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주영 회장도 겁낸 ‘전쟁’ 같은 위기, 한국 기업 덮친다 [송의달 LIVE]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 [송의달이 만난 사람]
80년 만의 삼각 파도...한국기업의 생존법
송의달 에디터
입력 2023.10.24. 06:40
업데이트 2023.10.24. 15:50
송의달의 모닝라이브 뉴스레터 구독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0902
25일은 고(故) 아산(峨山)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태어난 지 100년 되는 날이다. 사진은 1980년대 아산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의 횡단보도를 달리면서 건너는 모습이다. 그는 종종 청운동 자택에서 광화문 사옥까지 걸어서 출근했다.
고(故) 아산(峨山)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회장이 1980년대 서울 종로구 세종로의 횡단보도를 달리면서 건너고 있다. 그는 종종 청운동 자택에서 광화문 사옥까지 걸어서 출근했다./조선일보DB
“우리나라가 30년째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인 것은 글로벌 지정학(地政學)에 따른 천운(天運) 덕분이 크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질서가 무너지는 대격변기인 지금은 지정학과 기정학(技政學), 자정학(資政學)의 ‘삼각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기업과 정부가 과거보다 수 십배 이상 기민해야 한다.”
기업경영분석 연구소인 CEO스코어의 김경준(59) 대표의 진단이다. 쌍용투자증권과 쌍용경제연구소를 거쳐 2000년 딜로이트컨설팅에 입사해 대표이사, 경영연구원장, 부회장을 지낸 그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토종(土種) 컨설턴트이다.
김 대표는 <위대한 기업 로마에서 배운다> <지금 마흔이라면 군주론> <사장이라면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같은 스테디셀러를 비롯해 지금까지 20권이 넘는 저서를 냈다. 기자는 2023년 10월 20일 김 대표를 만나 최근의 글로벌 경영 환경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을 들어봤다.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는 1982년 서울대 농경제학과에 입학해 같은 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외국 유학이나 MBA(경영대학원) 공부 없이 그는 딜로이트컨설팅 대표이사, 부회장을 맡았다. 김 대표는 "전쟁 같은 위기를 경험하지 못한 대다수 한국 기업들에게 지정학에 기술과 자원이라는 변수의 상호 작용이 커지는 최근 변화는 기업 운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전"이라고 말했다./김경준 제공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는 1982년 서울대 농경제학과에 입학해 같은 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외국 유학이나 MBA(경영대학원) 공부 없이 그는 딜로이트컨설팅 대표이사, 부회장을 맡았다. 김 대표는 "전쟁 같은 위기를 경험하지 못한 대다수 한국 기업들에게 지정학에 기술과 자원이라는 변수의 상호 작용이 커지는 최근 변화는 기업 운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전"이라고 말했다./김경준 제공
◇韓 반도체는 글로벌 지정학 天運의 산물
- 한국이 반도체 강국(强國)이 된 게 ‘지정학’ 덕분인가?
“1950년대 미국에서 태동한 반도체 산업은 1970년대부터는 일본이 시장을 주도했다. 80년대 미·일(美日) 갈등이 불거져 미국 정부가 일본 반도체 7개사를 제소하고, 1986년 미·일 반도체 협정으로 미국이 일본을 옥죄었다. 이병철 삼성 창업주는 일본 외에 반도체 신규 공급국을 허용하는 국제 역학관계 틈을 파고들어 반도체산업에 뛰어들었기에 승기(勝機)를 잡을 수 있었다.”
1987년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3라인 기공식에 참석한 고 이병철(맨 오른쪽) 삼성그룹 창업자와 이건희(오른쪽에서 둘째) 삼성전자 회장
1987년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3라인 기공식에 참석한 고 이병철(맨 오른쪽) 삼성그룹 창업자와 이건희(오른쪽에서 둘째) 삼성전자 회장
김 대표는 “삼성전자는 1983년 6월 64K D램 생산을 시작한 지 10년 만인 1993년 메모리 시장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지정학적 환경 변화에 올라탄 다음 첨단 연구기술력과 공정 관리력이 결합하면서 우리나라는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했다”고 했다.
