思=si 西=xi 是=she 喜=xi 式=shi 食=shi 設=she 示=shi 使=shi 北京=베이찡. 南京=난찡
誠=cheng= 氏征切 記=ji= 居里切 讀=徒谷切 謹=居隱切
위의 발음을 보면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은 처음부터달랏다
중국은 誠 자를 청으로 읽지만 한국은 성자로 발음한다 記자는 찌이인으로 발음하지만 설문해자를 보면 우리말로 기로 소리난다 讀 謹도 현재 우리말과 같다
설문해자나 강희자전이나 현재중국어나 발음 은 별로 변한것이 없다
삼강오륜 관혼상제의 삼년상과 제사 일년삼백육십오일 윤달 윤년 춘분 추분 동지 구정 달력에 에 일진을 사용하고 길이에 자 치 푼 부피에 작 홉 되 말 섬 무개에 양 돈 근 관을 사용하는 것은(堯.舜)唐虞시대 4300년전 유교경전에 나오는 민속이니 아마 그때부터우리는甲子를 갑자 로 읽고 중국은 지아즈로 발음하지 않앗나 십내요
(정약용의 갑을론에 요임금이 등극 한날이 갑자일이라고 하였으니까)
정성(성)자가 중국어에서는 (청)자로 발음되는데 설문헤자의 발음기호를 보면 (시)자의 초성(ㅅ)과( 정)자의 중성종성(ㅓㅇ)을 합하면 우리말 (성)으로 발음된다.
기록할記자도 중국은 (찌이이)로발음하지만 설문해자의 발음법을 보면살거자의초성(ㄱ)마을 리자의 (ㅣ)를 합하면 우리말 (기)로발음된다.
讀자도 중국어는 du dou 뚜우혹은 또오우,로 발음하는데 한국어로는 무리도 자의 초성 (ㄷ)과 골짜기 곡 자의 중성(ㅗ)와 밭침 (ㄱ)을 합하면 독으로 소리난다 .
謹자도 jin중국어로 ( 찌이인) 그런데 한국어로는 살거의 초성(ㄱ)숨을은자의 중성(ㅡ)종성((ㄴ)을 합하면 근 으로 소리난다
그래사 한국 한자의 발음은 이천년 전이나 사천년전이나 지금이나 말과 민속이 같이 전해져 발음이 같다고 추정된다.
한국힌자를 천자책정도만 아는 사람이 설문해자를 보면 한국사람이 처음 영한사전을 보는것같다 .
중국어사전을 보는데 찾아야 할 글자가 한국 한자이고 설명이 한국 한자라면 어떤기분일까요.
영어 독어 불어는 구분하면서 중국사람들도 모르는 한국한자를 중국어라고 우기는 우리나라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