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곡성에 대한 후기가 여기저기 넘쳐나고 있는데
그 많은 후기 중 일부를 읽고
짜깁기로 내용을 정리해 보려 합니다.
다른 후기나 영화평을 많이 참고한 거라
이미 아시는 내용들도 있을 테지만
영화 보신 분들과 조금이라도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정리해 봅니다.
1. 이 영화의 핵심은 영화 시작 전에 나오는 성경 구절이라 생각합니다.
그 성경 구절은 어느 영화평에서 보니(출처는 기억이 잘;;;)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지 사흘만에 부활하여
그의 제자들 앞에 나타났을 때 한 말이라고 합니다.
죽었다 살아난 예수를
그의 제자들조차 믿지 못하고 귀신이 아닌가 '의심'을 하자
예수가 "나의 뼈와 살을 만져 보아라... 왜 내가 예수임을 의심을 하느냐"라는
논지의 성경구절이라고 합니다.
예수를 믿었던 제자들마저도 의심하게 만드는 상황
무엇인가를 진심으로 믿지 못하는 상황
그런 상황과 태도와 생각들에 대한 영화가
곡성이라고 생각합니다.
2. 예수와 악마의 실체
예수가 십자가게 못 박혀 죽기 전
예수를 신으로 믿고 섬기는 사람들이 있었지만
그 반대편에선 예수를 믿지 않고 배척하는 사람들도 있었죠.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는 예수를
신으로 믿지 않았던 거죠.
영화 속 일본인 역시 소문으로는 귀신이다 뭐다 무성한 얘기가 오고 갔지만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는 그가 귀신이겠냐는 '의심' 역시 많았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죠.
신적인 존재가 우리 보통 사람들과 비슷한 모습일 리 없다.
마찬가지로 귀신이나 악마 역시 우리 보통 사람들의 모습일 리 없다고요.
그러나 신이나 귀신의 외적인 형상에 대한 그러한 생각은
우리들의 고정관념이나 편견일 뿐
껍데기는 어떻게든 달리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고 봅니다.
신이라 해서 꼭 공중부양을 하고 기적을 일으켜야만 신이 아니고
귀신이라 해서 입에서 불이 나오고 뿔이 나 있는 죽은 영혼처럼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3. 위에서 얘기한 이 '의심'에 대한 이야기는
마지막 결말 부분 천우희와 곽도원의 대화 장면에서도 나옵니다.
곽도원이 천우희에게 절규하며 묻죠.
왜 내 딸에게 이런 일이 생겼냐고..
내가 무슨 잘못을 했다고 왜 나에게...
그러자 천우희는 말합니다.
니 딸 애비가.. 의심을 해서라고...
'의심'이라 함은 확신이 없다는 것이고
확신이 없다는 것은 무엇인가에 '현혹'되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죠.
천우희는 우리 인간의 모든 고통은 이 의심과 현혹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반면 이에 대해 일광(황정민)은
낚시 얘기를 하며 낚시꾼이 미끼를 던져 물고기를 낚는데
모든 물고기가 걸리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일부 물고기만 걸려든다는 논지의 얘기를 합니다.
이는 악마나 귀신에 씌여(현혹되어)
우리 인간이 고통을 받는 것은
인간들 중 쉽게 외부의 자극에 현혹되는 사람들만이 그 고통에 노출된다는 의미입니다.
4. 진짜 귀신은, 진짜 악마는?
일본인과 일광 모두 악마라는 게 많은 영화후기에서 얘기되고 있습니다.
먼저 일본인은 영화 결말 부분에서
신부에게 자신의 본 모습을 보여 주었으니 악마인 게 명확하게 드러났죠.
황정민의 경우 마지막 곽도원의 가족이 살해된 뒤
그 모습을 사진으로 찍는 모습이 있었습니다.
또한 중반부에 황정민이 곽도원 앞에서 옷을 갈아 입는데
황정민의 빤쓰가 일본인의 빤스와 똑같았죠.
둘이 커플 빤스라니... 둘 다 커플 빤스라니....
5. 황정민이 굿을 하는 장면과 일본인이 의식을 하는 장면
이 둘의 굿, 의식(?) 장면에서
교차되는 장면이 곽도원의 딸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과
천우희가 일본인을 지켜 보는 모습
시체인 박춘배의 모습으로 총 5명의 모습입니다.
관객들에게는 황정민과 일본인의 대결로 보이기 쉽게 편집을 했지만
많은 영화평들을 보니
일본인은 박춘배를 좀비로 만들어
자신을 죽이러 오는 곽도원과 그 친구들을 막으려 했던 것이고
천우희는 일본인을 죽이려 했던 것이라 보여집니다.
황정민은 굿을 하는 모습 중
장승 형태의 나무를 커다란 정으로 여러 개 박는데
이는 마을의 수호신인 천우희의 힘을 억제해
곽도원의 딸을 죽이려 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6. 천우희는 곡성이라는 마을의 수호신
천우희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우리나라의 무속신앙, 전통신앙을 대표하는 존재입니다.
그 사건의 전말을 알려주며 일본인이 귀신이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냥 미친 여인의 정신 나간 이야기로 흘리게 되죠.
황정민이 갑가기 코피를 흘리며 심한 구토를 합니다.
황정민이 놀라 황급히 도망을 치죠.
곽도원의 딸을 해치려던 황정민을 마을의 수호신인 천우희가 지켜준 것이죠.
곽도원의 가족을 끝가지 지켜 주려 합니다.
이런 점에서 천우희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볼 수 있습니다.
7. 다시 황정민과 일본인
일본인이나 황정민 둘 다 곡성이라는 마을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이들 모두 외지에서 온 사람들이죠.
그런데 이들 모두가 귀신, 악령, 악마입니다.
그리고 이들때문에 마을의 모든 살인사건과 혼란이 발생하죠.
다시 한번 말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8. 무기력한 우리들...
나홍진 감독 영화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무기력함'이라 합니다.
말하고 있다고 합니다.
파국을 맞는 우리 인간들의 무기력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당신이 직접 봤냐고..
직접 보지도 않고 그걸 어떻게 확신하냐고..
그냥 병원을 믿고 맡겨 보라고 말합니다.
서양의학도 종교도 어쩔 수 없게 무기력하게 만드는 무엇이라는 겁니다.
첫댓글 시간적으로 보면 곽도원이 집에 가지않았더라도 참사는 피할수 없을것 같더군요.저는 그냥 귀신도 악령이고 그 영화에 나오는 초자연적인 존재들은 주인공이 편이 하나도 없다고 느꼈습니다.감독도 직접적으로 언급했지만
성경에서 선의 역할을 하던 존재들이 영화에서는 악의화신으로 뒤집었다는거에서 그 귀신도 역시나 악령이지 않을까 생각이들더군요
결국 믿을 놈 하나 없더라구요 ㅎㅎㅎ
좋은 글입니다 이글보고 바로 정리되네요!
다 내용에 공감하는 바입니다만,신부님이 의사말 따르란 말이 의심과 일본인에 관계가 있나하는 제 부족한 이해입니다. 일본인에 대한 인식을 하게된 사람만 피해를 입게되는 .사람은 자신이 인지한 것만 믿는다는 것잇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