- ‘지정학’을 넘어 지금은 ‘기정학 시대’라고 했는데 어떤 의미인가?
“지리적인 위치가 가장 중요한 지정학과 달리 기정학(技政學·techpolitics)에선 인공지능(AI), 반도체, 퀀텀 컴퓨팅 같은 기술력이 국제 질서를 만들고 세계 패권을 좌우한다. 한 나라의 과학기술력이 곧 해당국가의 경쟁력이라는 말이다. 2022년 10월 팻 겔싱어 미국 인텔 CEO가 ‘과거 50년 동안 석유 매장지가 세계 지정학 질서를 결정했지만, 앞으로 50년은 반도체 공장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한 게 이를 상징한다.”
◇한·미·일·대만 vs 중국...반도체 ‘技政學 전쟁’
- ‘기정학’의 힘을 보여주는 다른 사례가 있다면?
“세계 최대 파운드리(foundry·반도체 위탁 생산)기업인 대만 TSMC의 창업자 모리스 창 전 회장은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카말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시진핑 중공 총서기와 각각 회동했다. 일개 민간 기업인이 미중(美中)의 최고지도자와 연쇄 면담한 것 자체가 ‘기정학’의 힘을 보여준다. TSMC는 중국의 침공 위협에 대응하는 국방력의 중핵으로 대만을 지키는 ‘호국신산(護國神山)’으로 불린다. 해군 함정보다 TSMC 공장이 유사시 미국의 군사 지원을 담보하는 실질적인 전쟁 억지력이라는 애기이다.”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모리스 창 TSMC 창업자가 카말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 만나고 있다.(왼쪽). 그는 같은 회의에서 시진핑 중공 총서기와도 회동(오른쪽)했다.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모리스 창 TSMC 창업자가 카말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 만나고 있다.(왼쪽). 그는 같은 회의에서 시진핑 중공 총서기와도 회동(오른쪽)했다.
TSMC가 일본 구마모토현에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교도통신
TSMC가 일본 구마모토현에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교도통신
그는 이어서 이렇게 말했다.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가 바로 ‘기정학의 전쟁터’이다. 현재 미국은 한국, 일본, 대만과의 ‘칩(chip) 4 동맹’을 맺어 중국 고립을 꾀하고 있다. 미국의 반도체 설계(팹리스), 한국의 메모리,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대만의 위탁 생산(파운드리) 기술을 결합한다는 전략이다. 일본, 인도, 유럽연합(EU) 등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최근 국가 역량을 총동원하는 것도 기정학 때문이다. 일본 구마모토(熊本)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대만 TSMC에 일본 정부가 직접 지원키로 확정한 보조금만 우리 돈으로 12조원이 넘는다.”
- ‘기정학’은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보나?
“그렇다. 기정학 흐름은 더 거세질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는 기술 주도력(技術主導力)이 경제력 범위를 넘어 국가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 예로 디지털 플랫폼을 장악하면 해당 분야의 고객, 생산, 유통 등 모든 정보를 지배한다.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는 단순한 SNS(소셜미디어)가 아니다. 사회경제적 트렌드를 만들고 확산하며 심지어 정치적 변화를 촉발하는 파괴력까지 갖고 있다. 우리는 ‘아랍의 봄’ ‘월가를 점령하라’ 같은 시위에서 이를 확인했다.”
카이스트(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은 2023년을 '기정학 시대'의 원년으로 설정했다. 카이스트가 펴낸 단행본 <기정학의 시대>/인터넷 캡처
카이스트(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은 2023년을 '기정학 시대'의 원년으로 설정했다. 카이스트가 펴낸 단행본 <기정학의 시대>/인터넷 캡처
그는 “세계질서에서 최근 또 하나의 새로운 흐름은 ‘천연자원’의 정치·경제적 중요성이 높아지는 자정학(資政學·Reso-politics)”라며 “중국 정부가 희토류와 전기차 배터리 소재인 흑연 수출을 통제하고, 러시아가 천연가스를 서방에 대한 외교 압력 도구로 사용하는 게 단면”이라고 말했다.
