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리터러시학회] 봄 학술대회(3/5) 안내
한국리터러시학회 회원 여러분
춘삼월에 “봄 학술대회(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의 변화와 대응)”을 개최하며 좋은 소식으로 인사드립니다.
이번 해부터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맞추어 학술대회를 기획하였습니다. “봄 학술대회”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 성찰과 전망”을 주제로 라운드테이블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평의원 회장님 네 분을 모시고 기조강연을 대신하여 특별한 시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세션의 기획 주제는 “한국문학의 과거, 현재, 미래”, “초·중등 예비교사의 직업 문식성”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였습니다. 또 “자유세션”은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더욱 풍성한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한동안 온라인(ZOOM)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왔지만, 우리 학회는 학술 담화의 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학술대회마다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특히 참여하시는 분은 무려 40여명이나 되고, 소속도 전국의 주요 대학이 거의 망라되어 이제는 탄탄한 학술 공동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 한국리터러시학회는 앞으로 ‘우수 등재지’로 거듭나게 될 것을 확신합니다. 회원 여러분에게 늘 깊은 감사를 드리면서 “봄 학술대회”에서 만나 뵙기를 기대합니다.
항상 감사드리며, 회원 여러분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2022. 2.
한국리터러시학회 회장 신현규 올림
-------------------------------------------------------------------------------------------------
3월 5일(토)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의 변화와 대응’이라는 주제로 봄 학술대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학술대회 프로그램을 첨부해드리오니 이번 학술 대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그럼 학회 당일에 많은 선생님들을 만나 뵙기를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한국리터러시학회 봄 학술대회 프로그램
■ 주제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의 변화와 대응 ■ 일시 : 2022년 3월 5일(토) 12:30 ~ 18:00
■ 장소 : 온라인(Zoom) ■ 주최 : 한국리터러시학회
■ 학술대회 취지
지난 2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사태를 겪어오면서 이제 우리 사회는 여러 부면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규범을 준비하고 모색해야 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기업의 생산과 운영, 학교 교육과 관공서의 업무, 정치와 행정의 거버넌스, 시민 사회의 공론장, 여행과 종교 활동과 여가생활, 그리고 문화예술 공연 등의 전 영역에서 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소통과 교류의 방식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함께 안고 있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 역시 지금까지의 방식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규범을 찾아나가야 할 필요성이 중요하게 요청되고 있습니다. 한국리터러시학회의 2022년 봄 학술대회에서는 다가오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각 연구 분야별로 리터러시 교육의 방법은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검토하고 전망해보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 참여 방법
- Zoom 주소 안내 *입장하실 때, ‘이름(소속)’으로 입장하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링크: https://zoom.us/j/91507762024?pwd=NSt6M2JwVVJwRlJreXdQQ1czWEV1dz09
회의 ID: 915 0776 2024
암호: 851173
- 학술대회의 각 세션은 Zoom의 소회의실 기능을 활용하여 진행합니다.
- 각 소회의실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합니다.
■ 세부 일정
시간 | 발표 및 내용 |
개회식 | 12:30~12:50 | 등록 |
12:50~13:00 | 사회 : 임보연 (대진대/ 한국리터러시학회 총무이사) |
개회사 : 한국리터러시학회장 / 신현규(중앙대) |
라운드 테이블 | 13:00~13:50 | 라운드테이블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 성찰과 전망” ◈ 김재봉(광주교대), 정희모(연세대), 김종록(한동대), 김주환(안동대), 신현규(중앙대) - 진행:김성수(연세대/ 한국리터러시학회 수석부회장) |
| 13:50~14:00 | coffee break |
제1부 14:00~16:00 | 기획 주제 | 한국문학의 과거, 현재, 미래 | 초·중등 예비교사의 직업 문식성 |
좌장 | 남기택(강원대) | 이순영(고려대) |
14:00~14:30 | 세션 1-1 | 세션 2-1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현황과 전망 |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의 적절성 연구 : 국어 교사의 직업 문식성을 중심으로 |
발표: 곽효환(한국문학번역원) | 발표: 구자윤(고려대)·장은섭(전주대)·최승식(상명대) |
토론: 김수이(경희대) | 토론: 김경화(청주대) |
14:30~15:00 | 세션 1-2 | 세션 2-2 |
박용철 시와 시론의 상관성 연구 | 중등 예비국어교사의 교육실습 : 교육실습환경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발표: 정은기(카톨릭대) | 발표: 류보라(목원대) |
토론: 박옥순(동국대) | 토론: 백혜선(순천대) |
15:00~15:30 | 세션 1-3 | 세션 2-3 |
불안사회의 욕망과 호모 이코노미쿠스라는 환상 |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교육에 대한 성장 경험 및 인식 탐구 |
발표: 황지선(이화여대) | 발표: 김종윤(진주교대) |
토론: 강아람(선문대) | 토론: 김희동(서울교대) |
15:30~15:40 | 휴식 |
제2부 15:40~17:10 | 자유 주제 | 자유세션 | 자유세션 |
좌장 | 진영복(연세대) | 이태희(인천대) |
15:40~16:10 | 세션 3-1 | 세션 4-1 |
글로벌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K-word 분석 -2021년 Oxford 사전 등재 어휘를 중심으로-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선정 연구 -한의원 대화를 중심으로- |
발표: 한승규(호남대) | 발표: 안정민(한국외대)·박정수(세명대) |
토론: 정기인(서울과기대) | 토론: 강소영(광주여대) |
16:10~16:40 | 세션 3-2 | 세션 4-2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양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국어 영역을 중심으로 | 소통중심 다문화 교육에 대한 반성적 검토 |
발표: 유리(공주대) | 발표: 장현정(인하대) |
토론: 임보연(대진대) | 토론: 강지연(서원대) |
16:40~17:10 | 세션 3-3 | 세션 4-3 |
장르 인식 향상을 위한 텍스트 유형과 장르 교육 방안 | 브라질 한인문학과 트랜스내셔널 양상 |
발표: 민정호(동국대) | 발표: 강회진(전남대) |
토론: 윤정안(서울시립대) | 토론: 임회숙(목포해양대) |
17:10~17:20 | 휴식 |
제3부 17:20~18:00 | 17:20~17:30 | 연구윤리교육 – 지현배(동국대) |
17:30~18:00 | 종합토론 – 엄성원(차의과대) |
----------------------------------------------------------------------------------------
한국리터러시학회
kor_literac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