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1964&menuNo=4010100
’24.11월 전산업 생산 감소,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등 경기 보강 |
- ‘24.11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 |
1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전기비 △0.4% / 전년동기비 △0.3%)이 건설업(△0.2% / △12.9%) 부진 등으로 소폭 감소했다. 광공업은 자동차 부품사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 등으로 감소(전기비 △0.7%)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반도체 생산이 큰 폭 증가(11.1%)하며 플러스(0.1%)를 이어갔다.
* 전산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8) 1.1 / 1.0 (9)△0.4/ △1.4 (10) △0.2 / 2.4 (11)△0.4 /△0.3
광공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8) 4.2 / 3.6 (9)△0.1/ △1.4 (10) 0.0 / 6.3 (11)△0.7 / 0.1
건설업(전월비/전년동기비, %): (’24.8)△2.2/△9.6 (9)△2.0/△14.0 (10)△4.1/△10.8 (11)△0.2/△12.9
지출 측면에서는 서비스업이 전월 반등후 소폭 조정(전기비 △0.2%)되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대면활동이 증가하며 개선세(1.0%)를 지속했다. 소매판매는 의류 등 준내구재 판매 증가로 반등(전기비 0.4%)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감소(△1.9%)했다. 설비투자의 경우 그간 큰 폭 상승한 영향으로 일부 조정(전기비 △1.6%)되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상승세(2.6%)를 이어갔다.
* 서비스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8) 0.1 / 0.9 (9)△0.8 / △0.5 (10) 0.6 / 2.1 (11)△0.2 / 1.0
소매판매(전월비/전년동기비, %): (’24.8) 1.5 /△1.5 (9)△0.3 / △2.2 (10)△0.8 / △0.9 (11) 0.4 /△1.9
설비투자(전월비/전년동월비, %): (’24.8)△5.6 / 7.1 (9) 10.0 / 7.2 (10)△5.9 / 5.5 (11)△1.6 / 2.6
1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이 감소하며 회복경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모습이다. 정부는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목표하에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기금운용계획 변경, 공공기관 추가투자, 정책금융 등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등 경기를 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 책임자 | 과 장 | 김귀범 | (044-215-2730) |
| | 담당자 | 사무관 | 김형선 | (044-215-2731) |
| | | 사무관 | 박철희 | (044-215-2732) |
| | | 사무관 | 성지현 | (044-215-2735) |
별 첨 | | '24.11월 산업활동동향 주요내용(상세) |
1 (생산) 광공업(△0.7%)·서비스업(△0.2%) 감소
➊ (광공업) 반도체 역대 최대 생산에도 車 부품업체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감소(0.0→△0.7%)
‣ <반도체> 생산 확대, 출하 증가, 재고 감소
☞ 11월 반도체 지수(175.2, SA) 역대 최고 기록(직전 최고치 ’24.10월 168.7) |
▪ 재고/출하비율은 출하(△0.4%)보다 재고가 크게 줄며(△0.8%) 감소(△0.5%p)
* 재고/출하비율(%) : (‘24.3)111.3 (4)109.8 (5)110.6 (6)104.7 (7)115.0 (8)110.4 (9)106.7 (10)112.3 (11)111.8
➋ (서비스업) 숙박・음식・소매업종 등 개선에도 은행 가계・기업 대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금융・보험업 중심 감소(0.6→△0.2%)
* 은행 가계대출 규모(한은, 전월대비 증감, 조원): (‘24.8)+9.2 (9)+5.7 (10)+3.8 (11)+1.9
은행 기업대출 규모(한은, 전월대비 증감, 조원): (‘24.8)+7.2 (9)+4.3 (10)+8.1 (11)+2.2
| ‘22 | ‘23 | | | | | ‘24.1/4 | ‘24.2/4 | ‘24.3/4 | | 10월 | 11월 | (업종별, 전월비, %) |
1/4 | 2/4 | 3/4 | 4/4 | 9월 |
全 산 업 | <전기비, %> | - | - | 0.1 | 0.6 | 1.0 | 0.7 | 0.7 | △0.3 | △0.4 | △0.4 | △0.2 | △0.4 | (광공업)△0.7 (건설업)△0.2 (서비스업)△0.2 (공공행정)△0.9 |
<전년동기비, %> | 4.6 | 1.0 | 1.6 | △0.3 | 1.3 | 1.3 | 2.9 | 2.1 | 0.7 | △1.4 | 2.4 | △0.3 |
