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랜드 | 제품 | 국가 | 가격(위안) | 기능 | 유통경로 |
필립스(飞利浦) | | 네덜란드 | 1,099~9,999 | 정화, 제습, 가습, 포름알데히드 제거 | 온라인, 오프라인 |
샤오미(小米) |
| 중국 | 699~2,399 | 포름알데히드 및 스모그 제거, 냄새 제거 | 온라인 위주 |
Honeywell 허니웰 (霍尼韦尔) |
| 미국 | 1,749~169,999 | 포름알데히드, 연기 및 먼지 제거 | 온라인, 오프라인 |
파나소닉(松下) |
| 일본 | 699~6,999 | 포름알데히드 및 스모그 제거, 가습, 소독 | 온라인, 오프라인 |
Whirlpool 월풀 (惠而浦) | 미국 | 999~6,999 | 포름알데히드 및 스모그 제거, 연기 및 먼지 제거 | 온라인, 오프라인 | |
TCL | | 중국 | 499~16,999元 | 포름알데히드 및 냄새 제거, 음이온 정화 | 온라인, 오프라인 |
Blueair 블루에어 (布鲁雅尔) |
| 스웨덴 | 1,999~25,800 | 포름알데히드 및 스모그 제거, 음이온 정화 | 온라인, 오프라인 |
하이얼(海尔) | 중국 | 299~6,999 | 포름알데히드 및 냄새 제거, 알러지원 억제 | 온라인, 오프라인 | |
메이디(美的) | 중국 | 798~5,998 | 포름알데히드 및 스모그 제거, 먼지 및 연기 제거 | 온라인, 오프라인 |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 유통구조
ㅇ 공기청정기 판매 경로는 마트, 대리점, 가전제품 판매점과 같은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플랫폼이 있음.
중국 공기청정기 산업 사슬 개황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ㅇ 빠르게 성장하는 온라인 시장
- 2015년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 판매량이 전년대비 105.9% 증가한 가운데 온라인 시장의 소매액 증가 속도가 160%에 달해 오프라인 시장의 소매액 증가 수준을 넘어섰음.
- 2015년 공기청정기 온라인 시장의 소매 총액은 전체 시장의 약 50%를 차지하는 등 공기청정기 판매의 중요한 경로가 됐음.
□ 관세율
ㅇ 관세율
- 종합 일반세율, 최혜국 세율(MFN), 아시아 태평양 협정 세율, 한중FTA 협정 세율 중 아시아 태평양 협정 세율이 가장 관세가 낮음.
- 중국에 수출되는 한국산 가정용 공기청정기는 아시아 태평양 무역 협정 세율로 신고할 수 있음.
협정세율 비교(CIF 기준)
Hs code | 아시아 태평양 협정 세율 | 최혜국 세율 (MFN) | 일반 세율 |
8421.39.10 | 4.6% | 5.0% | 100% |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 한중 FTA 세율
년도 | 세율(%) |
MFN | 15 |
2015 | 13.95 |
2016 | 12.9 |
2017 | 11.85 |
2018 | 10.8 |
2019 | 9.75 |
양허유형 | PR-35 |
주: PR-35는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기준세율의 35%를 5년간 매년 균등 인하한다는 의미로 이행 5년차 1월 1일부터 기준세율의 65%를 유지
자료: FTA 협정문
□ 인증제도
ㅇ 중국 품질인증센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3C 강제 인증의 범위에는 없지만 기업체는 CQC마크를 통해 제품이 품질, 안전, 성능, 전자파 적합성 등의 인증 요구사항에 부합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음.
