관련된 수 많은 신상들과 바로의 석상들은 애굽 백성들이 이 거짓 신 바로와 그의 제사장들에게 속아 얼마나 많은 땀과 정력과 시간과 고귀한 생명까지를 허비하였는가를 암시하고도 남는다.
엑소더스 사건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확인한 야웨 하나님의 정체는 이와같은 거짓과 죽음의 신 바로의 억압에서 부르짖는 히브리 노예들의 신음을 들으시고 하나님의 산 시내산에서 애굽으로 내려와 그 바로를 심판하시고 마침내 친히 구원하신 히브리 노예들을 하나님의 산으로 인도하시어 그들을 당신의 백성을 삼으시는 참 하나님이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드러난 야웨 하나님의 바로에 대한 심판은, 신격화된 나일강을 악취나는 피로 물들게 함으로써, 또한 신격화된 뱀에 대하여는 아론의 지팡이가 애굽 술사들의 뱀을 삼키게 함으로써, 그리고 신격화된 태양에 대하여는 그 세력을 무력화시켜 빛을 발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무엇보다도 神의 군대로서 무적의 막강한 힘을 자랑하는 바로의 군대에 대하여는 그 군대를 홍해에 수장시킴으로써 실현되는데, 이와같은 바로에 대한 심판은, 바로가 아니라 야웨 바로 그분만이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시요,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장하시는 창조주이시요, 생명의 공급자이시며 역사를 주관하시는 자 이심을 드러내신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전과 뱀과 나일강으로 상징되는 바, 억압과 허무와 죽음과 거짓의 우상인 이 바로의 허구적이고 비존재(non-being)적 정체에 비하여 야웨는 생명과 진리와 창조의 근원으로서의 참존재(true-being) 임을 출 3:14에서 밝히고 있으며,‘역사 속에 스스로 현존하시는 그분’ 곧 참 존재(True Being)로서의 ‘야웨’ 이름의 의미는 출애굽 사건이라는 구체적인 사건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이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역사인식에 기초한 탁월한 신학적 안목은 성서 속을 줄기차게 흐르는 예언자들의 사상, 즉 인간의 역사 속에 구체적으로 현존하시면서 역사를 지배하시고 섭리하시는 분은 야웨 한 분 뿐이라는 사상과 맥을 같이하며, 이와같은 관점에서 야웨 이름에 대한 기원론이 (모세의) 예언자 소명설화(출 3:1-4:17)안에 쉽게 삽입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야웨 이름의 기원론과 예언자 소명설화는 본래 이질적인 별개의 전승이 아니라 둘 다 야웨주의적 예언자들이 소지하고있었던 전승이었다는 사실이다.
많은 주석가들의 칠십인역 번역에 대한 부당한 평가, 즉 경험적 사고구조를 갖고있었던 히브리인들에게서 철학적/추상적이고 사변적인 神 이해를 찾는 것은 잘못된 것이므로 출 3:14를 실존론적(existential)이고 존재론적(ontological) 의미에서 번역한 LXX의 번역은 잘못된 번역이라는 것, 그리고 히브리 성경과 히브리 사상에 나타나는 동사적 사고방식과 헬라적 사상에 나타나는 명사적 사고방식 사이에는 연속성이 없으므로, 이 히브리어 본문(출 3:14)에 헬라적 관념을 주입시켜 번역한 LXX의 번역은 잘 못 되었다는 주장은, 히브리적 사상과 헬라적 사상 사이의 이분법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데서 초래된 오류였다고 볼 수 있다. 쉴드가 지적한 바와 같이, 출 3:13-15의 내용은 헬라의 형이상학 以前의 사상을 담고있으며, 옛날이나 지금이나 인간의 삶에서 존재(being)와 행동(act)은 뚜렷이 구별될 수 있는 요소라기보다는 오히려 끊임없는 상호관계로 존재하는 불가분리의 요소인 것이다. 우리가 앞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출애굽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하여 이스라엘(히브리인)도 그들의 사고구조속에서 존재론적 神 이해가 가능했었음이 부인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칠십인역의 번역장소가 애굽의 알렉산드리아였다는 사실도 칠십인역의 번역이 히브리본문의 본래적 의미에서 이탈한 것이 아님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할 수 있다. 이 번역자는 앞에서 언급한 애굽의 피라밋과 각종 우상문화를 직접 눈으로 목격할 수 있는 신학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출 3:14에 대한 칠십인역의 번역은 이질적인 헬라철학이 주입된 잘못된 번역이 아니라 오히려 이 본문의 역사적 문맥, 특히 이 본문이 전제하는 바 야웨 이름에 대한 기원론적 컨텍스트를 의미심장하게 고려한, 하나의 충실한 번역이요 주석이라 말하고 싶다.
