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시황. Hi~ 팔만전자. 그러나 증시는
월러 매파적 발언, 종목 장세 엇갈리며 혼조세
코스피는 대형주 매물 출회되며 하락
삼성전자 제외한 시총 상위 하락 종목이 많았음
코스닥은 전일 급락한 일부 대형주 반등하며 보합권
양시장 모두 하락 종목수가 많아 차별화 장세 지속
해외 증시 영향은 주로 업종과 금리
국채 금리는 7년물 입찰 호조에 하락
마감 후 월러 매파적 발언이 전해짐
금리 결정 전 데이터 봐야 한다고 언급
아울러 인하 시기. 횟수 조절해야 한다는 취지
기본 성향 자체가 매파적이라 새로운 내용은 아님
다만 4.2%로 내려갔던 금리가 4.21%로 다시 상승
증시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종목별 이슈가 만들어지며 차별화 장세
삼성전자 상대적 저평가, HBM 기대 이어지며 상승
21년 12월 24일 이 후 처음 8만원 돌파
8일 연속 거래대금 1조원 넘기며 주목도 높이는 모습
삼성전자 강세에 반도체주들도 상승
최근 실적 기대감에 상승 중인 화장품주 오늘도 강세
미국 태양광 ETF 급등에 관련주도 상승
그 외에는 업종 내에서 종목들이 따로 움직이는 양상
밸류업으로 오르던 종목들은 대체로 부진
증권, 철강, 자동차 등은 매물 출회
외국인 오전에는 금융, 기계 위주 매수
오후들어 전기전자에 매수 집중
전기전자 업종 최근 7일간 약4.5조원 매수
운수장비, 철강, 화학 업종은 매도
코스닥은 반도체, IT 부품 매수, 제약 매도
기관은 전기전자, 의약품, 서비스 매수. 운수장비, 금융 매도
코스닥은 일부 이차전지, 제약, 엔터 매수
올해 외국인은 코스피 15조원 가량 순매수
현재만으로도 역대 4위권 순매수
1조원 이상 매수 종목은 4개임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삼성물산
반도체, 자동차, 금융 업종이 대부분 상위
그 외 방산과 삼성바이오 정도 포함
증시 전체를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타켓을 두는 매수
2분기 이 후 이런 흐름에 변화가 생기는지 주목해 볼만
최근 미국 증시 보면 엔비디아 보다 마이크론이 더 오름
핵심 이슈 대장주에서 연관되는 종목으로 이동하는 것
가격 부담 큰 종목 대안주를 찾는 일부 투자자들이 등장
이런 흐름이 증시에 나타나며 우리 증시도 소외주들 반등
강세 대장주와 이런 부류 종목들 분산도 염두해 둘만
증시 자체는 차별화가 이어지는 장세
실적주들, 수급 변화있는 종목들 관심 지속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