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스타프라잔 vs 에스오메프라졸서방캡슐
소화기질환 약물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과 에스오메프라졸서방캡슐(Esomeprazole dual delayed-release capsule)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과 에스오메프라졸서방캡슐(Esomeprazole dual delayed-release capsule )은 어떤 질환에 사용합니까?
두 약물은 모두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Zastaprazan은 활성화 단계가 필요없는 활성형 약물(active drug)로 미란성(위나 식도 점막에 손상이 있는 경우)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에 사용합니다.
Esomeprazole서방캡슐의 경우 미란성 역류식도염의 치료뿐 아니라 식도염 환자의 재발 방지를 위한 장기간 유지 요법, 급성 위염 및 만성 위염의 위점막 병변 개선에도 사용합니다.
두 약물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두 약물은 위벽세포(parietal cell)에서 위산분비 마지막 단계인 양성자펌프(proton pump), 즉 H+/K+ATPase를 저해하여 산분비를 억제합니다. H+/K+ ATPase는 위벽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효소로 칼륨이온과 교환하여 수소이온을 위 내강으로 방출합니다. 방출된 수소이온은 염소와 결합하여 위산이 되어 분비됩니다.
Zastaprazan은 국산 37호 신약으로 2024년 10월부터 보험급여가 적용되었습니다. 약물 작용 기전은 칼륨이온 부착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수소이온의 분비를 차단함으로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나타냅니다. Esomeprazole과 달리, pH와 상관없이 직접 양성자펌프를 저해합니다. 이 과정은 가역적이며 복용 후 1시간만에 약효가 발현되며 혈중 반감기가 8.5~10.3시간으로 약효 지속시간이 길어 야간 산 분비 개선에도 유익합니다.
Esomeprazole서방캡슐은 전구약물(prodrug)로 위산에 의해 활성화되는 과정을 거쳐 약효를 나타내며 H+/K+ATPase효소와 공유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여 양성자 펌프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합니다. Esomeprazole 서방캡슐은 이중지연방출제형으로 경질캡슐안에 장용코팅부분과 서방형 장용코팅 정제부로 구성된 pellet이 들어있어 약물 복용 후 주성분이 0.5~2시간 안에 1차 방출이 나타나고 2~4시간 후 또 한 번 방출됨으로 두 번의 peak를 나타냅니다.
두 약물의 용법·용량을 알려주세요.
두 약물은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습니다.
Zastaprazan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 성인 1일 1회 20mg 4주간 경구 투여합니다.
식도염이 치료되지 않거나 증상이 계속되는 환자의 경우 4주 더 투여합니다.
Esomeprazole서방캡슐은 용량에 따라 효능이 달라집니다.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 미란성 역류식도염의 치료에 1일 1회 40mg을 복용하며 식도염이 치료되지 않거나 증상이 계속되는 환자의 경우 4주 더 복용합니다.
식도염 환자의 재발 방지를 위한 장기간 유지요법으로 1일 1회 20mg 복용합니다.
급성 위염 및 만성 위염의 위점막 병변 개선에 1일 1회 10mg 복용합니다.
Esomeprazole서방캡슐은 복용 시 씹거나 부수지 말고 물로 삼켜서 복용합니다. 삼키기 어려운 환자는 비탄산수 반 컵에 캡슐을 열어 내용물을 넣어 복용하며, 다른 음료(탄산수)는 장용피를 용해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두 약물을 투여 시 주의 사항은 무엇입니까?
- Zastaprazan과 Esomeprazole 사용으로 악성 종양의 증상이 완화되거나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고 증상을 환자에게 알립니다. 경고증상은 재발성 구토, 삼킴 곤란, 토혈, 흑색변 등입니다.
- 두 약물은 위산분비를 억제하므로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내 산도가 감소하면 위장관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가 증가합니다.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클로스트리듐 디피실과 같은 세균에 의한 위장관의 감염 위험이 증가하며 드물게 클로스트리듐 디피실성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입원환자에서 위험성이 증가되었다는 여러 관찰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 위산분비억제약물을 장기간(예: 3년 이상) 매일 투여 하는 경우, 저염산증 또는 무위산증에 의해 비타민B12(시아노코발라민) 흡수장애가 발생합니다.
- 3개월 이상 복용 시 저마스네슘혈증이 보고 되었습니다.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거나 디곡신 또는 저마그네슘혈증을 유발하는 약물(예: 이뇨제)을 병용 투여하는 환자들은 치료 시작을 포함한 주기적인 마그네슘 수치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Esomeprazole 고용량을 투여한 환자와 1년 이상 장기사용 환자에서 골절의 위험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 Zastaprazan 경우 2024년에 식약처 허가를 획득하여 시판 후 이상반응 및 부작용 자료가 비교적 많지 않습니다.
두 약물과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Zastaprazan과 Esomeprazole 복용 시 위내 pH가 높아지므로 위 산도가 생체이용률의 중요한 결정요인인 약제들 itraconazole, erlotinib, 철분제 같은 약물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곡신의 흡수가 증가 될수 있습니다.
- Atanazavir, nelfinavir, rilpivirine 함유제제 역시 위 산도가 약물의 생체이용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 약을 복용 중인 환자에게는 Zastaprazan과 Esomeprazole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Zastaprazan은 주로 CYP3A4/CYP3A5에 의해 대사됩니다. 강력한 CYP3A4/CYP3A5 억제제인 itraconazole, clarithromycin과 병용투여 시 Zastaprazan의 혈장 농도가 증가합니다.
- 자몽주스는 CYP3A4를 억제하므로 Zastaprazan 복용 시 주의합니다.
- Esomeprazole은 CYP2C19을 저해합니다. Diazepam, escitalopram, imipramine, phenytoin, warfarin 등과 같이 CYP2C19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과 병용 시 이들 약물의 혈장 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용량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 항혈전제인 clopidogrel은 전구약물(prodrug)로 간에서 CYP2C19을 통해 활성 대사체로 변환되어 작용을 합니다. Esomeprazole은 CYP2C19저해제로 clopidogrel의 활성화 작용을 방해하여 항혈전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병용 투여하지 않습니다.
- Esomeprazole은 CYP2C19과 CYP3A4에 의해 대사됩니다. 그러므로 두 가지 효소 모두를 유도하는 rifampicin과 St.John`s Wort는 esomeprazole의 약효를 저하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