4. 맺는 말
우리가 위에서 시도한 바, 야웨 이름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여러 가설들에 대한 피상적 관찰만으로 어떤 결론적 견해를 제시하기가 힘들지만, ‘야웨’ 이름을 고찰하면서 떠오르는 것 하나가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하나님께서는 이 이름의 계시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예고하시지 않았는가 하는 느낌이다. 신약에서 예수그리스도에 대하여 소개할 때 그 분은 알파(Α)와 오메가(Ω)시오, 창조주 자신이요, 영원전부터 영원이후까지 존재하시는 분이요, 죄와 억압과 죽음의 세력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하기 위하여 마귀와 싸우시고 생명을 바치시고 죽으신후 부활하시사 마침내 영으로 오셔서 성도와 함께 영원토록 동행하시는, 참으로 놀라우신 하나님으로 소개했다는 사실은 앞에서 소개된 바 다양한 가설들의 ‘야웨’ 이름의 의미와 포괄적으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야웨 전승의 소지자(J)가 태초부터 야웨/예수께서 계셨다고 이해한 것과 엘로힘 전승 소지자(E)와 제사장 전승 소지자(P)가 모세 때에 야웨의 이름이 처음으로 그리고 정식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소개되었다고 이해한 것을 일관성이 없는 증언이라고 간주하기 보다는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일관성있는 예고였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예수(야웨)께서는 J전승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태초부터 계신 분이고, 그분의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구속적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동시에 그분의 이름이 정식으로 이스라엘에게 소개된 것은 모세 때부터라는 것이다.
주전 3 세기의 칠십인역에서 구약의 모든 ‘야웨’의 이름을 ‘큐리오스’(주님)라고 통일하여 번역함으로써 초대 교회의 기독교인들이 구약성서를 헬라어로 읽을 때 ‘야웨’를 예수 그리스도로 고백하며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시 하도록 해 놓은 것은 실로 놀랍기 그지 없다. ‘야웨’ 이름의 의미의 발전은 결국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점점 더 분명하게 알리기 위한 하나님의 계시의 발전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약어표
AB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ANET: Ancient Near Eastern Text
ASTI: Annual of the Swedish Theological Institute
BA: Biblical Archaeologist
BASOR: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BBB: Bonner biblische Beitraege
BDB: F. Brown, S. R. Driver and C. A. Briggs,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Oxford, 1979.
BHAL: Baumgartners Hebrew und Aram. Lexikon
BN: Biblische Notizen, Bamberg.
BZ: Biblische Zeitschrift, Paderborn.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Washington, D. C.
HALAT: Hebraisches und aramaisches Lexikon zum Alten Testament, 4 vols., ed. W. Baumgartner et al. Leiden: E. J. Brill, 1967-1990.
HDB: Hastings' Dictionary of the Bible (1963)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UCA: Hebrew Union College Annual
IDB: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ed. G. A. Buttrick. 4 vols. Nashville, 1962.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NE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JQR: Jewish Quarterly Review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B: L. Koehler and W. Baumgartner, 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 Leiden, 1958.
NRTh: Nouvelle Revue Theologique
OTS: Oudtestamentische Studien
RB: Revue biblique, Paris.
RGG: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RSPT: Revue des sciences philosophiques et theologiques, Paris.
TDO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d. G. J. Botterweck, H. Ringgren, and H. J. Fabry. Trans. J. T. Willis, G. W. Bromiley, and D. E. Green. Grand Rapids, 1974-.
THAT: Theologisches Handwoerterbuch zum Alten Testament, 2 vols., ed. E. Jenni and C. Westermann. Munich, 1971-76.
TLZ: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TZ: Theologische Zeitschrift, Basel, Switzerland.
VT: Vetus Testamentum, Leiden.
WO: Die Welt der Orients, Goettingen
ZAW: Zeitschrift fu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Berlin
ZDMG: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aendischen Gesellschaft
참고도서 목록
(아래의 참고도서들은 미래 독자들의 연장된 연구를 위하여 필자가 한국내에서 구할 수 없었던 책/자료들까지 수록하였음)
Abba, R. "The Divine Name of Yahweh," JBL 80(1961), 320-328.
Albrektson, B. "On the Syntax of 'ehyeh 'asher 'ehyeh in Exodus 3:14," Words and
Meanings. Essay Presented to D. W. Thomas;, eds., P. R. Ackroyd & B.
Linda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1968. 15-28.
Albright, W. F. "Further Observations on the Name Yahwehh," JBL 44 (1925), 158-162.
______. Yahwehh and the Gods of Canaan.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1968.
168-172.
Alfrink, B. "La Prononciation 'Jehova' du Tetragramme," OTS 5 (1948), 43-62.
