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華城)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사적 제3호)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 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 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 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조 18년(1794년)에 축성공사를 시작, 2년 뒤인 1796년에 완공했으며 정약용이 성을 설계하였다.
수원화성은 거중기, 활차, 녹로 등 신기재의 발명과 활용, 동서양 축성술을 집약한 축성방법 등 18세기 과학과 건축, 예술을 살필 수 있는 대한민국 성곽 건축사상 가장 독보적인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수원화성」은 방어 기능과 성벽안에 갖추어진 4개의 성문을 비롯해 각기 다른 모양과 특성을 지닌 건축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으뜸 관광 명소’, ‘CNN선정 한국에서 가봐야 할 아름다운 곳 50곳’, 2012 한국관광을 빛낸 ‘한국관광의 별’로 선정되는 등 한국 전통역사문화의 아이콘으로 떠오르며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수원 화성
수원 화성은 전국 야경 명소들 가운데서도 아름답기로 손에 꼽히는 야경 명소이다. 수원 화성은 조선 제22대 왕인 정조대왕이 축성한 성곽으로 1997년 12월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재된 대한민국의 주요 문화재이자 수원의 랜드마크이다. 축성시 성곽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정조의 사상과 효심이 묻어나 있는 정신적·철학적 가치를 지니는 문화유산이다.
화성은 장안문, 화서문, 동북각루, 방화수류정, 북수문, 화홍문 등을 둘러볼 수 있다. 각각의 장소에는 야간 조명을 설치해 밤에도 웅장하고 기품 있는 문화재를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화홍문은 사진가들이 꼽는 야경 출사지 중 한 곳이다. 화홍문 사이로 장쾌하게 흐르는 물보라가 수문으로 넘쳐나면서 장관을 이룬다. 이처럼 멋진 광경을 모두 둘러보는데 화성어차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화성어차는 수원화성의 안과 밖을 운행하는 열차로 성곽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관광열차이다. 임금을 상징하는 용머리 형상을 한 앞부분에 이어 동력차와 관광객 탑승차량 3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관광객이 앉는 객차는 임금의 권위를 상징하는 가마를 형상화했다.
화성어차는 팔달산→화서문→장안공원→장안문→화홍문→연무대를 왕복한다. 팔달산 중턱에서 출발하면 정조대왕 동상을 지나 성안에서 밖으로 이동하며 연무대에 이른다. 서일치를 지나 오른쪽에 나타나는 서북각루 앞은 늦가을이면 억새밭의 눈부신 물결이 장관을 이룬다. 또 화서문에서 화홍문으로 가는 길에는 아름다운 무늬가 일품인 성돌들도 볼 수 있다.
야경을 즐기기에 최적인 수원 화성에서는 다채로운 밤 문화 프로그램도 마련하고 있다.
수원문화재단은 오는 14일과 15일, 7월12~13일, 8월14~15일 총 6회에 걸쳐 야경투어 프로그램 '수원화성 달빛 동행'을 운영한다. 달빛 동행은 해가 지는 오후 7시부터 화성행궁 야간 관람을 비롯해 달빛 '시조' 공연과 화성어차 탑승 등 야경에 흠뻑 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됐다. 또, 오는 8월9일부터 11일에는 수원 화성행궁과 행궁광장 일원에서 2019 수원문화재 야행 행사가 열린다. 야경(밤에 비춰보는 문화재), 야로(밤에 걷는 거리), 야사(밤에 듣는 역사이야기), 야화(밤에 보는 그림), 야시(진상품, 장시이야기), 야숙(문화재에서 하룻밤), 야식(밤에 즐기는 음식), 야설(밤에 감상하는 공연) 등 8가지의 밤 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소개된다.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한 수원문화재 야행은 전년도 문화재청 우수 문화재 야행으로 선정된 대한민국 대표 야간 축제로 널리 알려져 전국 각지에서 관람객들이 몰려들고 있다.
수원 화성(華城) 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