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91년 정보통신운용기능사2급으로 신설(대통령령 제13494호, 1991.10.31)--> 1995년 정보기기운용기능사로 변경(대통령령 제14783호, 1995.10.16) |
|
컴퓨터 및 정보기기 등의 운용지식을 활용하여, 정보기기 및 통신장비의 설치․시험․조작․정비․검사 등에 관한 직무를 수행 |
|
|
|
한국기술자격검정원 |
|
- 관공서, 공공단체, 일반기업의 전산실, 전송실, 통제실 등에서 정보통신관련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 정보화사회인 오늘날 각 기업체 및 공공기관 등에서 정보전산망의 확충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런 만큼 정보통신기기를 숙련되게 조작할 수 있는 인력을 보 유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므로 관련 숙련기능인의 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수요에 발맞춰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고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다. |
|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10 |
16,270 |
8,297 |
51% |
44,234 |
36,424 |
82.3%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9 |
22,578 |
11,962 |
53% |
47,478 |
38,292 |
80.7%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8 |
27,657 |
12,939 |
46.8% |
45,482 |
37,023 |
81.4%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7 |
29,478 |
16,430 |
55.7% |
50,236 |
38,950 |
77.5%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6 |
33,739 |
21,440 |
63.5% |
53,240 |
41,460 |
77.9%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5 |
34,280 |
19,752 |
57.6% |
49,677 |
38,525 |
77.6%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4 |
35,579 |
19,006 |
53.4% |
52,053 |
38,674 |
74.3%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3 |
45,986 |
23,549 |
51.2% |
59,294 |
43,760 |
73.8%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2 |
60,461 |
25,614 |
42.4% |
67,205 |
40,006 |
59.5%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2001 |
85,702 |
33,598 |
39.2% |
84,510 |
47,530 |
56.2%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1992.2000 |
639,002 |
246,842 |
38.6% |
587,524 |
322,115 |
54.8% |
소 계 |
1,030,732 |
439,429 |
42.6 |
1,140,933 |
722,759 |
63.3 |
|
- 실기 : 20900 |
- 필기 : 11000 |
|
- 정보통신 광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스위칭 및 라우터 설정, Ping 테스트 등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작업 수행 |
|
① 시 행 처 : 한국기술자격검정원 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자계산과, 전자계산기과, 정보처리과 등 관련학과 ③ 훈련기관 : 일반사설학원 ④ 시험과목 - 필기 : 1.전자계산기일반 2.정보기기일반 3.정보통신일반 4.정보통신업무규정 - 실기 : 정보통신 운용 실무 ⑤ 검정방법 -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1시간 30분 정도) ⑥ 합격기준 -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분야 |
통신 |
자격 종목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적용 기간 |
2011. 1. 1 ~ 2013. 12. 31 | |||||||
○직무내용 : 컴퓨터 및 통신기기 등의 운용지식을 활용하여, 정보기기 및 통신장비의 설치․시험․조작․정비․검사 등에 관한 직무를 수행 | ||||||||||||
필기시험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60 |
시험시간 |
1시간 | |||||||
필 기 과목명 |
출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 부 항 목 |
세 세 항 목 | ||||||||
전자계산기일반, 정보기기일반, 정보통신일반, 정보통신업무규정 |
60 |
1. 컴퓨터의 개요 |
1. 컴퓨터의 개념 |
1. 컴퓨터의 정의 2. 컴퓨터의 기능 3. 컴퓨터의 특징 | ||||||||
2. 컴퓨터의 발달 과정 |
1. 컴퓨터의 역사 2. 컴퓨터의 세대별 구분 | |||||||||||
3. 컴퓨터의 분류 및 응용 |
