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증감률('18/'17) |
- | 총액 | 31,243 | 53,230 | 52,557 | -1.3 |
1 | 독일 | 17,419 | 40,729 | 38,399 | -5.7 |
2 | 스페인 | 3,380 | 2,972 | 3,496 | 17.6 |
3 | 오스트리아 | 224 | 974 | 2,895 | 197.2 |
4 | 프랑스 | 567 | 577 | 1,984 | 243.8 |
5 | 스위스 | 3,024 | 2,486 | 1,574 | -36.7 |
6 | 호주 | 1,159 | 1,288 | 1,526 | 18.5 |
7 | 폴란드 | 205 | 1,069 | 1,106 | 3.5 |
8 | 벨기에 | - | 905 | 371 | -59.1 |
9 | 그리스 | 242 | 244 | 351 | 43.7 |
10 | 한국 | 1,445 | 511 | 322 | -37.0 |
자료: KITA
중국 요거트(HS Code 04031000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천 불, %)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수입액(천 불) | 164 | 531 | 1,445 | 511 | 322 |
증감률(%) | -42.3 | 222.8 | 172.4 | -64.6 | -37.0 |
자료: KITA
□ 경쟁동향
○ 중국 요거트시장 경쟁 치열
- 최근 중국 요거트시장은 빠르게 확대되었고, 요거트는 식품음료 중 성장이 가장 빠른 품목이 되었음. 2017년 중국 요거트시장 규모는 1220억 위안에 달하여 처음으로 우유 매출액을 뛰어넘었음.
- 시장규모 확대와 동시에 중국 요거트시장의 경쟁도 나날이 치열해지는 추세임.
- 2018년 중국 요거트시장 점유율 1위는 이리(伊利)이며, 시장점유율은 27%임. 그 다음으로 멍뉴(蒙牛)와 광명(光明)이 각각 21%, 15%의 점유율로 2, 3위를 차지함.
2018년 중국 요거트 브랜드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前瞻网
○ 주요 제품 리스트
구분 | 국가 | 브랜드 | 제품명 | 제품사진 | 가격(위안) |
1 | 중국 | 이리(伊利) | 安慕希 | | 49.9위안/16개 |
2 | 중국 | 멍뉴(蒙牛) | 纯甄 | | 79.9위안/24개 |
3 | 중국 | 광명(光明) | 莫斯利安 | | 79.8위안/24개 |
4 | 중국 | TERUN(天润) | 冰淇淋化了 | | 55위안/12개 |
5 | 중국 | 君乐宝 | 涨芝士啦 | | 45위안/12개 |
6 | 중국 | 싼위안(三元) | 冰岛酸奶 | | 64.9위안/24개 |
7 | 중국 | 웨이첸(味全) | 慢一点 | | 14.9위안/8개 |
8 | 독일 | Weidendorf德亚 | 悠慕兹 | | 56.8위안/12개 |
9 | 스페인 | Pascual | Pascual | | 29.9위안/4개 |
10 | 한국 | 남양 | 떠먹는불가리스 | | 29.8위안/4개 |
자료: 징동
□ 유통구조
○ 저온 요거트
- 저온 요거트는 유통기한이 짧고,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함. 유통경로는 마트에 집중되어 있으며, 유통범위가 짧음.
○ 상온 요거트
- 온라인마켓이 주 판매채널이며, 대표 온라인 플랫폼은 티몰, 타오바오, 징동 등이 있음.
- 지역 판매의 벽을 허물어 유통채널이 비교적 넓음. 부가가치가 높고, 유통기한도 전자상거래 운영에 적합한 상온 요거트는 온라인채널에서도 경쟁이 심화되었음.
□ 관세율
○ 요거트 HS CODE: 04031000
* 이 품목은 한중FTA 협정에 해당이 안되며 최혜국(MFN) 세율 10% 적용
수입 세율(MFN) | 10% |
증치세 | 13% |
자료: 중국해관
□ 수입규제
○ 중국 유제품 수입상은 중국해관에서 제품라벨 심사 및 수출입상 등록을 해야 함. 한국 유제품 생산기업은 한국 농림축산식품부를 통해 중국 인증허가 위원회에서 생산상 및 제품을 등록해야 함.
□ 시사점
○ 요거트, 과일과 견과류 등 첨가하여 식사대용으로 진화 중
- 최근 과일 알갱이가 들어간 요거트가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음. 과일의 식감은 물론 요거트를 먹을 때 포만감을 추구하며, 수 많은 과일 맛 요거트가 출시되었음.
- 건강의식 제고와 다이어트 열풍에 따라 요거트가 식사대용으로 각광받고 있음.
○ 중국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無지방, 生우유 발효 등 첨가제를 넣지 않은 제품에 대한 수요증가
○ 요거트 제품 수출 시 제품의 짧은 유통기한을 고려하여 전략적인 물류 동선 수립 필요
- 한국 요거트 제품 취급회사 담당자는 무역관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중국은 저온 요거트 제품의 유통기한이 1/3을 넘으면 마트 입점이 불가능하므로 통관이 빠른 항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함.
자료: 前瞻网, 징동, 중국해관, KITA 및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