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산림
ㆍ산림은 숲이고 생태계이다.
ㆍ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임목ㆍ대나무와 그 토지
1)산림의 3요소
ㆍ물리적요소
ㆍ인간의 이용 요소
ㆍ생태기능적 요소
2)산림의 기능
ㆍ물의 저장 기능
ㆍ빛에너지의 저장 창고로서의 기능
ㆍ이산화탄소의 흡수와 산소의 생산 기능
ㆍ토양 유실 방지 기능
ㆍ교육 및 휴식 공간 기능
ㆍ생물의 생활 터전 기능
2.산림교육이란?
1)산림교육의 정의
ㆍ산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체험ㆍ학습함으로써 산림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2)산림교육의 목적
ㆍ숲체험 활동을 통하여 국 민들이 산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가치관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산림을 지속 가능하게 보전하고 국가와 사회 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다.
3)산림교육의 효과
산림교육은 특히 유아와 청소년의 신체발달, 면역력 증가, 정서발달,사회성ㆍ자존감ㆍ창의성ㆍ인성 등을 함양하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3.산림복지
1)산림복지란?
ㆍ산림을 활용하여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려는 사회 구성원의 공통된 가치관ㆍ지식ㆍ규범과 생활양식
2)산림복지의 목적
ㆍ산림복지는 산림을 활용하여 적은 비용 으로 많은 사람에게 높은 수준의 복지를 제공하고,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ㆍ산림복지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회병리현상을 치유하고 인체의 건강에 기여하는 패러다임이다.
ㆍ현재 산림 면적은 감소,단위면적당 임목축적량은 꾸준히 증가
ㆍ국가는 조성된 산림자원을 최대한 국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산림복지를 실현하는 적극적인 과제이다.
3)산림정책의 발전단계
ㅡ우리나라의 산림복지는 산림정책의 발전 단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단계:1970~1980년대.산림의 녹화(조림) 사업이 추진되던 시기
2단계:1990~2000년대.산지자원의 이용시기
3단계:2010년대 이후.산림복지의 시기
4)산림복지서비스
ㅡ산림문화ㆍ휴양, 산림교육 및 치유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5)생애 주기별 산림복지
ㆍ출생기ㅡ탄생목 심기
ㆍ유아기ㅡ유아숲체험원 운영
ㆍ청소년기ㅡ산림교육
ㆍ청년기ㅡ숲길,레포츠 조성 운영
ㆍ중장년기ㅡ자연휴양림 조성 운영
ㆍ노년기 ㅡ치유의 숲
ㆍ회년기 ㅡ수목장림 확충
4.산림교육전문가
1)산림교육전문가란?
ㆍ산림교육전문가 양성기관에서 산림교육 전문가과정을 이수한 사람으로 자연휴양림,유아숲체험원,숲길에서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설하거나 지도ㆍ교육하는 전문가이다.
ㆍ산림교육전문가ㅡ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