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스몰캡/방산 곽민정]
샌즈랩(411080)
NOT RATED
AI wins all
투자포인트 및 결론
- 동사의 투자포인트는 1) CTI 서비스인 ‘CTX’가 오픈AI의 GPT 스토어 CTI 분야에 최초로 입점되면서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2) 동사의 데이터셋은 15억원 내외에 판매되며 구독 기반으로 과금되어 플랫폼이 커질수록 수익성 확대될 전망, 3) MS Azure, Amazon AWS와 직접 협력 중으로 글로벌 클라우드 마켓 플레이스를 통한 해외 매출 성장세가 기대되는 원년이 될 전망
- 동사는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yber Threat Intelligence) 보안 전문 기업임. CTI는 전 세계에서 활동중인 사이버 공격 그룹에 대한 실시간 추적과, 공격 메커니즘, 공격에 사용된 서버 정보, 목적, 공격 경로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보안 위협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하루 평균 200만개에 달하는 신규 악성코드와 사이버 위협을 수집 및 분석, 99.95%에 달하는 정확도를 보일 정도로 기술력을 입증함.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최근 전자문서 등 비대면 업무가 급증하면서 이메일을 통한 APT(지능형 지속 공격)이 증가하고 있음. 이메일 내에서 실행하지 않아도 이메일을 클릭하는 순간 사이버 공격이 수행되기 때문에 갈수록 기존 체계로는 방어가 어려운 점이 있었음. 동사는 이런 인터넷상의 APT를 통해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기업 이미지 피해 등 직접적인 손실에 즉시 대응하여 IT 자산의 안정적 운영과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
- 2024년 1월 17일. 동사의 CTI 서비스인 ‘CTX’가 오픈 AI의 GPT 스토어에 입점하였으며, ‘CTX for GPT’로 판매되면서 수익모델이 될 기반을 확고히 함. GPT 스토어 내 현재 유일하게 CTX는 기존 IoC(indicators of Compromise, 침해지표) 중심의 위협 인텔리전스에서 공격그룹과 공격기법을 하나의 상황정보(Context)로 구성한 발전된 사이버 보안 정보를 제공함.
- 글로벌 CTI 시장은 2022년 119억달러(약 16조원)에서 2032년 305억달러(약 41조원)로 연평균 9.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CTI 기술이 GPT 실행시 보안영역에서도 확대될 것. 최근 구글, MS 등이 사이버 범죄 피해 규모 증가에 따라 CTI 역량을 내재화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 일반적으로 보안 솔루션 하나에 1억원 수준의 매출로 솔루션 판매와 인건비 등이 수반되지만, 동사의 데이터셋은 15억원 내외에 판매되며 구독 기반으로 과금되어 플랫폼이 커질수록 동사의 수익성 개선 폭이 클 전망.
주가전망 및 Valuation
- GPT 스토어 내 입점을 통한 보안 서비스와 데이터셋 판매로 2024년부터 실적 개선 본격화 기대
- 팔로알토 네트웍스, 포티넷, 시스코 등이 주도하는 ‘글로벌 사이버위협 얼라이언스’ 멤버이자 MS Azure, Amazon AWS와 직접 협력 중으로 GPT스토어의 보안 최수혜주가 될 것
*URL: https://rb.gy/xpn9x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