◇21세기 자원은 국가안보 직결된 ‘전략 물자’
- ‘자정학(資政學)’으로의 변화도 구조적 대세인가?
“그렇다. 자정학은 서구 중심 G7과 대척점에 있는 이른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진영이 주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이 주축이 된 브릭스(BRICs)가 핵심이다. 2023년 8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담에선 6개국이 새로 가입했다. 세계 10대 자원 부국(富國) 중 7개국이 브릭스 회원국이다.”
김 대표의 이어지는 말이다.
“1위인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3위), 이란(5위), 중국(6위), 브라질(7위) 등 7개국이 보유한 천연자원의 가치는 총 212조달러로 미국과 캐나다·호주 3개국이 보유한 천연자원의 가치(98조 달러)를 압도한다. 브릭스는 ‘반(反)G7 성향 자원 부국 블록’으로 세력화하고 있다. 이는 천연자원이 국가의 외교·안보와 연계돼 상대국을 위협하는 ‘자정학 시대’의 도래를 보여준다. 단순 거래 상품(commodity)이던 천연 자원이 국가안보 차원의 ‘전략 물자’가 된 것이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권혜인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권혜인
- 브릭스 파워가 G7을 곧 능가할 것 같다.
“브릭스가 전 세계 총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17%에서 2022년에는 32%로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G7과 브릭스의 GDP 비중이 동일했다. 올해 신규 가입한 6개국을 포함하면, 브릭스가 이미 G7을 추월했을 것으로 본다. 확대를 거듭하는 브릭스는 원유 같은 자원 거래에서 위안이나 루블 같은 자국 통화(通貨) 또는 블록내 공동 통화를 만들어 국제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 체제를 회피 또는 약화하고 있다.”
- 지정학과 기정학, 자정학이 발호(跋扈)하게 된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21세기 디지털 시대 들어 ‘기술’과 ‘자원’의 독립 변수화가 가속화되고 있어서다. 아날로그 시대에 서방 선진국이 사실상 독점하던 과학기술과 제조기반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후발주자의 기술력이 선발주자를 추월하는 수준이 됐다. 반도체, 스마트폰, AI, 배터리 같은 디지털 기술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한 우리나라가 이런 변화를 상징한다. 자원도 예전에는 탐사·채굴·금융역량에서 서방의 압도적 우위였으나 지금은 그것이 약화·분산하고 있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권혜인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권혜인
◇냉전·세계화 끝나고 대격변기 도래
- 2차 세계대전후 80여년 지속돼온 세계 질서가 최근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 같다.
“그러하다. 지금까지 세계정치외교는 미국·영국·소련이 주도해 창립한 UN이 맡고, 국제금융질서는 달러(dollar) 체제가 근간을 이뤄왔다. 냉전시대가 1991년 소련 붕괴로 종식된 후 30년 동안 세계화 시대가 열렸다. 그 과정에서 세계 2위 정치·경제·군사 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기술’과 ‘자원’을 지렛대로 세계질서 재편을 시도하면서 기존 질서가 균열하고 있다.”
김 대표는 “미국이 2021년 미국혁신경쟁법(US. Innovation and Competition Act), 2022년에 미국 경쟁력 강화법(America COMPETES Act)과 반도체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등을 만들어 반도체 산업 지원, 첨단기술 육성, 미국 중심 공급망 강화를 서두르는 것은 중국의 도전에 대한 미국의 반격”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3년 8월 9일(현지 시각) 뉴멕시코주 벨렌에 있는 아르코사 풍력 타워를 방문해 경제 정책 ‘바이드노믹스’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이날 미 행정부는 반도체지원법 시행 1년의 성과와 함께 인공지능(AI), 반도체, 양자컴퓨터 등 첨단 기술 3종의 대(對)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3년 8월 9일(현지 시각) 뉴멕시코주 벨렌에 있는 아르코사 풍력 타워를 방문해 경제 정책 ‘바이드노믹스’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이날 미 행정부는 반도체지원법 시행 1년의 성과와 함께 인공지능(AI), 반도체, 양자컴퓨터 등 첨단 기술 3종의 대(對)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AP연합뉴스
그는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에는 부정적이다. 대한민국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내걸고 최근 30년 세계화 시대에서 가장 큰 혜택을 누렸다. 이제 그런 안온한 구조가 깨졌기 때문에 우리도 세계 무대에서 각자도생(各自圖生)의 거친 파도를 헤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이런 상황에서 우리 나라 전체와 기업의 대응은 어떤가? 점수로 평가한다면?
