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예비순환 수강하고 있는 법무행정 초시생입니다.
제가 법무행정직이다 보니, 답안에 동그라미 숫자와 작은 로마자를 활용하는 것이 익숙하여 첫 모의고사 시간에도 이렇게 답안을 써 보았는데 행정학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2) 과정설
과정설은 공익을 사익과 구별되는 별도의 실체가 아니라 ① 사익의 총합 또는 ② 사익들 간 조정의 결과로 보는 입장이다. ①설은 공리주의적 관점이라 볼 수 있는데, i) 개인의 이익을 어떻게 측정하고 합산할 것인지와 ii) 사익이 전체입장과 충돌할 경우를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②설은 다원주의적 관점에 해당하는데, i) 상충하는 사익들 간의 자동조정은 사실상 불가하므로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가 아닌지와 ii) 조직화되지 못한 소수이익은 반영되지 않아 왜곡·오도된 합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변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아 그리고 사소하지만 행정학에서는 반괄호가 양괄호보다 먼저인 게 맞는지도 질문드립니다! 찾아봐도 명쾌한 해답이 없는 것 같아서요.
일교차가 심한데 교수님 건강 유의하십시오. 늘 감사드립니다! 수업 열심히 잘 듣고 있습니다.
첫댓글 행정학에서는 문장 중간에 번호를 사용하지는 않아요. 예외적으로 어떤 규정에 따르면, 공공갈등의 해결원칙은....이런 경우엔 내용의 구분을 위해 사용하기도 해요. 기본적으로 글로 자신의 의견을 적는거라..행정학은 행정법과 달라 I 1 1) (1)순으로 사용해요. 학보 편집양식이 그렇기도 하고...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