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이동활의 음악정원 ♣ 원문보기 글쓴이: 블루로즈
625 전쟁 67주년(특집) (종군사진작가 임인식 중위의 작품)
임인식, 고향집의 추수, 평북 정주, 1937년
옛 제주 도청 앞 양떼들. 201 x 248mm, 1948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식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원수
임인식 사진대장과 처칠 영국 총리의 아들 랜돌프 처칠 기자 1950. 8.
윈스턴 처칠 총리의 아들 랜돌프 처칠은 영국군 소속 종군기자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8월 낙동강 왜관 부근 다부동에서 임인식 종군사진대장(왼쪽)과 처칠이 함께 찍은 사진.
한강 피난행렬. 1950년 6월30일
폭파된 한강철교 옆에 만든 임시 부교를 건너는 피난민. 피난민들은 소에 짐을 싣고 가다 식량이 떨어지면 잡아먹기도 했다.
북한군 진격을 막기 위해 한강인도교와 한강철교가 폭파됐다. 영등포 쪽에서 촬영.
끔찍한 전쟁 속에서도 군인들의 사기를 높이고 마음을 달래주는 다양한 공연들이 이어졌다.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군예대를 조직해 트럭과 천막을 무대 삼아 재담과 노래로 공연을 펼쳤다. 초가집 위에 올라가 위문공연을 보는 군인들의 모습. 지붕이 위태로워 보일 정도다
학도의용군 학도의용군 지원을 독려하기 위해 서울 성동공업중학교 자치회가 내건 펼침 막 앞에서 어린 학생이 입대를 다짐하고 있다.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입대축하식 모습. 왼쪽 뒤편으로 환구단 건물이 보인다.
전선으로 소송되는 무기와 물자를 나르고 있다
임인식, 서울탈환작전. 국군과 해병대가 중앙청 입성하는 모습, 1950년 9월 28일
사진가 임인식이 서울 수복 작전이 실시되는 동안 폐허가 된 숭례문 주변을 찍은 모습. 1950년.
임인식,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서울 시청 앞, 1950년 10월
사진가 임인식이 찍은 폐허가 된 서울 모습.
1950년 10월. 6.25로 소실된 보신각종
맥아더 장군과 정일권 대령
1950년 10월 21일 평양시민 환영대회 단상에 나타난 이승만 대통령.
국군위문공연. 1950.10.
궁의 정문으로서의 위상을 상실한 광화문은 한국전쟁 당시 문루가 불에 타 육축만 남았다.
지금의 장안문과 비교해보면 전쟁 이후 얼마나 눈부신 발전을 이뤘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쟁의 상처를 잊지 않기 위해 이 모습을 보존하는 것도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1951년 중) 임인식
문제안 종군작가와 임인식 .
백선엽 소장이 걸어 나오고 있다. 1953.4.21.
문산에서 이화여중 무용 공연
한강철교 복원 기념 이승만대통령과 밴프리트 장군. 1953.
저 동그란 구조물은 정자다. 시멘트로 지은 현대식 정자인데, 전쟁의 흔적인지 중간중간 이빨이 빠진 듯 생채기가 있다.
서울 남대문시장 안 풍경과 인파.1953.
팔당 낙조와 나룻배. 팔당 낙조와 나룻배
임인식의 '한강의 얼음장사들' .1953.1.
전쟁이 끝난 뒤에도 파괴된 서울은 한동안 폐허지경이었다. 지금의 건국대 부근
1950년대 항공사진
이 사진은 사진작가인 고(故) 임인식씨가 1954년 경비행기를 타고 하늘에서 촬영한 가회동의 한옥 전경.
경복궁의 모습 . 1954. 임인식 촬영
1954년 하늘에서 본 경복궁 그 뒤로 경회루, 향원정 등이 보인다. 경복궁 동쪽으로 사간동 삼청동 일대에 한옥이 빼곡하다.
주변의 공터는 전쟁중 포격으로 집이 사라졌기 때문, 6ㆍ25 전쟁 중 용산 일대에서 격전이 벌어졌다. 이후 삼각지에는 고가차도가 들어섰다가 최근 다시 대로로 바뀌었다. 왼쪽에 상명여고가 보인다.
한국전 직후 민간인으로 최초로 찍은 항공사진.1954.
동대문 주변과 종로거리. 1955. 동대문 주변 종로 그리고 이대부속 병원
임인식 선생 집은 가회동이었다. 그 가회동 집에서 1954년 어느 날 점심을 먹고 있는 임인식 선생의 동생이다.
24.5 x 20.1 cm, gelatin silver print, 1955
1956년 가회동과 제동 사이의 도로를 마차를 이용해 포장하는 모습
임인식 '남한산성 동문'(1958년)
임인식의 1950년대 한강변 사진
북한산 비보봉 정상의 신라 진흥왕 순수비. 1961. 북한산에 있었던 신라 진흥왕 순수비입니다. 지금은 보존을 위해 경복궁에 잠시 옮겨 놓았다가 국립 박물관에 보관 중
---비전통신에서 옮겨온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