광 공 업 | <전기비, %> | - | - | 0.4 | 2.6 | 1.3 | 2.2 | △0.3 | 1.1 | △1.0 | △0.1 | 0.0 | △0.7 | (자동차)△5.4 (전자부품)△4.7 (반도체)3.9 (석유정제)1.8 |
<전년동기비, %> | 1.0 | △2.6 | △8.3 | △6.1 | △0.4 | 4.8 | 5.9 | 4.8 | 2.4 | △1.4 | 6.3 | 0.1 |
서 비 스 업 | <전기비, %> | - | - | 1.0 | 0.0 | 1.0 | 0.3 | 0.8 | △0.3 | 0.2 | △0.8 | 0.6 | △0.2 | (금융보험)△2.9 (수도・하수)△5.7 (숙박・음식)2.3 (정보통신)3.2 |
<전년동기비, %> | 7.0 | 3.2 | 6.3 | 2.6 | 2.3 | 1.8 | 2.1 | 1.6 | 0.8 | △0.5 | 2.1 | 1.0 |
2 (지출) 소매판매(0.4%)증가, 설비투자(△1.6%)·건설기성(△0.2%) 감소
➊ (소매판매) 자동차내구재(△0.1%), 음식료・연료비내구재(△0.7%) 감소에도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4.1%) 증가로 상승(△0.8→0.4%)
‣ ‘24.10 → 11월(전월비, %): (내구재)△6.9 → △0.1 (준내구재)4.2 → 4.1 (비내구재)0.5 → △0.7
|
➋ (설비투자) 그간 큰 폭 상승에 따른 기저영향을 받는 가운데, 운송장비 개선에도 기계류 줄며 감소(△5.9→△1.6%)
▪ 다만, 전년동기비로는 높은 수준(설비투자 지수 114.4) 이어가며 5개월 연속 증가(5.5→2.6%)
➌ (건설기성) 건축 부진으로 감소했으나, 플랜트 등 토목 개선으로 감소폭은 축소(△4.1→△0.2%)
| ‘22 | ‘23 | | | | | ‘24.1/4 | 2/4 | 3/4 | | 10월 | 11월 | (업종별, 전월비, %) |
1/4 | 2/4 | 3/4 | 4/4 | 9월 |
소 매 판 매 | <전기비, %> | - | - | 0.6 | △0.5 | △1.9 | 0.4 | △0.5 | △0.8 | △0.7 | △0.3 | △0.8 | 0.4 | (내구재)△0.1 (준내구재)4.1 (비내구재)△0.7 |
<전년동기비, %> | △0.3 | △1.5 | △0.8 | △0.7 | △2.7 | △1.9 | △2.1 | △2.9 | △1.9 | △2.2 | △0.9 | △1.9 |
설 비 투 자 | <전기비, %> | - | - | △8.6 | 1.5 | △1.9 | 5.0 | △3.8 | △0.2 | 10.3 | 10.0 | △5.9 | △1.6 | (기계류)△2.0 (운송장비)0.1 |
<전년동기비, %> | 2.5 | △4.9 | △1.9 | △1.3 | △9.9 | △6.0 | 0.3 | △1.5 | 10.7 | 7.2 | 5.5 | 2.6 |
건 설 기 성 | <전기비, %> | - | - | 2.8 | 1.1 | 1.1 | △2.5 | 4.9 | △6.2 | △5.0 | △2.0 | △4.1 | △0.2 | (건축)△2.9 (토목)7.7 |
<전년동기비, %> | 2.8 | 7.3 | 11.5 | 8.7 | 10.1 | 0.6 | 4.1 | △3.0 | △9.6 | △14.0 | △10.8 | △12.9 |
3 (경기 순환변동치) 동행지수(△0.5p) 하락·선행지수(+0.1p) 상승
➊ (동행지수) 건설기성액 및 내수 출하 감소하며 하락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24.3)99.8 (4)99.7 (5)99.1 (6)99.0 (7)98.3 (8)98.2 (9)98.1 (10)98.1 (11)97.6<△0.5p>
➋ (선행지수) 건설수주액,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증가하며 상승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24.3)100.2 (4)100.5 (5)100.5 (6)100.7 (7)100.7 (8)100.6 (9)100.7 (10)100.7 (11)100.8<+0.1p>
□ 1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이 감소하며 회복경로 불확실성 확대
ㅇ 지출 측면에서는 건설투자가 부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매판매는 전기비 반등에도 전년동기비 감소
* 건설투자(전월비/전년동기비, %): (’24.8)△2.2/△9.6 (9)△2.0/△14.0 (10)△4.1/△10.8 (11)△0.2/△12.9
소매판매(전월비/전년동기비, %): (’24.8) 1.5/△1.5 (9)△0.3 / △2.2 (10)△0.8 / △0.9 (11) 0.4 /△1.9
▪ 서비스업과 설비투자는 기저영향 등으로 전기비 감소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증가 흐름 지속
* 서비스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8) 0.1 / 0.9 (9)△0.8 /△0.5 (10) 0.6 / 2.1 (11)△0.2 / 1.0
설비투자(전월비/전년동월비, %): (’24.8)△5.6 / 7.1 (9) 10.0 / 7.2 (10)△5.9 / 5.5 (11)△1.6 / 2.6
□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목표하에,
ㅇ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기금운용계획 변경, 공공기관 추가투자, 정책금융 등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등 경기 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