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레랑스는 굳이 한국어로 표현한다면 관용이고, 영어로 toleration, 한자로 寬容, 불어로 tolérance 정도.
앙가주망(engagement)과 함께 늘 붙어 있는 말이다.
똘레랑스는, 세 번의 극심한 갈등 끝에 탄생했다.
첫 번째는 종교개혁이다. 과거, 프랑스는 유럽에서 스페인과 함께 카톨릭 국가였다. 종교 개혁과 함께 신교의 탄생은 프랑스를 극한의 갈등으로 몰아 넣었다.
왕권이 바뀌고 전쟁이 일어나고 수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고,
수습할 가능성은 없었다. 그 과정에서 서로의 한계와 이해와 용서의 단어가 탄생했다. 똘레랑스다.
두 번째는 프랑스 대혁명이다. 왕의 도우미였던 부르주아들이 평등을 외치며 개혁을 부르짖는 과정에서 수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단두대에서 아름다운 왕비도 모가지 날아가고. 또 똘레랑스였다.
세 번째는 68 혁명이다. 68 혁명은 전세계 잘나가던 제국주의 국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일본은 적군파로, 미국은 베트남 반전운동으로.
그러나, 우리나라는 감감 무소식이었다.
박정희라는 위대하신 독재자 때문이었다.
심지어 프랑스 유학파 출신 최악의 살인마 캄보디아의 폴포트, 내가 존경하는 베트남의 호치민 조차도.
굳이 얘기하자면 박정희의 책임만은 아니다.
겨우 알려진 것이, 홍세화의 책 ‘나는 파리의 택시 운전사’였다. 나도 그때 알았다.
데모하면서 항상 부모님에게 미안했고, 법을 어긴다는 죄의식에 사로잡혔던 그 간의 고통이 한방에 해결되었다. 홍세화의 책을 읽고서였다.
얼마전, 여당의 대표를 하다가, 권력 싸움 끝에 밀려난 이준석이 방송에 나와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을 듣고 놀랐다.
저런 무식한 인간이 민주주의 국가의 대표를 했다니. 저 어린 놈이 권력에서 밀려난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었다.
전장연의 지하철 투쟁은,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고, 법을 어긴 것은 사실이나, 만약 프랑스 였다면 당연하게 시민들은 받아주었을 것이다. 똘레랑스에 의해.
사법부 역시 마찬가지다. 노동자의 데모를 법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판사들. 하긴 그들이 달달 외운 법 조문으로는 불법이 당연하니까.
법은 사회를 지탱하는 최소한의 규칙이다. 그것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처벌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법은 공화국을 만들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완성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했던 진시황은 한비자의 법가사상이 전부인줄 알고, 분서갱유로 권력을 완성하고, 그것 때문에 20 년 만에 멸망했다.
권력은 법을 애용한다. 자신들이 만들어 놓고, 자신들이 당하기도 한다.
툭하면 고소 고발이다. 여당도 야당도 마찬가지다.
어느 순간, 우리나라에 ‘법대로 하라’ 는 말이 유행처럼 번졌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서로 싸우고 터지고 해도 화해로 해결하는 일들이 다반사였지만, 지금은 어림도 없다.
세상은 법대로 되는 것인가.
국회에서 약자를 위해, 또는 정의를 위해 법을 만들지만, 사실 그것을 잘 활용하는 것은 강자다.
법은 약자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강자가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왜냐하면 강자가 법을 만들었으니까.
법대로 하자면, 할 말이 없다. 맞는 말이니까.
억울한 약자의 갈 곳은 어디인가. 무한의 팔뚝질만으로는 너무 힘겹다.
법도 약자를 도울 수 없다.
법을 최대한 활용하는 강자들 틈에서, 그들에게 작은 목소리라도 전하기 위해 약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앙가주망이다. 앙가주망은 ‘구속’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사르트르에 의해 ‘참여’의 의미가 더해진다.
약자들 끼리 모여서 연대하고 참여 할 수 밖에 없다.
앙가주망을 떠올리면 박원순이 생각나고 울고 싶다.
박원순이 만든 ‘참여연대’. 오로지 회원들의 회비만으로 운영되는 시민단체. 지금도 떳떳하게 자기 목소리를 내고 있다.
난 박원순과 함께 참여연대 초대 회원이었다. 왜 여자를 밝혀가지고.
나처럼 룸싸롱이나 갈 것이지. 거기가면 이쁜 여자들이 널려 있는데. 왜 말많은 여자를 건드려 가지고.
같은 또래의 남자의 입장에서는 울고 싶을 뿐이다.
똘레랑스와 앙가주망은 진정한 공화국 정신이다. 약자들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