ㅇ 중국 품질인증센터(中国质量认证中心)의 자율인증(CQC)
- 적용범위: 단상 액정전압이 250V 이하, 기타 액정전압이 480V 이하인 가정용과 유사용도의 공기청정기
· 공업용으로 설계된 공기청정기, 부식성과 폭발성가스(분진, 증기와 메탄가스 등)가 자주 발생되는 특수 환경에 사용되는 공기청정기, 의료용 공기청정기 등 제외
- 절차
① 신청서 제출(www.cqc.com.cn), 신청 접수 완료 후, 필요서류 제출
② 제품 검사(요구에 따라 샘플을 중국 시험소에 송부해 진행)
③ 초기 공장 검사(중국 CQC에서 검사인원 파견), 라벨 승인
④ 사후관리(인증서 발급 후 매년 1회씩 정기 사후관리(공장검 사) 실시)
- 준비서류
① 신청자료: 신청서, 공장검사조사표(초기신청 시), 브랜드 사용성명서(필요 시)
② 증명자료
· 신청인, 제조상, 생산자의 등록증명서, 영업집조(사업자등록증), 조직기구코드(초기신청 시)
· 신청인이 판매자, 수입상일 경우 생산자와의 계약서 부본
· 유효한 감독 검사 보고서 혹은 공장 검사 보고서(있을 경우)
· 지정된 테스트 기관의 테스트 리포트, 기타 필요한 서류
③ 제품 관련 자료
· 제품 조립도, 전기 계통도, 제품 설명서
· 관련 부품, 원자재(여과기, 첨가제 등), 부품 리스트
· 동일 신청단위(unit) 내 모델별 차이 설명
· Declaration of conformity(여과재 구성, 첨가제 성분, 청정기능 설명 등)
- 샘플 수량
· 안전과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인증 신청 시 동일 신청단위(unit) 중 메인모델 2대, 커버리지모델(Coverage model) 1대
· 안전과 EMC인증 신청 시 제균, 정화, 에너지절감, 환경보호인증 중의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를 동시에 신청할 경우 동일 신청단위(unit) 중 메인 모델 2대, 커버리지 모델(Coverage model) 1대
· 안전과 EMC 인증 취득 후 제균, 정화, 에너지절감, 환경보호 인증 중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를 신청할 경우 2대/단위(unit) 이상
- 인증취득 후 사용가능한 마크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 시사점
ㅇ 기업은 제품의 스마트화 및 친환경 부문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함.
- 소비자들의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공기 오염이 자신의 삶에 끼치는 영향을 민감하게 느끼고 있음.
- 소비자의 소비 수준이 높아지고 공기청정기 제품에 대한 선택이 합리화 되고 있음. 소비자들은 가격, 외관 및 풍량 등에 주목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치, 품질, 기술, 성능, 전문적 서비스 등 종합적인 측면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됨. 특히, 친환경과 에너지 절약, 그리고 스마트화된 제품이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임.
ㅇ 제품 기능은 단일화에서 다양화로 발전 되어왔고, 앞으로도 더욱 세분화 될 것임.
- 과거 중국의 스모그는 소비자들에게 실내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인식시켰음. 하지만,최근에는 실내 환경 오염으로 중점이 바뀌고 있음. 이전의 '스모그 제거' 기능에 대한 관심도는 줄어들고 있고 최근에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기능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
- 공기청정기 제품 기능도 시장 수요에 맞춰 세분화되고 있음. 이미 시장에는 산모·유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주문제작형 공기청정기, 의료용 살균 공기청정기, 산소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공기청정기, 그리고 가습 및 제습형 공기청정기 등이 등장하며 공기청정기 시장이 다양해지는 추세임.
ㅇ 잠재력은 크지만 제품 경쟁력 갖춰야 승산이 있는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
- KOTRA 상하이 무역관이 인터뷰한 중국 전자상회(中国电子商会) 관계자는 “비록 현재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이 아주 좋다고 볼 수 없고 또한 가격 경쟁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여전히 중국에서 아주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히며, “소비의 고급화가 진행되면 이러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건강 가전제품의 전망은 더욱 좋아질 것이다."라고 언급함. 또한 관계자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멀리 보는 안목과 확실한 제품 전략이 필요하다.”라며 인터뷰를 마무리함.
- 2018년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 매출은 2017년에 비해 하락했지만 소비자의 소득수준 향상 및 높은 공기질 요구에 따라 꾸준히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은 2019년 3월 기준 필립스(점유율 11.6%)와 샤오미(10.9%)를 제외하면 시장점유율 10% 이상을 기록하는 브랜드가 없는 상황으로 여전히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음. 다만, 소비자의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춰야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승산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자료: 한국무역협회, 치엔잔산업연구원, 중상정보망, 중국산업정보망 韩国贸易协会,前瞻产业研究院,中商情报网,中国产业信息网,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