1. 데이터 취급형태에 의한 분류 2. 용도에 의한 분류 3. 처리능력에 의한 분류 | |||||||||||
2. 컴퓨터의 구성 |
1. 중앙처리장치 |
1.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2. 제어장치 3. 연산장치 4. 명령과 주소지정방식 | ||||||||||
2. 기억장치 |
1. 기억장치의 기능 2. 기억장치의 종류 3. 기억장치의 계층 | |||||||||||
3. 입․출력장치 |
1. 입출력장치의 개요 2. 입출력장치의 종류 3. 입출력제어방식 4. 입출력채널의 개념 및 종류 5. 인터럽트의 개념과 체제 | |||||||||||
3. 자료의 표현 |
1. 수의변환과 연산 |
1. 수의 표현 2. 수의 변환 3. 수의 연산 | ||||||||||
2. 자료의 구성과 표현방식 |
1. 자료의 구성 2. 자료 구조 3. 자료의 표현방식 (문자형, 수치형) | |||||||||||
4. 논리회로 |
1. 기본논리회로 |
1. 불 대수 2. 기본논리게이트 3. 불함수 | ||||||||||
2. 응용논리회로 |
1. 조합논리회로 2. 순서논리회로 3. 디지털IC논리회로 | |||||||||||
5. 기본프로그램 |
1. 프로그램 |
1. 프로그램의 개념 2. 프로그램의 설계와 구현 | ||||||||||
2. 순서도 |
1. 순서도의 개념 2. 순서도의 작성방법 3. 순서도의 기호 4. 순서도의 종류 | |||||||||||
필 기 과목명 |
출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 부 항 목 |
세 세 항 목 |
|
|
|
3. 프로그래밍언어 |
1. 프로그래밍언어의 개념 2. 프로그래밍언어의 절차 3. 프로그래밍언어의 구분 및 특징
|
6. 운영체제와 기본 소프트웨어 |
1. 운영체제(OS) |
1. 운영체제의 개념 2. 운영체제의 목적 3. 운영체제의 구성 4. 운영체제의 기법 등
| ||
2.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기본 |
1. 워드프로세서 2. 엑셀 3. 파워포인트 4. 기타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기본(개인정보보호 기타 정보보호 관련 조항에 한정)
| |||
7. 전기․전자 기초이론 |
1. 전류의 개념 |
1. 직류의 개념 2. 교류의 개념 3. 기타 전류의 개념
| ||
2. 전압, 저항 |
1. 전압의 개념과 특징 2. 저항의 개념과 특징
| |||
3. 전력과 열량 |
1. 전력의 개념과 특징 2. 열량의 개념과 특징 3. 관련 법칙
| |||
4. 주파수와 파형 |
1. 주파수와 파형의 개념 2. 전파의 용도 및 특성 3. 주파수의 분류
| |||
8. 정보통신기기 |
1. 정보단말기기 |
1. 정보단말기기의 개념과 특징 2. 정보단말기기의 종류와 분류
| ||
2. 신호변환기기 |
1. 신호변환기기의 개념과 특징 2. 신호변환기기의 종류와 분류
| |||
3. 정보전송기기
|
1. 정보변환기기의 개념과 특징 2. 정보변환기기의 종류와 분류
| |||
4. 화상통신기기 |
1. 화상통신기기의 개념과 특징 2. 화상통신기기의 종류와 분류
| |||
5. 관제통신기기 |
1. 관제통신기기의 개념과 특징 2. 관제통신기기의 종류와 분류
| |||
9. 사무정보기기 |
1. 사무와 자동화 |
1. 사무의 개념 2. 사무자동화 일반
| ||
2. 정보자료의 가공, 저장, 검색기기 및 시스템 |
1. 정보가공기기 및 시스템 2. 정보저장기기 및 시스템 3. 정보검색기기 및 시스템 4. 정보전달기기 및 시스템
| |||
3. 사무시스템, 사무 주변기기 및 보조기구 |
1. 기타 사무기기 및 시스템
|
필 기 과목명 |
출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 부 항 목 |
세 세 항 목 |
|
|
10. 기기운용관리 |
1. 정보기기의 조작운용․관리방법 |
1. 정보기기의 운용 및 보전 관리의 개념 2. 운용, 보전 관리을 위한 검사 및 분석 방법
|
2. 정보기억 매체의 보호, 운용 및 관리방법 |
1. 전기적 보호 장치와 설비 공사 2. 기록 매체의 보호와 예방
| |||
3. 정보기기 관련 기술기준 및 환경기준 |
1. 정보기기 관련 기술 기준 2. 정보기기 관련 환경 기준
| |||
11. 정보통신 개요 |
1. 정보와 정보통신의 개념 |
1. 정보의 개념 2. 정보통신의 개념
| ||
2. 정보통신 관련 용어의 정의 |
1. 신기술 관련 용어 2. 정보통신 용어의 정의
| |||
12. 정보전송 회선 |
1. 전송선로의 종류와 특성 |
1. 전송선로의 종류 2. 전송선로의 특성
| ||
2. 통신속도 및 통신 용량 |
1. 통신속도 및 통신용량
| |||
13. 정보전송 |
1. 전송부호의 종류 및 특성 |
1. 전송부호의 종류 2. 전송부호의 특성
| ||
2. 정보 전송방식 |
1. 기저대역 전송 2. 광대역 전송
| |||
3. 신호 변환방식 |
1. 변조방식 2. 복조방식
| |||
4. 전송에러 제어방식 |
1. 에러제어의 개요 2. 에러제어 방식의 종류와 특성
| |||
14. 정보통신 설비 |
1. 정보전송 설비 |
1. 데이터회선 종단장치 2. 다중화 및 역다중화기
| ||
2. 정보교환 설비 |
1. 회선교환설비 2. 패킷교환설비 3. 인터넷전화․교환기(IPT)
| |||
15. 통신프로토콜 |
1. 프로토콜의 개요 |
1. 통신프로토콜의 기초 2. 통신프로토콜의 종류 및 특성
| ||
2. OSI 7 Layer |
1. 프로토콜의 구조 및 기능 2. 계층별 특성
| |||
3. 기타 통신규약 |
1. 기타 통신프로토콜의 종류와 특성
| |||
16. 정보통신망 |
1. 정보통신망의 기본 구성 |
1. 정보통신망의 개념 2. 정보통신망의 구성
| ||
2. 정보통신망의 종류 및 특성 |
1. 정보통신망의 종류 2. 정보통신망의 특성
|
필 기 과목명 |
출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 부 항 목 |