“기정학(技政學)에만 국한해 볼 경우, 100점 만점에 국가는 50점, 기업은 70점 정도이다. 국가의 경우 행정보다 정치적 낙후성이 더 큰 문제이다. 정치권은 국가경제와 과학기술의 기본적 역학관계 조차 이해 못하는 수준에서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995년 “우리나라 정치는 4류, 관료 조직은 3류, 기업은 2류”라고 지적했는데 오늘까지 바뀐 게 거의 없다.”
◇아프리카, 중동 등...글로벌 전략 경영 절실
-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벤치마킹할 사례가 있다면?
“지정학과 기정학, 자정학이 격변하는 교차점에서 기회를 찾는 새로운 차원의 글로벌 전략 경영이 절실하다. G7 선진국의 주도력 약화, 기술패권 경쟁, 자원부국 블록화라는 구조적 복합 변동기에 글로벌 전략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인구와 자원을 겸비한 아세안, 중동, 아프리카의 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 단순 수출 방식이 아닌 K브랜드, 디지털, AI, 플랫폼 등과 접목해 이들과의 관계를 심화·업그레이드해야 한다. 우리 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향상에 BTS, 오징어게임 같은 K브랜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그는 “글로벌 전략 경영이란 관점에서 일본의 종합상사(綜合商社)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워렌 버핏(왼쪽) 버크셔해서웨이 창업 회장과 세지마 류조(오른쪽) 전 이토추 회장/조선일보DB
워렌 버핏(왼쪽) 버크셔해서웨이 창업 회장과 세지마 류조(오른쪽) 전 이토추 회장/조선일보DB
“일본 종합상사들은 1990년대부터 식량, 자원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전 세계에서 사업현장 정보를 수집·분석해 기회를 포착하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능력으론 왠만한 국가 정보기관을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지마 류조 이토추상사 회장은 1967년 중동전쟁이 1주일이면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날 것을 정확히 예측했고, 1973년 오일쇼크도 예견해 회사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세계적 투자자인 워렌 버핏은 최근 일본 종합상사를 ‘영원히 살아남을 기업’으로 표현했다. 한국 기업도 이런 역량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 또 다른 대응 전략이 있다면?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삼성전자, 현대차, 폭스바겐, 도요타, 보잉, 월마트, 코스트코 등 1000개가 넘는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철수했다. 이런 정치경제 군사 급변 상황에 대비한 시나리오 경영이 중요하다. 글로벌 정유기업 쉘은 전쟁, 시장 붕괴 같은 최악에 대비하는 시나리오 경영을 체계화해 1970년대 세계 7위 메이저 석유 회사에서 2위로 올라섰다. 일본 도요타는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참사 후 공급자 협력체계 구축, 통합공급망 정보시스템 ‘레스큐’ 개발 등으로 위험관리 경영 능력을 대폭 높였다.”
◇日 종합상사 벤치마킹...시나리오 경영 본격화
- 한국 기업들도 비상 위기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말인가?
“한국 기업들은 1953년 7월 6·25 휴전협정 조인 이후 전쟁을 한 번도 경험하지 않는 평화 시대에서 존립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과 최근 하마스에 의한 이스라엘 기습 공격 등은 동아시아에서도 언제든 전쟁이 발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기업들도 ‘위험’에 대한 인식 수준과 대응 강도를 확실히 높여야 한다.”
김 대표는 이어서 말했다.
