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훈 한국사 강의와 교재 내용 관련 질문만 가능하며 그 외 질문은 무통보 삭제됩니다.
※ 질문 내용에 따라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순차 처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강의/교재명 : 2022 기출 OX
강의 구간/교재 페이지 : P83 - 29번
문의 내용 :
고려 시대에는 물건을 사고파는 상업적 거래 수단으로 면포를 사용하였다. (X)
-> 조선 전기에 상업 거래 수단으로 면포 사용
저는 고려때부터 면포로 사용하던 게 이어져서 화폐 발달 전까지(조선 전기까지) 면포를 사용했다 생각했거든요?
그러면 고려시대때 상업이 아예 없었던건 아니었잖아요. 상업이 좀 규모가 있었으니 상행위 감시하는 경시서도 있었던 게 아닌가...? 싶어서요.
관영상점이나 시전 거래에서는 면포 대신 뭘 이용했나요?
카페 게시글
강의·교재 내용 질문
2022 기출OX - p83. 29번
벨벳3
추천 0
조회 89
24.01.17 14:57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면포는 무명 즉 목화로 짠 옷감, 면화가 고려망하기 얼마 전에 도입된 것인데, 고대나 고려시대 옷감을 포라고 불렀는데 이게 면포가 아니라 삼베류 옷감의 통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