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직장 그만둔 지 10년이 넘은 기혼 여성들에게 ‘국민연금’은 생소한 단어. 하지만 근래 국민연금이 강남 주부들 사이에 새로운 노(老)테크 수단으로 관심 받는다는 기사가 자주 나와 귀를 솔깃하게 만든다. 소득이 없는 나도 가입할 수 있을까? 매월 보험료를 얼마 내면 나중에 연금은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까?
Ⅰ국민연금, 임의 가입이 늘고 있다는데 국민연금 의무 가입 대상이 아닌 전업 주부 등이 연금 혜택을 받기 위해 자발적으로 가입한 경우가 ‘임의 가입’에 해당한다. 7월 한 달에만 국민연금 임의 가입자는 9천526명으로, 전년도 한 달 평균 대비 5.2배에 달했다. 이중 여성 가입자가 84.5퍼센트, 30~40대 가입자가 48.5퍼센트를 차지한다. 국민연금관리공단 가입지원부에서는 “젊은 층과 국민연금 가입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전업 주부 등이 노후 대비 수단으로 국민연금을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7월부터 임의 가입자의 최저 보험료를 종전 월 12만6천 원에서 8만9천100원으로 가입 문턱을 낮춘 것도 임의 가입자 증가에 일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임의 가입, 주부도 할 수 있나? 사업장 가입자나 지역 가입자가 될 수 없는 사람도 임의 가입할 수 있다. 사업장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 타 공적연금 가입자 이외의 18세 이상 60세 미만자는 희망할 경우 신청하면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이 회사에서 국민연금을 가입 중이고 부인은 전업 주부일 경우 부인 임의 가입이 가능하며, 남편이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데 부인이 소득 없는 경우에도 된다. 18세 이상 27세 미만인 자로 학생이거나 군 복무 등으로 소득이 없는 자(연금보험료를 납부한 사실이 있는 자 제외)도 신청 가능하다.
10년 전 퇴사, 70개월 납부로 자격 상실 상태인데… 가입 기간이 10년이라 70개월 납부만으로는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없는 상태. 임의 계속 가입을 통해 부족한 기간을 채우면 연금을 평생 받을 수 있다. 임의 계속 가입을 희망하지 않을 경우에는 60세 이후 반환 일시금을 청구하면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에 법정이자를 더해 돌려준다.
중도에 탈퇴할 수 있나? 임의 가입자는 사업장 가입자나 지역 가입자처럼 의무 가입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탈퇴할 수 있다. 3개월 이상 보험료를 미납하는 경우에는 직권으로 탈퇴된다. 임의 가입과 탈퇴 신청은 방문 신청은 물론 우편, 팩스와 본인 확인이 되는 경우 전화 신청도 가능하다. 국민연금 홈페이지(www.nps.or.kr)에서 임의 가입자 본인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후 직접 임의 가입 신청이나 탈퇴를 할 수 있다.
부부가 가입했을 때 연금 수령은? 국민연금관리공단에 따르면 노후 설계에 대한 관심이 커져 국민연금을 플러스 알파로 활용하기 위해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거나 임의 가입, 가족 대납 등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고 한다. 부부가 함께 가입한 경우, 연금도 두 사람 모두 각각 평생 동안 받는다. 다만 부부가 연금을 받던 중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남아 있는 배우자는 본인의 노령연금 전액과 배우자의 사망으로 발생한 유족연금의 20퍼센트를 함께 받을 수 있다.
Ⅱ 보험료와 예상 연금은? 국민연금 임의 가입자가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보험사의 개인연금에 비해 수급액이 납입 기간과 액수에 따라 1.8배에서 최고 4.5배가량 높다고 알려지면서부터. 국민연금관리공단은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유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젊은 시절 미리 가입해서 노후에는 완성된 연금을 받으려는 준비가 중요하다”며 “노후 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국민연금을 기본적으로 가입하고,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고 권했다.
보험료는 얼마나 내고, 연금은 얼마나 받을까? 임의 가입 시에는 국민연금 지역 가입자의 중간 소득에 해당하는 연금보험료나 그 이상으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매달 8만9천100원을 10년간 납입하면 65세 이후 매달 16만2천570원, 20년 납입하면 30만7천920원을 받는다. 가입액을 늘려 14만9천400원을 납입하면 10년 납입 시 20만1천720원, 20년 납입 시 38만2천80원을 받는다.
어디에서 계산해볼 수 있나? ‘내연금’(http://csa.nps.or.kr) 홈페이지에서 국민연금 예상 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다. ‘내연금’에서는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 은퇴를 시작으로 노후 준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보장 설계 시뮬레이션, 건강·여가·대인관계 등의 노후 생활 정보, 온라인 노후 설계 상담 등 다양한 노후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인연금과 비교하면? ※ 만 35세 주부가 20년간 보험료를 납입하고 65세에 연금을 개시했을 경우(국민연금 노령연금 기준, 20년 확정 수령을 가정해 비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