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1일 암 예방의 날을 맞아 보건복지부와 함께 개선된 국가 암 검진 제도를 정리했다. 위·대장·간·유방·자궁경부암은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5개 암종은 국가 암 검진 대상이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는 암 검진의 정확성을 높이고 국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암 검진 제도가 개선했다”고 20일 밝혔다.
암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 질환이다. 하지만 2012년부터 암 발생률이 4년 연속 감소하고,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도 10년 전보다 16.7%포인트 높아진 70.7%를 기록하는 등 의료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최근 5년(2011~2015년)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7%로, 10년 전보다 16.7%포인트 상승했다. 암정복계획 시행 전인 1993~1995년 보다는 29.5%포인트 상승했다. / 보건복지부 제공
① 국가 대장암검진, 불필요한 검사 방지
올해부터 국가 대장암 검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액 건강보험에서 부담해 만 50세 이상 대장암 검진 대상자는 누구나 무료로 국가 대장암 검진을 받을 수 있다. 작년까지는 대장 내시경 검사 비용의 10%를 환자가 본인부담해왔다.
또 만 50세 이상이면 매년 대변에 혈액 반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분변잠혈검사를 받아야 했지만, 올해부터 5년에 한 번으로 횟수를 줄이고 분변잠혈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오면 대장내시경을 받는 식으로 바뀌었다.
② 위암·대장암, 내시경 검사 우선 실시
지금까지 위암 검진이나 대장암 검진을 받을 경우 조영검사와 내시경검사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올해부터 정확도가 높은 내시경검사를 우선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대상자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 내시경검사가 어려운 경우, 조영 검사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국내·외 연구 결과 조영검사보다 내시경 검사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③ 검진의사 실명제 도입
영상검사, 내시경검사, 검체 채취, 병리 검사 등 암 검진 과정별 담당 의사의 정보(성명, 면허번호)를 검진 결과 기록지에 기재하고 관리하는 ‘검진의사 실명제’를 도입해 국가 암 검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④ 고위험군 대상 폐암 검진 시범 사업 시행
정부는 작년부터 시행해온 고위험군 대상 폐암 검진 시범 사업을 올해 말까지 시행한다.
폐암검진 시범사업은 국립암센터 주관으로 전국 14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만 55세~74세 30갑년(Pack Year·하루 평균 담배소비량(갑)×흡연기간(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30갑년은 매일 1갑씩 30년간 흡연 또는 매일 2갑씩 15년간 흡연한 경우다.
현재까지 시범사업을 통해 폐암 환자 중 56%는 조기폐암(1, 2기)으로 진단돼 우리나라 전체 폐암 환자 중 조기 폐암 비율(2011~2015년 확진자 중 21%)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올해까지의 시범 사업을 바탕으로 내년부터 폐암 검진 도입을 준비할 계획이다. 또 ▲암 예방 캠페인 ▲암 검진 제도 개선 ▲호스피스 사업 확대 ▲암 생존자 통합지지서비스 등을 추진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암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방, 검진, 치료, 사후 관리까지 전 주기에 걸친 암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21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서울 가든 그랜드볼룸에서 ‘제11회 암 예방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 관련 유공자 및 종사자 등 3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는 암 검진의 정확성을 높이고 국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암 검진 제도가 개선했다”고 20일 밝혔다.
암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 질환이다. 하지만 2012년부터 암 발생률이 4년 연속 감소하고,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도 10년 전보다 16.7%포인트 높아진 70.7%를 기록하는 등 의료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① 국가 대장암검진, 불필요한 검사 방지
올해부터 국가 대장암 검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액 건강보험에서 부담해 만 50세 이상 대장암 검진 대상자는 누구나 무료로 국가 대장암 검진을 받을 수 있다. 작년까지는 대장 내시경 검사 비용의 10%를 환자가 본인부담해왔다.
또 만 50세 이상이면 매년 대변에 혈액 반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분변잠혈검사를 받아야 했지만, 올해부터 5년에 한 번으로 횟수를 줄이고 분변잠혈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오면 대장내시경을 받는 식으로 바뀌었다.
② 위암·대장암, 내시경 검사 우선 실시
지금까지 위암 검진이나 대장암 검진을 받을 경우 조영검사와 내시경검사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올해부터 정확도가 높은 내시경검사를 우선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대상자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 내시경검사가 어려운 경우, 조영 검사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국내·외 연구 결과 조영검사보다 내시경 검사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③ 검진의사 실명제 도입
영상검사, 내시경검사, 검체 채취, 병리 검사 등 암 검진 과정별 담당 의사의 정보(성명, 면허번호)를 검진 결과 기록지에 기재하고 관리하는 ‘검진의사 실명제’를 도입해 국가 암 검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④ 고위험군 대상 폐암 검진 시범 사업 시행
정부는 작년부터 시행해온 고위험군 대상 폐암 검진 시범 사업을 올해 말까지 시행한다.
폐암검진 시범사업은 국립암센터 주관으로 전국 14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만 55세~74세 30갑년(Pack Year·하루 평균 담배소비량(갑)×흡연기간(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30갑년은 매일 1갑씩 30년간 흡연 또는 매일 2갑씩 15년간 흡연한 경우다.
현재까지 시범사업을 통해 폐암 환자 중 56%는 조기폐암(1, 2기)으로 진단돼 우리나라 전체 폐암 환자 중 조기 폐암 비율(2011~2015년 확진자 중 21%)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올해까지의 시범 사업을 바탕으로 내년부터 폐암 검진 도입을 준비할 계획이다. 또 ▲암 예방 캠페인 ▲암 검진 제도 개선 ▲호스피스 사업 확대 ▲암 생존자 통합지지서비스 등을 추진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암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방, 검진, 치료, 사후 관리까지 전 주기에 걸친 암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21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서울 가든 그랜드볼룸에서 ‘제11회 암 예방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 관련 유공자 및 종사자 등 3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첫댓글 ◈ 참 좋은 기사네요. 돈때문에 진료 못 받는 세상이 없어졌으면 하고 바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