세 세 항 목 |
|
|
17. 뉴미디어 |
1. 뉴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
1. 뉴미디어의 종류 2. 뉴미디어의 특성
|
2. 멀티미디어 |
1. 멀티미디어의 개요 2.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
| |||
18. 정보통신의 관장과 경영 |
1. 정보통신 관련 법령 용어의 정의 및 일반사항 |
1. 정보통신 관련 법령용어 정의 2. 정보통신 관련법령 일반사항
| ||
2. 정보통신의 관장과 경영 |
1. 정보통신의 관장 2. 정보통신의 경영
| |||
3. 정보통신 역무의 종류 |
1. 정보통신 역무의 종류
| |||
19. 정보통신의 기술기준 |
1.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 및 정보기기인증에 관한 규칙 중 정보통신 업무에 필요한 사항 |
1.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 규칙중 정보 통신 업무에 필요한 사항 2. 정보기기인증 규칙 중 정보통신업무에 필요한 사항
| ||
20. 정보통신의 이용 조건 |
1. 정보통신 서비스의 제공과 이용 조건에 관한 사항 |
1. 정보통신서비스의 제공과 이용조건에 관한 사항
| ||
21. 정보통신 비밀 관리 |
1. 정보통신 비밀 보호조치 |
1. 불법정보의 유통금지 2. 정보보호조치 3. 통신비밀 조치
| ||
2. 정보통신 역무의 제공자, 종사자, 이용자의 준수사항 |
1. 정보통신역무의 제공자, 종사자, 이용자의 준수사항
| |||
22. 전기통신설비의 관장과 경영 |
1. 전기통신 용어의 정의 |
1. 전기통신 용어의 정의
| ||
2. 통신의 관장과 경영 |
1. 통신의 관장과 경영
| |||
3. 통신기술의 진흥과 시책 |
1. 통신기술의 진흥과 시책
| |||
4. 통신사업의 종류와 경영 |
1. 통신사업의 종류와 경영
| |||
5. 통신역무의 종류와 경영 |
1. 통신역무의 종류와 경영
| |||
23. 선로설비의 기술 기준 |
1. 전송품질과 전송기준 |
1. 전기통신기본법에 관한 일반사항 2. 전기통신사업법에 관한 일반사항 3. 정보통신사업법에 관한 일반사항 4. 전송품질과 전송기준
| ||
2. 강전류 전선에 대한 보호대책 기준 |
1. 강전류 전선에 대한 보호대책 기준
| |||
3.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 중 선로 설비에 관한 사항 |
1.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 중 선로설비에 관한 사항
| |||
4. 선로설비 관련 공사기준 |
1. 선로설비 관련 공사기준
| |||
5. 선로설비의 시설공법 중 기본적인 사항 |
1. 선로설비의 시설공법 중 기본적인 사항
| |||
24. 선로설비의 보전 기준 |
1. 선로설비의 유지보수 및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
1. 보호기 및 접지에 관한 사항 2. 선로설비의 유지보수 및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
출 제 기 준(실기)
분야 |
통 신 |
자격 종목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적용 기간 |
2011. 1. 1 ~ 2013. 12. 31 | ||
○ 직무내용 : 컴퓨터 및 통신기기 등의 운용지식을 활용하여, 정보기기 및 통신장비의 설치․시험․조작․ 정비․검사 등에 관한 직무를 수행 ○ 수행준거 : 1. 컴퓨터 및 통신기기에 대한 지식 및 기능을 활용 할 수 있다. 2. 컴퓨터 주변기기에 대한 지식 및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3. 통신망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운용을 할 수 있다. 4. 정보기기 운용에 필요한 정보검색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작업형 |
시험시간 |
1시간 정도 |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 부 항 목 |
세 세 항 목 | ||||
정보기기 운용 실무 |
1. 컴퓨터 및 통신기기의 활용 |
1. 컴퓨터 관련 기초 실무 |
1. 컴퓨터의 구성 및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2. 컴퓨터 주변기기 관련 기초 실무 |
1. 컴퓨터 주변기기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3. 통신기기 관련 기초 실무 |
1. 각종 통신기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통신기기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통신기기 관련 서비스를 이해하고 그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2. 정보 통신망의 운용 |
1. 정보통신망의 이해 및 활용 |
1. 정보통신망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이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3. 정보관리 작업 |
1. 정보파일의 작성 및 활용 |
1. 정보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가공․저장․압축․해제 및 전송 할 수 있어야 한다.
| |||||
2. 정보검색 및 활용 |
1. 정보기기 운용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 및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