“서양과 일본에서 100년 넘는 기업들은 세계 대전과 오일 쇼크 같은 극단적 상황에서 살아남아 사업을 유지했다. 독일의 지멘스(1847년 창립)·벤츠(1886년)·보쉬(1886년), 프랑스의 푸조(1896년)·르노(1899년), 일본의 미쓰비시(1871년)·미쓰이(1876년)·도요타(1902년) 등이 다 그렇다. 이들에게서 ‘위험’의 개념은 한국 기업과 차원이 다르다. 거듭 강조하지만 한국 기업들도 위험 인식과 정보 수집, 전략적 대응 수준을 높여야 한다.”
-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는 1986년 한 강연에서 ‘우리의 생활에서 전쟁만 없으면 어려운 일은 없다’라고 말했다. 창업 후 태평양전쟁과 6·25 전쟁을 겪은 그가 한 말이다. 1970년대 베트남 패망과 1991년 소련 붕괴, 1997년 IMF 충격 등은 결과적으로 우리가 더 강해지는 ‘위장된 축복’이 됐다. 세계 질서가 요동치고 해체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위기를 직시하고 냉정하게 대처해 새로운 기회를 붙잡아야 한다. ‘태평성대에도 굶는 사람 있고 전쟁통에도 돈 버는 사람 있다’는 말은 개인은 물론 기업 경영에도 적용된다.”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가 쓴 주요 저서들. 이 가운데 <지금 마흔이라면 군주론>은 6만부, <위대한 기업 로마에서 배운다>는 각각 4만부 넘게 팔렸다. 그는 "책을 쓰면 그 주제에 대해 깊이 이해할 뿐 아니라 자신을 개별 브랜드로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가 쓴 주요 저서들. 이 가운데 <지금 마흔이라면 군주론>은 6만부, <위대한 기업 로마에서 배운다>는 각각 4만부 넘게 팔렸다. 그는 "책을 쓰면 그 주제에 대해 깊이 이해할 뿐 아니라 자신을 개별 브랜드로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송의달의 모닝라이브 뉴스레터 구독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0902
송의달 에디터
송의달 에디터
편집국 부국장 겸 에디터. 홍콩특파원, 산업1부장, 조선비즈 대표(CEO)를 지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뉴스레터
많이 본 뉴스
비싸진 넷플릭스 왜 봐? 여기선 무료서 전세계 채널 본다
비싸진 넷플릭스 왜 봐? 여기선 무료서 전세계 채널 본다
정주영 회장도 겁낸 ‘전쟁’ 같은 위기, 한국 기업 덮친다 [송의달 LIVE]
정주영 회장도 겁낸 ‘전쟁’ 같은 위기, 한국 기업 덮친다 [송의달 LIVE]
[단독] 영풍제지 ‘주가조작’ 배후는 대양금속 一家
[단독] 영풍제지 ‘주가조작’ 배후는 대양금속 一家
100자평13
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Kickup
2023.10.24 09:25:25
경제는 수요 공급이고, 경제가 굴러 가는 것은 투자 생산 소비 시장이다. 소비와 생산에 방점을 두고 중국을 선택했고, 이제 그곳의 매력이 떨어지고, 간섭이 심해지니 자동적으로 더 나은 거점을 향해 기업이 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곳은 중남미와, 아세안이다. 그곳에서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고 일을 하는 기업이 많다. 늘 그랬드시 세상의 안정이란 없다. 안정을 추구할 뿐이다. 미래를 너무 비관적으로 또는 낙관적으로 볼 필요도 없다.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답글작성
31
0
M.Ko
2023.10.24 10:11:16
흔히 듣는 말 중에 '삼성이 망하면 우리나라가 망한다'는 말이 있다. 회사 하나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니, 이게 얼마나 우리 경제가 사상누각인지 잘 보여 준다. 소니가 망했 듯 삼성도 얼마든지 망할 수 있다. 그렇다고 나라 경제가 망한다면 그건 망할 게 망한 거라고 본다.
답글작성
21
1
뱃심가득
2023.10.24 20:33:04
안보는 미국의 뒷배를 믿고 에너지는 원자력을 극대화하고 해서 버텨가야지요. 컨설턴트 한사람이 미래를 온전히 알수 있나요.
