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이용악 <전라도 가시네>
◆이해와 감상
이시는 북간도 술막에서 이루어진 ‘전라도 가시네’와 ‘함경도 사내’의 만남을 통해 일제 강점기에 추운 북간도까지 떠밀려 가야 했던 유이민의 비참하고 비극적인 삶을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한반도 제일 남쪽에 있는 전라도와 제일 북쪽에 있는 함경도에서 온 남녀가 북간도에서 만났다는 것은 우리 민족 전체가 고향을 잃어버려야 했던 현실을 나타내며, 이러한 혹독한 현실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서를 서사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핵심 정리
주제 : 북간도로 떠밀려 간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삶
(나)결빙의 아버지_이수익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어머니를 청자로 한 대화체 형식을 통해 어린 시절 사랑으로 자신을 감싸주던 아버지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어린 시절의 어느 겨울 밤 화자는 외풍 때문에 벌벌 떨면서 아버지의 품에 파고들어 잠이 들었다. 추운 밤 자식을 따뜻하게 감싸 주시던 아버지가 지금은 곁에 계시지 않기에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은 더욱 절절하다. 화자는 오늘 아침 영하의 한강교를 지남8ᅟᅧᆫ서, 문득 한강의 하얀 얼음이 아버지의 화신(化身) 같다고 생각한다. 얼음이 된 아버지가 부드럽고 여린 물살이 무사히 흘러 바다로 가라고 등으로 혹한을 막고ㅛ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또한 한강 위에서 얼어붙은 잔등으로 혹한을 막고 있는 얼음은 여린 물살이 무사히 흘러 바다로 가라고 보살펴 주는 존재로 따뜻한 아버지의 사랑을 형상화한 것이다.
◆핵심 정리
주제 ; 아버지의 사랑에 대한 그리움
특징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