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중 시황] 깔딱고개 KOSPI 2,700선. 고용지표 확인 필요 [FICC리서치부 전략/시황: 이경민]
- KOSPI는 외국인, 기관 순매수로 약 +0.2% 소폭 상승. 미국 5월 FOMC 금리 동결 했으나, 비둘기파적인 해석으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원/달러 환율 하락 지속. 이와 더불어 미국 빅테크 호실적으로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대 요인. 그러나 선물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2거래일 연속 약 1조원 순매도하여 수급 여건 악화
-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 양상.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0.3% 약세, 일본 니케이지수는 -0.1% 약 보합세인 반면, 홍콩 항셍지수는 +1.1% 강세
- 원/달러 환율은 -11.7원 하락한 1,364.2원으로 거래. 5월 FOMC에서 파월 의장이 금리인상 가능성 일축하며 2거래일 연속 하락
- 5월 FOMC는 시장에 우호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양상. 6월부터 월 QT 목표 금액이 950억달러에서 600억 달러로 축소된다는 점에 주목. 연준의 통화정책 스탠스가 긴축 강화가 아닌 완화임을 시사. 금리인하 시점이 지연되었을 뿐 통화정책 방향성은 완화적인 방향으로 이동 중
- 실제로 5월 FOMC 직전 5.046%까지 상승했던 12월 내재금리가 4.929%로 하락.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4.6% 밑으로 내려왔고, 달러 인덱스도 105p 초반으로 낮아짐. FED Watch 기준 금리인하 시작 시점도 24년 12월에서 9월로 일부 정상화 됨. 과도한 통화정책에 대한 불안심리가 해소되었다고는 보기 어렵겠지만, 진정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음
- 오늘 새벽 미국 증시가 강세 마감했음에도 불구하고 KOSPI는 다시 2,700선 안착에 실패, 장 중 상승폭 축소. 지난 2거래일 동안 미국증시 하락보다 선방한 상황에서 한국만 대체 공휴일로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오늘 밤 미국 4월 고용지표에 대한 경계심리 영향으로 판단
- 미국 4월 고용지표는 3월대비 둔화 예상. 비농업취업자수 24만명대로 3월 30.3만명에서 둔화, 23년 12월 이후 최저치. 주목할 부분은 임금상승률. 현재 컨센서스는 4.0%로 3개월 둔화 기대. 예상대로 둔화세를 이어갈 경우 과도한 통화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시 한 번 정상화되겠지만,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다시 통화정책 우려가 커질 수 있음
- 통화정책에 대한 불안심리가 여전히 팽배한 상황. 파월 연준의장이 반복적으로 언급해 온 Data가 필요. 단기적으로는 경제지표, 물가지표 결과에 따른 일희일비가 지속되고, 스트레스가 좀 더 이어질 수 있음. 그러나 연준의 완화적인 스탠스를 확인한 만큼 과도한 불안심리는 점차 정상화될 전망. 5월초 단기 등락은 트레이딩 기회로 판단
- 업종별로는 섬유,의복(+1.5%) 강세. 특히, F&F(+3.1%)가 중국 경기확장 모멘텀으로 외국인, 기관 순매수세에 힘입어 강세. 뒤이어, 서비스업(+1.3%) 강세. 그중 이노션(+4.0%), NAVER(+3.0%)는 1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강세 전개. 철강및금속(+1.1%)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반사수혜 기대감이 유효한 상황 속 강세. 특히, 세아베스틸지주(+5.9%)는 긍정적 가이던스 발표로 급등했고, 풍산(+1.1%)은 52주 신고가를 경신. 반면, 운수장비(-2.0%) 약세. 자동차 업종은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이 축소된 가운데 약세 전개. 우주항공산업 테마로 상승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2.0%), 한국항공우주(-1.7%)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어 약세 전환. 뒤이어, 건설업(-1.1%), 운수창고(-0.6%) 약세
- KOSDAQ은 외국인이 순매수하고 기관이 순매도하는 상황 속 보합세. 업종별로는 오락,문화(+2.1%) 강세. 그중 엔터 업종은 하이브가 어도어 이슈로 급락했고, 반발매수세 유입에 따른 순환매와 최근 부진한 주가로 저가매수세 유입되어 강세. 특히, 에스엠(+4.8%)은 6거래일 연속 외국인이 순매수. 뒤이어, 섬유,의류(+1.8%) 업종 순환매 장세. 뒤이어, IT S/W(+1.0%) 강세. 그중 의료용 AI 테마로 셀바스AI(+1.6%)가 상승. 반면, 종이,목재(-2.2%) 약세. 전일 강세에 따라 주가가 조정받는 모습. 뒤이어, 일반전기전자(-1.0%), 건설(-0.9%) 약세
[대신증권 투자전략/시황 텔레그램 채널]
https://t.me/daishinstrategy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