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유입된 것은 지난해 12월1일이다. 해외에선 경증으로 지나간다는 보고가 잇따랐지만, 국내에서도 같을지 확인이 필요했다. 지난 1월12일 국립중앙의료원이 진행한 국내 첫 임상 결과가 보고됐다. 초기 오미크론 확진자 40명을 관찰·분석한 결과 47.5%가 무증상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약한 감기 증상을 보였다는 내용이었다.
23일 정부가 밝힌 오미크론 치명률은 0.18%로 델타(0.7%)의 4분의 1 수준으로 파악됐다. 백신 3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라면 오미크론 치명률은 0.08%로 계절 독감(0.05~0.1%)과 유사하거나 낮게 평가됐다. 오미크론 누적 확진자가 늘어난 상황에서, 국립중앙의료원의 초기 임상 결과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오미크론 위험이 델타의 4분의 1 또는 그 이하 수준으로, 계절 독감보다도 낮은 수준이 됐다며 확진자 규모가 크게 늘고 있지만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주 원장은 1999년부터 한림대 의대 성심병원에서 교수로 일했고 2020년부터 국립중앙의료원 기획조정실장, 공공보건의료본부장을 지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중앙감염병병원으로서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상 배정·전원을 총괄하는 공공병원이다. 현재 신규 확진자수가 17만명을 넘어섰으며 위중증 환자도 최대 2500명까지도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병상 부족 사태가 재발하지 않을까 우려가 나오지만 주 원장은 위기 상황은 아니라며, 최근 현장의 일선 의사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환자들의 증상은 경미하고, 3일이면 대부분 사라진다고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고령층의 치명률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중환자, 입원 환자 상황을 보면 호흡기계가 나빠지거나 폐렴이 생긴 환자는 적고, 다른 요인으로 중환자가 될 수 있는 분들 중에 오미크론 감염이 된 경우가 많다. 고령층의 치명률도 델타 때보다는 낮게 나타난다. 해외보다도 더 낮은 치명률 통계가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 치명률이 낮은 이유는 예방접종이다. 해외 어느 나라보다 예방접종 완료율이 높다. 최근에 10만명대 확진자가 나오기까지 한 달여 시간이 걸렸지만 중환자와 사망자 수가 앞선 유행 때와 규모가 다르다. 그리고 중환자의 특징도 다르다. 오미크론 자체가 중증도가 낮지만, 해외보다도 더 낮은 건 예방접종의 효과가 확실하다.
오미크론 유행은 한 달 안에 정점을 지날 것으로 본다. 검사·진료체계 전환은 가야 할 방향이고, 준비 과정에서 역량 부족이 드러났던 것 같다. 확진자 수에 매몰되지 말고, 중환자·사망자 발생 규모, 치명률 등을 기준으로 보면서 일상적인 의료체계가 더 적극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면 오미크론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이제는 자율과 책임에 근거한 방역을 해야 한다. 마스크를 쓰면 나와 타인을 보호하고, 조금 덜 만나면 전파가 덜 이뤄진다는 생각으로 각자가 조심하면 어느 정도의 방역이 작동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