답글작성
12
2
나선고존
2023.10.24 15:08:34
세상은 이렇게 급변해 가는데? 이 땅에 정치 한다는 놈들은 기득권 지키기에 血眼이 되어 설치고? 우리도 各者圖生을 꽤하는 수 밖에? 모든 시름 거두고 오늘 하루라도 제대로 즐기자! Carpe diem!
답글작성
7
0
바우네
2023.10.24 16:11:00
'2023년 8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담'(?) BRIC, BRICs(BRIC countries 또는 BRIC economies)라고 하다가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이 참가함으로써 'BRICS'라고 한다.
답글작성
5
0
삼족오
2023.10.24 13:45:29
자원이든 재료든 반제품이든 간에 수출입 국가 다변화가 급선무다 중ㄱㄱ에 치우치다 한순간 수출 금지에 우리 기업들 패닉 상태 바져드는 거 보면 수출입 다변화 더궁 주차대 하다는 걸 알 수가 있다 그런 차워에서 윤대통령의 한 사위 원유 공급 확보오ㅘ 관련 외교적 결과가 더욱 돋보이는 이유다 앞으로 모든 자원 재료 원료 반제품 등등도 외교적 결실이 있게 더욱 정진하고 혼신을 다해기를 바란다 물론 가업도 자체적인 언료 재료 부품 자원 확보 다변화에 총력을 기우려 갑질을 사전 차단 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답글작성
4
1
mylup
2023.10.25 02:17:40
IMF때를통하여 그 맨홀의 깊이를 알기에 엄습해오는 한기에 재치기부터....
답글작성
2
0
Wicked_JJ
2023.10.25 06:18:29
굳이 농경제학과 출신의 경제 분석을 봐야하나??? ㅉㅉㅉ 다들 자기 분야에서 힘쓰길 바란다...
답글작성
1
1
more4more
2023.10.24 20:22:07
엄청난 선동이다.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대만이 가지고 있는 반도체를 미국으로 가져 가려고 하는 것이 미국의 반도체 전략이다.
답글작성
1
2
산수5156
2023.10.24 08:33:30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다. 다 아는 얘기이다. 북한과 지정학적 위기가 있으니 국방비를 많이 써야 되서 기술 개발에 들어갈 돈이 없다
답글작성
1
9
자유민주주의수호자
2023.10.25 07:01:35
지금처럼 항상 믿을 수 있고 검증 가능 한 사실에 기반 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선일보 되길 바랍니다 기본 본질에 충실하면 언젠가는 다시 종이 신문 각광받는 날이 올 것입니다
답글작성
0
1
초선
2023.10.25 04:28:20
윤석열 이재명. 답이 없다. 정치문제 이념의벽 625있은지 언제야 100년 다되어간다
답글작성
0
0
모태농사꾼
2023.10.24 18:35:58
대학(大學).사람 노릇 하는 길
답글작성
0
0
많이 본 뉴스
1
목선 귀순 北 일가족 4명 “너무 배고파서...살려고 왔다”
2
운전기사 자청 빈살만, 尹에 “다음엔 사우디 생산 현대차 타자”
3
비싸진 넷플릭스 왜 봐? 여기선 무료서 전세계 채널 본다
4
‘中 삼성 복제공장’ 불법 헤드헌팅 업체 통해 반도체 핵심 인력 빼갔다
5
개딸들은 “조·추·송 어벤저스” 정청래는 “좀 거시기하네…”
6
“여기가 어디냐”... 목선 탈북민, 속초 어민 배 냉큼 올라탔다
7
인요한, 與 영남 중진에 수도권 출마 제안할 듯
8
이승만기념관 모금 40여일… 지역도 좌우도 없었다
9
정주영 회장도 겁낸 ‘전쟁’ 같은 위기, 한국 기업 덮친다 [송의달 LIVE]
10
‘사라진 아기’ 9603명, 추가 전수조사...“엄청난 숫자에 정부도 놀라”