Archi, A. "The Epigraphic Evidence from Ebla and the Old Testament," Biblica 60(1979), 556-66.
Brekelmans, C. H. W. "Exodus 18 and the Origins of Yahwism in Israel," OTS 10 (1954), 215-24.
Brownlee, W. H. "The Ineffable Name of God," BASOR (226), 39-46.
Burkitt, F. C. "Yahwehh or Yahoh," JTS 28 (1926/27), 407-409.
Cohon, S. "The Name of God," HUCA 23/1 (1950/51), 579-604.
Cross, F. M. "Yahweh and the God of the Patriarchs," HTR 55 (l962), 250-259.
______.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73.
Dahood, M. "Afterword: Ebla, Ugarit, and the Bible," The Archives of Ebla. G. Pettinato. Garden City, NY: Doubleday & Co., 1981. 271-321.
Driver, G. R. "The Original Form of the Name 'Yahwe': Evidence and Conclusions," ZAW 46 (1928), 7-25.
______. "Reflection on Recent Articles: The Interpretation of YHWH as a Participal Form from a Causative Theme of the Verb," JBL 73 (1954), 125-131.
Dubarle, A. M. "La signification du nom de Iahweh," RSPT 35 (1951), 3-27.
Eerdmans, B. D. "The Name Jahu," OTS 5 (1948), 1-29.
Eissfeldt, O. “Neue Zeugnisse für die Aussprache des Tetragramms als Yahwe," ZAW 53(1935), 59-72.
______. "Jahwe," RGG. 3rd Edit. Vol. 3. J. C. B. Mohr, 1959. 515-516.
______. "Jahwe, der Gott der Vaeter," TLZ 88 (1963), 481-490.
Eliade, M. ed., "Yahwehh,"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7. 483-4.
Freedman, D. N. "The Name of the God of Moses," JBL 79(1960), 151-6.
______. "הוהי,“ TDOT, Vol. V, (1986), pp. 500-521.
______. "Yahweh of Samaria and His Ashera," BA 50 (1987), 241-49.
Goitein, S. D. "YHWH the Passionale," VT 6 (1956), 1-9.
Gorg, M. "Jahwe - ein Toponym?" BN 1 (1976), 7-14.
Gray, J. "The God YW in the Religion of Canaan," JNES 12 (1953), 278-283.
Hartman, Louis F. "God, Names of," Encyclopedia Judaica, vol. VII, ed., C. Roth et al. Jerusalem: Keter Pub. House, 1972-1981. 674-682.
Horst, D. "Die Notiz vom Anfang des Jahwe Kultes in Gen. 4:26," Libertas Christiana (Festschrift F. Delekat). Edit., W. Matthias. Munich: Kaiser, 1957. 68-74.
Hyatt, J. Philip. "The Origin of Mosaic Yahwism," The Teacher's Yoke. Festschrift H. Trantham. Ed., E. J. Vardaman et al. Waco, Texas: Baylor University Press,
1946. 85-93.
______. “Yahwehh as 'the One God of My Father'," VT 5 (1955), 130-136.
______. "Was Yahweh Originally a Creator Deity?" JBL 86 (1967), 369-377.
Jenni, E. "הוהי," THAT. Vol. 1. 701-707.
Kaufmann, Y. The Religion of Israel: From Its Beginnings to the Babylonian Exile. Trans. by M. Greenber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1960.
Kinyongo, J. Origine et significatio du nom divin Yahve ala lumiere de recents travaux et de traditions semitico-bibliques. BBB. 35 (1970).
Knauf, E. A. "Yahwe," VT 34 (1984), 467-472.
Kosmala, H. "The Name of God," ASTI 2 (1963), 103-120.
Lambert, G. "Que signifie le nom divin YHWH?" NRTh 74 (1952), 5-18.
L'hour, J. "YHWH Elohim," RB 81 (1974), 524-556.
Lind, M. C. Yahwehh Is a Warrior. Scottdale, PA, 1980.
Lindblom, J. "Noch einmal die Deutung des Jahwe-Namens," ASTI 3 (1964), 4-15.
Mayer, R. "Der Gottesname Jahwe im Lichte der neuen Forschung," BZ 2 (1958), 26-53.
(Mayer의 논문은 1958년까지의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요약해주고 있음)
McCarthy, D. J. "Exod. 3:14: History, Philology and Theology," CBQ 40 (1978), 311-322.
Mettinger, T. In Search of God. Trans. by F. H. Cryer. Philadelphia, 1988.
Miller, P. D. The Divine Warrior in Early Israel. Cambridge, MA, 1973.
Mowinckel, S. "The Name of the God of Moses," HUCA 32 (1961), 121-133.
Murtonen, A. E. The Appearance of the Name Yhwh outside Israel. Studia Orientalia XVI, 3. Helsinkki, 1951.
