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다짐 시험방법
나. 시험법에 규정되어 있는 최대입경보다 큰 입경의 재료의 처리방법.
목적 : 흙을 어느 일정한 방법으로 다져, 함수비와 건조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내고 다짐곡선, 최적함수비, 최대건조밀도 등을 구하여 주로 현장의 다짐시공관리, 상대밀도 (사질토)를 구하는 경우 등에 이용한다.
가. 시험방법 (A-1방법, ( ) 안은 A-2방법)
① NO.4체를 통과한 흙에서 약 3㎏의 시료를 취한다. ② 함수량을 측정한다. ③ 저단을 붙인 몰드의 무게(W1)을 측정한다. (944㎤의 몰드) ④ 몰드에 칼라를 끼운다. ⑤ 다짐후의 두께가 약 4.5㎝(2.5㎝)가 될 정도의 흙을 몰드에 넣는다. ⑥ 레머로 25회 다진다. (A-1 ; 2.5㎏의 추, 낙하고 30㎝, A-2 ; 4.5㎏의 추, 낙하고 40㎝) ⑦ 이 조작을 3회(5회) 실시하고 전 두께가 13㎝가 되도록 한다. ⑧ 다짐이 끝나면 칼라를 떼고 몰드 상부 여분 흙을 스트레이트 에지로 깎는다. ⑨ 전체 중량 (W2)을 측정한다. ⑩ 다진 흙을 시료 추출기 등으로 떼어낸다. ⑪ 상 하부에서 각 50g씩을 취하여 함수량을 측정한다. ⑫ 최적 함수비를 중심으로 6~8회 (최소 5회) 함수비를 측정한다.
다짐시험방법 (실험실)은 한국 공업 규격에 의해 A-1, A-2등 8가지 방법이 있다.
나. 함수비와 건조 밀도의 관계
1)건조 밀도

2)다짐곡선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그려, 주어진 다짐방법에 대해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얻어지는 최적함수비(Optimum moisture Content)를 얻는다. 이 다짐곡선에 영 공기간극곡선을

로부터 구하여 그린다.

3) 다짐곡선의 특징
① 다짐에너지를 크게 하면,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커지고, 최적함수비는 작아지나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얻어질 때의 공기 함유율은 거의 동일하다.
② 동일한 에너지로 다졌을 경우
ⅰ)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높은 흙일수록 최적함수비가 낮다.
ⅱ) 입도가 좋은 조립토 일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높고 다짐곡선이 날카롭다
ⅲ) 세립토일수록 다짐곡선이 완만하다.
ⅳ) 조립토라 할지라도 입도가 나쁜 것은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낮고, 다짐곡선이 평평하며 최대치가 분명하지 않다.
ⅴ) 화산암질 점성토는 극단적으로 최대건조단위중량이 낮고 최적함수비가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