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산 컨소시움
📁 드론/UAM - 에이럭스, 딥마인드, 제이씨현시스템, 한화시스템, 네온테크, 피씨디렉트, 스마트레이더시스템, 파이버프로, 하이즈항공, 스맥,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베셀, 디티앤씨, 코콤, 인지컨트롤스, 덕산하이메탈, 웨이버스, 코난테크놀로지
📁 우주항공 - 에이치브이엠, 아주IB투자, 미래에셋벤처투자, 이노스페이스, LK삼양, 한컴위드, 한글과컴퓨터, 미래에셋벤처투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쎄트렉아이, 루미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AP위성, 컨텍, 한국항공우주, 인텔리안테크, 세아베스틸지주, 제노코, 엔케이, 비츠로테크, 한양이엔지, 파버나인, 덕산하이메탈, 센서뷰, 파이버프로
📁 자율주행 - 에스오에스랩, 퓨런티어, 오토앤, 모트렉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라이콤, 에스오에스랩, 라닉스, 파인디지털,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인포뱅크, 아이에이, 에이스테크, 라이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오비고, 현대오토에버, 넥스트칩, 남성, 이노시뮬레이션, 에이테크솔루션, 아남전자, 팅크웨어, 슈어소프트테크, 대성파인텍, 디아이씨, 씨티알모빌리티, 에이치와이티씨, 칩스앤미디어, 텔레칩스,와이제이링크, 옵트론텍,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센서뷰, MDS테크, 유비벨록스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방산업체 팰런티어테크놀로지와 안두릴이 스페이스X·오픈AI 등 기술기업과 손잡고 방산 컨소시엄을 추진한다. 이러한 스타트업 중심의 방산 컨소시엄이 탄생하면 록히드마틴 등 전통적 방산업체가 과점해온 미 국방산업이 재편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미 방산업체 팰런티어와 안두릴이 AI 스타트업 10여 곳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르면 내년 1월 컨소시엄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컨소시엄에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챗GPT 개발사 오픈AI, 자율해상선박(ASV) 제조업체 서로닉, AI 데이터업체 스케일AI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컨소시엄 관계자는 FT에 "새로운 세대의 방위산업체가 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컨소시엄은 실리콘밸리의 기술기업들이 국방부에 첨단 무기와 방어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레버리지 역할을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록히드마틴 등 전통 방산업체가 과점해온 미 국방산업 분야에서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 방산업계는 오랜 과점체제로 경쟁과 혁신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현재 미 방산시장은 록히드마틴·보잉·레이시언·노스럽 그러먼·제너럴 다이내믹스 등 5대 방산기업이 과점하고 있다. 대형 방위산업체들이 국방부와 장기 계약을 맺고 안정적으로 탱크, 전투기, 전함 등을 생산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내년 미 국방부 예산은 8500억달러(약 1232조원)에 달한다.
반면 컨소시엄 참여를 고려하고 있는 실리콘밸리 기술기업들은 현대전에 유용한 작고 저렴한 자율형 무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컨소시엄을 통해 국방부의 기술 과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하고 군의 소프트웨어 기반을 강화한다는 포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18560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