______. A Philological and Literary Treatise on the OT Divine Names לא, הוא, םיהולא and הוהי. Studia Orientalia. XVIII. 1. Helsinki: Societas orientalis Fennica,
1952.
Norin, S. I. L. "Jo-Namen und Jeho-Namen," VT 29(1979), 87-97.
______. Sein Name allein Ist Hoch. CWK Gleerup, 1986.
Obermann, J. "The Divine Name Yahweh in the Light of Recent Discoveries," JBL 68 (1949)301-23.
Parke-Taylor, G. H. Yahweh: The Divine Name in the Bible. Waterloo, Ont., 1975.
Pettinato, G. "The Royal Archives of Tell Mardikh-Ebla," BA 39(1976), 44-52.
______. "Ebla and the Bible," BA 43 (1980), 203-216.
______. The Archives of Ebla: An Empire Inscribed in Clay. Garden City: Doubleday & Co., 1981. pp. 276-77, 283.
Preuss, H. D. "Ich will mit dir sein," ZAW 80(1968), 139-173.
Rankin, O. "God," A Theological Word Book of the Bible. Ed. A. Richardson. NY, 1950. 90-99.
Reisel, M. The Mysterious Name of YHWH. Assen: Van Gorcum, 1957.
Rowley, H. H. "Mose und der Monotheismus," ZAW 69 (1957), 1-21.
Schild, E. "On Exodus 3:14 - 'I Am That I Am'", VT 4 (1954), 296-302.
Schleiff, A. "Der Gottesname Jahwe," ZDMG 90 (1936), 679-702.
Schmidt, W. H. "Der Jahwename und Ex. 3:14," Textgemaess. Festschrift E. Wuerthwein. Goettingen, 1979. 123-138.
Segal, M. H. "The Revelation of the Name JHWH," Tarbiz, IX (1938), 123-62; XII (1940-41), 97-108.
______. "El, Elohim, and YHWH in the Bible," JQR 46 (1955), 89-115.
Smith, Mark S. The Early History of God: Yahweh and the Other Deities in Ancient
Israel. San Francisco: Harper & Row, 1990.
Stolper, M. W. "A Note on Yahwistic Personal Names in the Murasu Texts," BASOR, 222 (1976), 25-28.
Thierry, G. J. "The Prononunciation of the Tetragrammaton," OTS 5 (1948), 30-42.
Thompson, Henry O. "Yahweh," ABD. Vol. VI. 1011-1012.
de Vaux, R. The Early History of Israel. Trans. D. Smith.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8.
______. "The Revelation of the Divine Name YHWH," Proclamation and Presence. Old Testament Essays in Honour of G. H. Davies; eds., J. J. Durhamm & J. R.
Porter. London: SCM, 1970. 48-75.
Vischer, W. "Eher Jahwo als Jahwe," TZ 16 (1960), 259-67.
von Rad, G. Old Testament Theology. Vol. I. Trans. D. M. G. Stalker. New York: Harper & Row, 1965.
von Soden, W. "Jahwe, Er ist, Er erweist sich," WO 3 (1966), 177-87.
Vriezen, Th. C. Ehje asher ehje. Festschr. A. Bertholet. 1950. 489-512.
Walker, N. The Tetragrammaton. West Ewell, 1948.
______. "Yahwism and the Divine Name Yhwh," ZAW 71 (1959), 262-65.
Wambacq, B. N. "'Ehyeh 'asher 'ehyeh," Biblica 59 (1978), 317-338.
Williams, A. L. "The Tetragrammaton-Jahwehh, Name or Surrogate?" ZAW 54 (1936), 262-269.
Zevit, Z. "A Chapter in the History of Israelite Personal Names," BASOR 250 (1983), 1-16.
Zimmerli, W. "Ich bin Yahwe," Geschichte und AT. . Tubingen: Mohr, 1953. 179-209. I Am
Yahweh. Trans. by D. W. Stott. Atlanta: John Knox Press, 1982.
______. Old Testament Theology in Outline. Edinburgh: T & T Clark, 1978.
장영일(부교수, 구약학)
첫댓글 카페운영을 못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렵습니다
동절기 카페지기 생활이 무척 어렵습니다...
후원이 없다보니 카페운영도 힘이듭니다 이달에는
도와주시는 분이 계셔서 용기를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카페지기는 치료비와 난방비.공과금.주거임대료
먹거리장만 때문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후원을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매달 치료약값 30만원 공과금30만원 임대료 먹거리등을 사야 합니다
카페지기 전화입니다 010.2261~9301
카페후원계좌-국민은행 229101-04-170848 예금주.황종구
선교후원-농협 233012-51-024388 예금주.황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